메뉴 건너뛰기

close

해미읍성 진남문, 현실로 존재하는 문이 추상적 상징성을 띠어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해미읍성 진남문, 현실로 존재하는 문이 추상적 상징성을 띠어 영역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 김정봉
한국 건축에 있어 문은 단순히 독립적인 건축물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장소를 가리키는 문간(門間)의 성격을 가진다. 간혹 기념물로 지어지긴 하나 대개 문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담 혹은 다른 건축물과 어울려 제 기능을 다한다.

궁궐은 궁궐대로 성곽, 서원, 향교는 그들 나름대로 어울리는 문이 있다. 집의 규모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크면 허세를 부린다고 욕을 먹게 되고, 유교적 건축물에 다른 문을 짓는다면 질서가 흐트러진다 하여 저항을 받게 된다.

문(門)은 동문(同門) 혹은 문벌(門閥)·가문(家門)과 같이 '같은 부류의 사람들', 한 집단의 지체 등을 나타내는 추상적 상징성을 갖기도 한다. 물질적인 문이 추상적 상징성을 띠는 의미로 굳어져 버린 예도 있다. '성문 바깥사람'과 '성문 안사람'이 그 예다.

성문 안사람과 바깥사람

"노비·승려·백정·무당·광대·상여꾼·기생·공장(工匠) 등 여덟 가지 종류의 팔천(八賤) 천민을 나라에서 정하여 구분한 세월이 얼마나 되었는가. 그 중에서도 가장 천한 것이 백정과 무당이다. 이 세상에서 짐승 말고는 노비보다 더 심한 차별 대우를 받는 것이 백정인지라 일반 양인들과는 같이 섞여 살지도 못하고 성문(城門) 바깥 멀찌감치 물러나 저희들끼리 모여 사니 다른 사람들한테는 '성 아랫것'이라는 비칭 낮춤말을 들었다.

그것은 부성(府城)고을이 아니어도 마찬가지였다. 사부(士夫)·반촌(班村)의 마을에는 말을 꺼낼 것도 없고, 민촌(民村)이라 할지라도 그 마을 안에 버젓이 섞여 살 수 없었다. 안에는 그만두고 언저리도 안되었다."


최명희의 <혼불>에 나오는 대목이다. 성문 안사람이냐, 바깥사람이냐에 따라 신분이 갈린다. 성문은 통로라기보다는 하나의 영역과 또 다른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성문 안은 성문바깥사람들에겐 신성불가침(神聖不可侵)의 성문(聖門)이다.

담과 문이 실재(實在)하지 않아도 눈에 보이지 않는 담과 문이 버젓이 존재하여 반촌이나 민촌마을 사람들은 '천한 것들'에 대해 문을 닫고 있고, '천한 것들'도 그들 나름대로 '가진 것들'에 대해 문을 닫고 있다. 이때의 문은 소통의 수단은 더더욱 아니어서 문이라기보다는 절대 허물어지지 않는 벽(壁)이다. 문이 닫혀 있으면 그대로 벽이 돼 버린다.

문의 종류도 가지가지여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문이 있고, 문을 드나드는 주체에 따라 남자들이 출입하는 문이 있는가 하면 여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문이 있다. 게다가 산자들은 다니지 못하고 오직 혼백(魂魄)만이 다니는 문도 있다.

계층과 주인의 품격, 남녀를 구별한 문

한용운생가의 사립문, 문 하나만 봐도 한용운의 어린 시절을 상상할 수 있다
한용운생가의 사립문, 문 하나만 봐도 한용운의 어린 시절을 상상할 수 있다 ⓒ 김정봉
문은 집 규모와 주인의 지체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르다. 하층 계층의 집은 담이 없어 당연히 문도 없다. 있어도 사립문이 고작인데 닫아걸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울타리와 구색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중류층의 경우는 좀 나아 토담에 1칸짜리 평대문이 많고, 상류주택에는 행랑채와 문간채를 만들고 솟을대문을 세운다. 대문의 키가 행랑채와 같으면 평문, 행랑채보다 높이 솟아 있으면 솟을대문이라 하는데, 솟을대문 셋이 연속되어 있으면 솟을삼문이라 해서 평삼문과 구분한다.

졸부 집과는 달리 일반 사대부 집은 솟을대문을 세우되 그 키를 낮추어 주인의 조촐한 심성을 드러내려 하였다. 안의마을 허삼둘 가옥의 솟을대문은 지나치게 높고 큰 반면, 창덕궁 후원 연경당의 경우는 집 규모나 꾸밈을 감안하면 키가 낮아 오히려 소박하게 보인다.

창덕궁 연경당, 솟을대문의 키가 낮아 겉으로 보기에 소박하게 보인다
창덕궁 연경당, 솟을대문의 키가 낮아 겉으로 보기에 소박하게 보인다 ⓒ 김정봉
출입하는 사람이 누군가에 따라 문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기도 한다.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에는 두 개의 중문이 있는데 오른쪽 것은 남성 공간인 사랑마당으로 통하는 장양문(長陽門)이고, 왼쪽 것은 여성 공간인 안마당으로 통하는 수인문(修仁門)이다. 장양문은 대문인 장락문(長樂門)과 같이 솟을대문인 반면 수인문은 평대문인 점이 대비된다.

흔히 이것을 두고 남존여비 사상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꼭 그렇게 볼 것도 아니다.솟을대문이 남성적이라면 평대문은 여성적이다. 문의 모양을 달리하여 단조로움과 지루함을 피했고 남성과 여성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남녀차별보다는 남녀구별이 더 설득력 있을 것 같다.

창덕궁 낙선재 후원에 여성들의 전용 통로였을 법한 좁고 후미진 곳에 일각문이 있다. 한 쪽 담에 포도나무를, 반대 편 담에는 매화나무를 장식해 놓아 남성들은 출입을 금하는 '금남문(禁男門)'처럼 보인다.

산자의 출입이 제한되는 문도 있다. 종묘의 중심건물인 정전엔 출입의 대상이 정해져 있는 세 개의 문이 있다. 그 중 정문이면서 정전에까지 신로(神路)가 연결되어 있는 남쪽 신문은 혼령만 드나들 수 있다.

종묘 정전 남쪽 신문과 신로, 정전의 정면으로 드나들 수 있는 것은 혼백뿐이다
종묘 정전 남쪽 신문과 신로, 정전의 정면으로 드나들 수 있는 것은 혼백뿐이다 ⓒ 김정봉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곳인 사직단 안에는 사단과 직단의 낮은 단이 있고 그 둘레에 홍살문이 설치되어 있다. 북문을 제외한 나머지는 문은 단칸이고 북문만 3칸인데 북문은 신이 출입하는 문이라 하여 3칸으로 한 것이다. 사직단의 북문은 신이 출입하던 곳이었다.

공간을 의미하는 향교와 사찰의 문

사직단 북문, 북문은 신이 출입하는 문이라 3칸으로 만들었다
사직단 북문, 북문은 신이 출입하는 문이라 3칸으로 만들었다 ⓒ 김정봉
문을 기능에 따라 나누면 산성과 읍성의 문이 있고 궁궐의 문이 있다. 궁궐은 담도 많고 문도 많다. 중요 전각마다 행각과 담장을 두르고 사이사이 일각문을 내어 소통을 하였다. 만든 재료에 따라 광화문 같이 돌로 쌓아 만든 홍예문이 있고, 나무로 만든 샛문이 있는가 하면 샛문 중에도 전을 쌓아 올려 만든 전축문이 있다.

궁궐의 문은 편의성만 강조하여 만들어지지 않았다. 문은 꽃담과 어울려 한층 멋이 난다. 나무로 만들었든 벽돌로 쌓아 만들었든 꽃담과 잘 어울리기는 한가지다. 낙선재 후원에 세워진 나무 샛문이나 상량정과 승화루를 드나드는 만월문, 덕수궁 덕홍전 서쪽담에 있는 유현문 등의 전축문은 너나 나나 할 것 없이 모두 꽃담과 잘 어울린다.

덕수궁 유현문, 전축문으로 샛담과 가장 잘 어울리는 궁궐의 문 중의 하나다
덕수궁 유현문, 전축문으로 샛담과 가장 잘 어울리는 궁궐의 문 중의 하나다 ⓒ 김정봉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인 향교와 사찰문과 같이 기능적 측면보다는 공간적 의미 즉 하나의 세계를 의미하는 문도 있다.

향교는 조선의 건국이념인 유교사상을 널리 보급하기위해 설립된 것으로 전국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다. 일사불란한 질서 하에 이념을 주입시키려는 의지를 담고 있어 일정한 형식을 두고 만들어졌다. 예외 없이 제례영역인 대성전과 교육영역인 명륜당이 있고 외삼문(바깥문)과 내삼문(안문)등 각 영역 앞에 삼문을 두었다.

충남 금산의 진산향교, 향교문은 출입의 의미를 떠나 사고와 행동을 제약하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시작을 알린다
충남 금산의 진산향교, 향교문은 출입의 의미를 떠나 사고와 행동을 제약하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시작을 알린다 ⓒ 김정봉
향교 문은 출입의 의미를 떠나 사고와 행동을 제약하는 공간으로 들어가는 시작을 알린다. 특히 대성전의 삼문은 신성시하며 가운데 문은 신문이라 하여 혼백만이 출입하는 곳으로 여겼다.

외삼문과 내삼문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 향교 문과는 달리 사찰 문은 과감하게 생략되기도 하고 이름도 다양하다. 문은 공간과 함께 주체적으로 존재하여 하나의 세계를 형성한다.

금마문과 불로문 중 어디로 들어가시렵니까?

내소사 천왕문, 절 문은 공간과 함께 주체적으로 존재하여 하나의 세계를 형성한다
내소사 천왕문, 절 문은 공간과 함께 주체적으로 존재하여 하나의 세계를 형성한다 ⓒ 김정봉
절 경내로 들어서면 삼문 중 첫 번째 문이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오직 한마음(一心)으로 부처의 경지를 향하여 깨끗하게 걸어가라는 가르침이 있다. 이 대문에서부터는 부처의 세계에 들어온 것이다.

일주문 다음은 중문인 금강문과 천왕문이다. 절을 지키는 수문의 신장에 따라 사천왕을 모시면 천왕문, 금강역사를 모시면 금강문이라 한다. 본전에 이르는 마지막 문이 불이문이다. 진리는 둘이 아니며 진정한 불이(不二)는 모든 번뇌를 벗어나 참된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해탈문이라고도 한다.

문과 문 사이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거리만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까지 가려면 은행나무 길도 가고, 소나무 길, 전나무 길도 지나게 된다. 문을 지나감에 따라 속세와는 거리가 멀어지고 영역의 깊이 감이 더하게 된다.

생김새와 이름 혹은 주인의 상상력이 발휘되어 개성이 물씬 묻어 있는 문이 있다. 소쇄원 오곡문은 담 밑으로 넓적한 바위를 걸쳐 놓아 소쇄원으로 흘러드는 냇물이 자연 그대로 흐르도록 한 것인데 문으로 이름 지은 것부터 기발하다. 오곡문은 담 아래 터진 구멍으로 물이 암반 위에서 다섯 굽이를 이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람을 위한 문이 아니라 물을 위한 문이 아닌가 싶다.

소쇄원 오곡문, 사람을 위한 문이 아니라 물을 위한 문이다
소쇄원 오곡문, 사람을 위한 문이 아니라 물을 위한 문이다 ⓒ 김정봉
실재하고 있는 문이 상징성을 띠는 문도 있다. 청평사의 회전문이다. 청평사에는 여느 절 같으면 천왕문이 있어야 할 자리에 회전문이 자리하고 있다. 회전문이라 하여 빙글빙글 도는 최신식의 문을 연상하겠지만 중생들에게 윤회의 사상을 깨우치기 위한 '마음의 문'이다.

창덕궁 후원 애련지 영역의 불로문(不老門)은 이름과 생김새가 특이하다. 커다란 통 돌을 다듬어 'ㄷ'자를 엎어 놓은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이마에는 '불로문'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다. 창덕궁 안내자는 공부를 잘 하려면 불로문 옆에 있는 금마문으로, 늙지 않으려면 불로문으로 들어가라고 청하는데 나이 든 사람들은 모두 불로문으로 들어가는 재미있는 광경을 본다.

창덕궁 불로문, 이름과 생김새가 특이하다
창덕궁 불로문, 이름과 생김새가 특이하다 ⓒ 김정봉
이름으로 으뜸인 문은 창덕궁 주합루의 정문인 어수문(魚水門)이다. 물(水)과 물고기(魚)라, 신하와 임금은 물과 물고기의 관계와 같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크지도 않는 것이 앙증맞게 생겨 마주하고 있는 부용정의 자태와 썩 잘 어울린다.

문은 의미, 주체, 기능, 만든 이의 개성에 따라 여러 가지 문이 존재하지만 역시 살아 있는 문은 표정이 담겨 있는 문이다. 주인은 떠난 채 집 대문이 싸늘하게 잠긴 집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금줄을 달아놓아 외부인의 내왕을 삼가게 하고 몸과 마음이 부정한 자는 내왕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문이나 살짝 끈으로 감아 놓은 사립문의 문, 혹은 잠그지 않은 채 자물통만 문고리에 걸어 놓아 지금은 출타중임을 알리는 농촌의 문은 정겹기까지 한다. 이 문들은 살아 있는 표정을 담고 있다. 항상 굳게 닫혀 있는 문은 문이 아니라 벽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美不自美 因人而彰(미불자미 인인이창), 아름다움은 절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하여 드러난다. 무정한 산수, 사람을 만나 정을 품는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