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생활수준이 높아질수록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는 커지기 마련이다.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사회의 문화적 수준과 기업의 가치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생활수준이 높아질수록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는 커지기 마련이다.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사회의 문화적 수준과 기업의 가치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우먼타임스
[주진 기자] LG가 후원한 ‘태양의 서커스 퀴담’, 아모레퍼시픽이 제공한 영화 ‘천년학’(감독 임권택)의 옛 화장품 소품, ING생명의 뮤지컬 ‘라이온 킹’ 후원 등 최근 들어 국내 기업들의 메세나(Mecenat) 운동이 활기를 띠고 있다.

메세나는 기업의 자선과 나눔이라는 사회공헌활동 가운데 하나로 특별히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을 뜻한다. 이를테면, 기업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인 셈이다.

그동안 기업의 메세나 사업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널리 확산되어 왔다.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자금 지원 위주의 사업에서 벗어나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를 예술단체 매니저에게 전수하기도 하고, 젊고 실험적인 예술가들을 위한 작품 전시·판매 공간을 마련해주는가 하면, 상대적으로 문화를 접할 기회가 적은 저소득층, 농어촌 지역민들에게 문화예술 공연이나 문화교육을 제공하기도 한다.

현대중공업, 포스코처럼 본사 소재지가 있는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과 지역민 문화 향유를 위해 예술관을 짓는 등 아낌없는 투자를 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메세나 활동이 지역사회 공헌, 문화예술 발전뿐 아니라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제고라는 간접적인 효과로 이어지면서 최근엔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문화 마케팅으로서의 메세나 열풍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문화관광부와 한국메세나협의회는 지난해부터 ‘기업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주제 아래 중소기업과 문화예술단체 간의 매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벌써 21건의 결연 사례가 탄생할 정도로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활동이 이제 스폰서십(Sponsorship)을 뛰어넘어 기업과 문화예술 간의 파트너십(Partnership)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문화 마케팅의 하나로 메세나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본래의 메세나 정신이 퇴색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문화예술단체나 개인에 대한 후원보다 자체 기획 사업이나 프로그램 개발의 비중이 늘어나고, 특히 홍보 효과가 큰 국내외 대형 공연, 전시에만 대기업들의 지원이 몰리는 현상은 오히려 문화예술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전문가들은 중앙과 지역의 문화 불균형을 해소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한다. 박물관, 미술관, 오페라하우스와 같은 건축물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데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기업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세계적인 명소가 된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월트디즈니 콘서트홀, 구겐하임 빌바오 박물관, 텍사스 포트워스 현대미술관 등은 엄청난 초기 투자비용을 아낌없이 쏟아 부은 기업의 문화 마인드가 있었기에 설립될 수 있었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한다. 메세나가 문화예술에 의해 향유되는 아름다운 나눔의 가치를 잃지 않을 때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미래사회를 풍요롭고 윤택하게 이끌어나갈 문화코드, 문화 경쟁력이 되지 않을까.

메세나

메세나는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활동이나 지원자’를 뜻하는 프랑스어로, 그 어원은 고대 로마제국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대신이자 정치가, 외교관, 시인이었던 가이우스 마에케나스(Gaius Cilnius Maecenas, BC 67∼AD 8)가 당대 예술가들과 두터운 친교를 나누며 그들의 예술·창작 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해 예술부국을 이끌어낸 것에서 유래한다. 역사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메세나로는 르네상스 시대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 대 예술가들을 지원한 피렌체의 메디치 가(家)가 꼽힌다.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높았던 메디치가는 유럽 굴지의 금융업자로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공화국을 번영으로 이끌었다. 이 메세나의 전통은 1966년 미국의 카네기홀, 록펠러 재단으로 이어져 최근엔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자선과 문화 마케팅을 접목시킨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 지원 사업에 활발히 나서고 있다.


#우먼#여성#메세나#대중#공연
댓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