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언론단체와 시민단체들의 반대와 야당의 청문회 보고서 채택 거부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대통령이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임명을 강행한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가 26일 광화문 옛 정보통신부 건물에서 현판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같은 날, 같은 시각. '미디어행동'은 청와대가 위치한 청운동 동사무소 앞에서 '부적격 방통위원장 임명강행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청문회 보고서가 거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임명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강력하게 규탄하고 방통위원장 퇴진을 요구하였다.

 

'미디어행동'은 "더 이상 국민을 안중에 두지 않겠다는 독재적 발상"이라며 "미디어행동은 국민의 알권리를 보호하고, 방송독립을 지켜내기 위해 최시중씨를 온전한 방통위원장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최상재 언론노조위원장은 "이명박 정권의 공공성 말살 책동에 맞서 오늘부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다"며 "최시중씨의 방통위원장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언론노동자는 방통위원회의 모든 행정명령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이 국민의 2/3, 방송학자의 70%, 방송기자 98%가 반대한 인사를 독선적으로 방통위원장에 임명했다"며 "언론노조는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투쟁할 것이며 최시중씨의 임기가 단 하루 남은 시점까지 퇴진요구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한편, 언론노조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취임사에 대한 논평에서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이명박 정부의 키워드는 '융합'과 '성장'으로 방송과 통신의 칸막이를 걷어 국가 경제를 살리고 기업 활동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하게 풀겠다'고 했으며, 그가 말한 '방송통신의 관련 산업 매출 55조, 향후 5년간 생산효과 106조원, 일자리 100만개'라는 근거 불명확한 숫자를 들이대며 규제를 풀어 신문의 방송 교차소유와 겸영허용, 대기업의 방송진출 허용을 시사 했다"고 방송의 공공성과 독립성 훼손을 우려했다.

 

또 언론노조는 결의문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은 장기집권을 위한 필수도구인 방송과 통신을 장악하기 위한 길을 텄다"며 "최시중씨의 방통위원장 퇴진은 방송독립의 첫째 조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늘 방송독립 투쟁의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고 선언하였다.

 

언론현업단체와 시민단체가 최시중 방통위원장 퇴진을 요구하는 이유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대통력 직속기구기 때문. 대통령의 최측근인 최시중씨 임명은 '방송을 좌지우지 하려는 의도'라는 게 시민단체와 현업 종사자들의 주장이다.

 

언론현업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최시중씨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임명하는 것은 방송민주화 역사를 한참이나 거꾸로 되돌리는 시대를 역행하는 처사로, 곧 우려가 방송의 공공성 파괴라는 현실로 드러날 것이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퇴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태그:#방송통신위원회, #최시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현 미디어기독연대 대표, 표현의자유와언론탄압공동대책위원회 공동대표/운영위원장, 언론개혁시민연대 감사, 가짜뉴스체크센터 상임공동대표, 5.18영화제 집행위원장이며, NCCK언론위원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특별위원, 방송통신위원회 보편적시청권확대보장위원, 한신대 외래교수,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심의위원을 지냈으며, 영화와 미디어 평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