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추귀고둥 성체 대추 모양이면서 주둥이가 귀 모양을 닮은 대추귀고둥
대추귀고둥 성체대추 모양이면서 주둥이가 귀 모양을 닮은 대추귀고둥 ⓒ 윤병렬
대추귀고둥이 발견된 갯잔디 군락 갯잔디 군락과 소나무 숲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추귀고둥이 발견된 갯잔디 군락갯잔디 군락과 소나무 숲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 윤병렬

 

환경과생명을지키는경남교사모임(이하 경남환생교) 광포만 조사팀은 지난 5월 31일, 경남 사천시 서포면 조도리와 곤양면 대진리 일대에 걸쳐있는 광포만 생태조사 과정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에 해당하는 대추귀고둥 서식처를 발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대추귀고둥은 담수의 영향이 미치는 갯벌 조간대 상부의 갈대밭이나 갯잔디 군락 등 염생식물 주변에 서식한다. 확인된 개체수만 178개체에 이르며 국내 최대의 개체수임을 확인하였다.

 

곤양천 하구와 광포만 일대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천연기념물 종이 다수 서식하고 있어 정밀 조사와 함께 시급한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경남환생교는 경남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함께 환경부, 문화재청, 경상남도, 낙동강유역환경청, 사천시를 대상으로 광포만 일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천연기념물 서식 환경 및 서식현황 조사와 보호대책 수립을 요청할 예정이다.

 

온갖 생물들의 서식처가 되고 있는 광포만 갯벌 갯벌을 매립해서 조선소 공장을 유치하가 위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광포만 갯벌
온갖 생물들의 서식처가 되고 있는 광포만 갯벌갯벌을 매립해서 조선소 공장을 유치하가 위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광포만 갯벌 ⓒ 윤병렬
곤양천 하구 광포만의 갯잔디 군락 단일 규모로는 국내 최대의 갯잔디 군락이다.
곤양천 하구 광포만의 갯잔디 군락단일 규모로는 국내 최대의 갯잔디 군락이다. ⓒ 윤병렬
검은머리갈매기 광포만에서 월동하는 국제적 멸종위기 조류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갈매기광포만에서 월동하는 국제적 멸종위기 조류 '검은머리갈매기 ' ⓒ 윤병렬

한편 2000년부터 2008년까지 한일공동조사, 환경운동연합습지위원회 조사, 시민생태조사 등을 통해 광포만에서 관찰한 조류의 종수는 117종에 이른다. 이중 희귀 동물 종으로는 검은머리갈매기를 들 수 있다. 

 

검은머리갈매기는 전 세계에 1만여 개체가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국제보호종인 동시에 환경부 지정 보호종으로 광포만에는 약 150여 개체가 월동을 하고 있다. 2005년 겨울에는 재두루미 18개체가 혹한을 피해 갯잔디 군락에 약 1주일 정도 머무르기도 하였으며 국제적 멸종 위기 조류인 저어새 무리도 인근 서포 조류지에서 발견되었다.

 

천연기념물 제323호인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 천연기념물 제326호인 검은머리물떼새, 천연기념물 제201호 큰고니, 천연기념물 제323호 붉은배새매, 천연기념물 제323호 이며 멸종 위기종인 매, 천연기념물 제202호인 재두루미, 보호종인 뜸부기, 물수리, 알락꼬리마도요, 아비 등이 광포만을 찾아온다. 천연기념물 제324호인 수리부엉이는 광포만 주변 바위 벼랑에서 번식하고 있다.

 

이번 경남환생교 생태 조사에서는 멸종위기 1급에 해당하는 수달과 2급에 해당하는 삵의 흔적도 발견한 바 있다.

 
대추귀고둥은?

◎ 국 명: 대추귀고둥

◎ 학 명: Ellobium chinense 

◎분류:연체동물문(Mollusca);복족강(Gastropoda);원시유폐목(Archaeopulmonata);대추귀고둥과(Ellobiidae)

◎ 비 고: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급

 

 껍데기 주둥이 지름 17mm이며, 껍데기 높이 34mm이다. 껍데기는 대추 모양이다. 나탑은 원뿔 모양에 크기가 작다. 체층은 큰 편이며 껍데기 높이의 4/5에 이른다. 껍데기 주둥이는 매우 크며 껍데기 높이의 약 2/3에 이른다. 껍데기는 각피로 덮여 있고 각피는 갈색이며 두꺼운 편이다. 세로의 굵고 거친 성장맥이 체층과 다른 층에 나타난다. 항문이 있는 쪽은 좁고 앞쪽이 넓고 둥글다. 반면 껍데기 주둥이는 좁고 아래위로 길다. 축순에 이빨 모양의 돌기가 1개 있고 주둥이의 내부 입술은 흰색이다.

◎ 서식환경유형: 담수의 영향이 미치는 갯벌 조간대 상부의 갈대밭에 서식한다.

◎ 분포·생육지: 한국 서해안

◎ 특이사항: 한국의 서해안에서 채집되며 1속 1종이다.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 환경부에서 보호대상종으로 지정하였다.


#광포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으로 들로 다니며 사진도 찍고 생물 관찰도 하고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