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여수시 돌산도 천마산에서 만난 산딸나무. 이 산딸나무에는 바보 노무현의 일화가 스며 있습니다.
 여수시 돌산도 천마산에서 만난 산딸나무. 이 산딸나무에는 바보 노무현의 일화가 스며 있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오랜만에 지인들과 들꽃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여수시 돌산도 천마산 들꽃 탐사 초입부터 산딸기가 일행을 유혹하였습니다. 하여, 김한결(8)군은 천마산을 이렇게 부르더군요.

"이 산 이름은 딸기 산이에요, 딸기 산."

그만큼 산딸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들꽃 보기를 마다할 순 없었지요. 이번에 눈에 띄는 야생화는 산딸기와 이름이 비슷한 '산딸나무'였습니다. 이 산딸나무에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얽힌 일화가 숨어 있기도 합니다.

천마산에는 산딸기기 지천이었지요.
 천마산에는 산딸기기 지천이었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4ㆍ3 유족회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에 심은 '산딸나무'

산딸나무는 6월에 흰 꽃으로 무리지어 핍니다. 4장의 꽃잎처럼 생긴 흰색 포(苞)가 꽃차례 바로 밑에 십자 형태로 달려 꽃차례 전체가 한 송이 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진짜 꽃이 아닙니다. 그 안에 작게 핀 꽃이 진짜 꽃입니다. 열매는 10월에 붉게 익습니다. 산딸나무는 꽃과 단풍을 보기 위해 정원에 심기도 합니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산딸나무 일화는 정원수로 심은 데서 찾을 수 있습니다. 언론에 따르면 산딸나무는 지난해 11월, 제주 4ㆍ3유족회가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에 심었던 나무입니다. 4ㆍ3유족회가 산딸나무를 심은 이유입니다.

"노 전 대통령이 지난 2003년 제주를 찾아 4ㆍ3 당시, 국가권력이 불법하게 행사됐다.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했고, 3년 뒤 4ㆍ3사건 위령제에 참석한 첫 대통령으로 기록되는 등 4ㆍ3문제 해결에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4ㆍ3 유족회가 많은 나무 중 굳이 산딸나무를 택한 연유도 흥미롭습니다. 

"산딸나무 하얀 꽃은 제주도민의 순수한 마음을, 가을에 열리는 빨간 열매는 4ㆍ3의 아픔을 상징한다."

그 후 4ㆍ3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이 '꽃이 피는 내년 5월에 다시 오세요'라 했는데 이제는 그럴 수가 없게 됐다고 탄식했다"고 합니다.

산딸나무 꽃. 흰색 꽃잎은 진짜 꽃이 아니라 합니다. 그 안에 작게 맺힌 게 진짜 꽃이라 하더군요.
 산딸나무 꽃. 흰색 꽃잎은 진짜 꽃이 아니라 합니다. 그 안에 작게 맺힌 게 진짜 꽃이라 하더군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산딸나무는 열매가 딸기 맛이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산딸나무에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일화가 숨어 있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이쯤에서 시조 한 수 읊어야겠지요? 길재 님의 '회고가'입니다.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 데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봉하 마을에도 산딸나무 꽃이 만발했을 것입니다. 그가 그립습니다.

산딸나무. 봉하 마을 사저에도 꽃이 피었을 것입니다.
 산딸나무. 봉하 마을 사저에도 꽃이 피었을 것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다음과 U포터에도 송고합니다.



태그:#바보 노무현, #산딸나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