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광동 방문진 이사가 분석한 'MBC 주요 시사프로 주제 비교분석'
 김광동 방문진 이사가 분석한 'MBC 주요 시사프로 주제 비교분석'
ⓒ 장윤선

관련사진보기


<PD수첩> <2580> <뉴스후> 등 MBC 시사고발 프로그램의 통폐합을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던 김광동 방송문화진흥회(아래 방문진) 이사가 이번에는 시사고발 프로그램의 주제별 비교분석을 통해 동일한 문제의식의 똑같은 아이템들이 반복 보도되고 있다며 이것은 전파낭비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예를 들어 <2580>은 소외계층, <PD수첩>은 국가 성역 등 분야별로 다루면 좋을 것 같은 영역까지 피력하고 나서 방송국 고유권한인 프로그램에 방문진 이사가 일일이 간섭하려 드는 게 아니냐는 비판적 문제제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광동 이사는 7일 열린 방문진 임시이사회에 참석해 지난 2007년 1월 1일부터 올 6월 30일까지 2년6개월간 방영된 MBC 시사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 가운데 <PD수첩> <시사매거진 2580> <뉴스후> <100분토론>은 취지나 전개방식, 주제의식이 동일한 데도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반복 방영돼 공영방송으로서 부적합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질타했다.

우선 그가 분석한 A4 3쪽 분량의 도표에 따르면, <PD수첩> <2580> <뉴스후> <100분토론>은 지난 2년 6개월간 9개 분야에서 한 주제당 많으면 13꼭지까지 다뤘다.

김 이사가 나름대로 선정한 9개 분야는 ▲ 삼성 관련 ▲ 뉴타운 및 재개발 ▲ 한미FTA와 미국산 쇠고기 ▲ 시사저널 사태 등 언론과 방송 관련 ▲ 근현대사(뉴라이트 관련) ▲ 노동 및 노동운동 ▲ 대선과 BBK ▲ 용산참사 ▲ 미네르바 사건이다. 선정 이유에 대해서는 '시기별 주요 주제'라고 밝혔다.

방송문화진흥회 일부 이사들이 MBC 경영진에 대한 자진 사퇴를 압박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방송문화진흥회에서 열릴 방문진 정기이사회에 앞서 이근행 MBC 노조위원장과 노조원들이 김우룡 방문진 이사장(오른쪽)을 방문해 방문진 이사들의 발언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방송문화진흥회 일부 이사들이 MBC 경영진에 대한 자진 사퇴를 압박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방송문화진흥회에서 열릴 방문진 정기이사회에 앞서 이근행 MBC 노조위원장과 노조원들이 김우룡 방문진 이사장(오른쪽)을 방문해 방문진 이사들의 발언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2년6개월간 동일주제 6번... 많다?

지난 2년6개월간 <PD수첩>이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삼성 문제였다. <PD수첩>은 지난 2007년 1월 30일자 보도에서 <대기업과 싸우는 사람들>을 다룬 것을 비롯해 2년6개월간 삼성 관련 보도를 10번 다뤘다.

<100분 토론>은 지난 2007년 3월 22일 <한미FTA, 득과 실을 따져본다> 보도를 비롯해 한미 FTA와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2년6개월간 13번 다뤘다. 가장 많이 다룬 아이템이라고 김 이사는 분석했다.

<시사매거진2580>은 2007년 7월 29일 보도된 <KTX 승무원 500일의 농성>을 비롯해 노동 관련 이슈를 2년6개월간 6번 다뤘다. <2580>이 가장 많이 다룬 아이템이라는 게다. <뉴스후>는 지난 2007년 9월 8일 <재개발·재건축 거품을 벗긴다>를 비롯해 재개발 문제를 6번 다뤘고, 이 역시 <뉴스후>가 가장 많이 다룬 동일 아이템이라고 김 이사는 분석했다.

김광동 이사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사안을 다루려면 관점이나 전개방식, 출연진 등이 제각각 달라야 차별성이 있는 것"이라며 "MBC는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미국산 쇠고기 문제의 경우, <PD수첩>이 2008년 4월 29일 <미국산 쇠고기, 과연 광우병에서 안전한가>를 보도하면, 곧 이은 5월 4일 <시사매거진2580>이 광우병 문제를 분석한 <속아서 먹는다>를 송출, 나흘 뒤인 8일엔 <100분토론>이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를 다뤘는데 이 같은 방식이 문제라는 게다.

동일주제 연거푸 방송, '어떤 의도를 주입하기 위한 행태' 의심

동일한 주제를 연거푸 방송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MBC 구성원들이 국민들에게 '어떤 의도를 주입하기 위한 행태'로밖에 안 보인다고 김 이사는 비판했다. 

그는 "똑같은 취지의 프로그램을 반복 보도한다면 마땅히 통폐합 돼야 하지 않겠냐"며 "이 같은 행태는 MBC 구성원들이 공중파라는 방송을 활용해 자신들의 정치의식을 국민들에게 의식화하려는 행위로밖에 설명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의 이 같은 말은 MBC가 좌파 이데올로기의 선전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으로 들린다.

그는 "<2580>이 소외계층 문제를 다룬다면 <PD수첩>은 국가의 성역을 다루는 등 프로그램마다 서로 다른 분야의 아이템을 취급하는 것이 옳다"며 "프로그램별로 똑같은 아이템을 돌아가면서 방송하는 것은 국민의 방송인 MBC가 공정하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 웅변하는 셈"이라고 피력했다.

특히 김 이사는 "신문과 잡지는 정치적 색깔을 분명히 할 수 있지만 방송은 그러면 안 된다"며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공정방송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방송은 국민의 전파이기 때문에 공적 소유에 걸맞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방송문화진흥회 일부 이사들이 MBC 경영진에 대한 자진 사퇴를 압박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방송문화진흥회에서 열릴 방문진 정기이사회장 앞에서 MBC 노조원들이 MBC 장악 시도 저지와 언론자유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방송문화진흥회 일부 이사들이 MBC 경영진에 대한 자진 사퇴를 압박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방송문화진흥회에서 열릴 방문진 정기이사회장 앞에서 MBC 노조원들이 MBC 장악 시도 저지와 언론자유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편성권은 편성이사에게, 편성이사 해임권은 방문진에게

그러나 김광동 이사의 이 같은 주장은 편성권 침해 논란을 낳을 가능성이 높다. 방문진 이사의 역할을 넘는 수준의 프로그램 간섭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엄기영 사장도 김 이사의 이 같은 지적을 그냥 넘기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같은 지적에 김 이사는 "MBC의 편성권은 편성이사가 쥐고 있고 편성이사에 대한 해임권은 방문진이 갖고 있다"며 "편성이사가 편성을 잘한 것인지 못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방문진이 관리 감독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차원에서 얼마든지 의견개진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엄기영 사장은 이 같은 김광동 이사의 주장에 반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엄 사장은 "시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사회적 논란거리가 되는 주제를 위주로 다루다보니 이렇게 된 것"이라며 "어떤 목적을 갖고 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고 김 이사는 전했다.

MBC 노동조합은 김광동 이사가 프로그램 통폐합 발언 이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간섭하고 있다고 보고 이와 관련한 비판입장을 제기한다는 계획이다. 


태그:#김광동 방문진 이사, #시사매거진 2580, #PD수첩, #프로그램 간섭, #편성권 침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