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현대인들, 메워질 수없는 간격이 존재할 것이라는 혹은 상반된 이론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어느 한 쪽을 선택하여 다른 쪽을 여지없이 깎아내리거나 두 이론 사이에서 어중간하게 처신하며 살아간다.

 

창조론 신봉자들은 그들을 향한 그 어떤 의심도 이단시하고, 진화론 신봉자들은 무신론자 혹은 불가지론자가 되어 창조론을 공격한다.

 

어쩌면 그 둘의 간격은 좁혀질 것 같지가 않다. 그러다 보니 전체를 보고 판단하기 보다는 지엽적인 문제들을 보고 전체를 판단하고 정죄하는 우를 범한다. 하나의 작은 흠이나 결점으로 전체를 쓸모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일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인류의 역사는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갈등했으며, 지금도 여전히 극단의 두 부류가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프랜시스 S. 콜린스는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유전학자이자 과학자로서, 오랫동안 생명의 암호가 숨겨진 DNA를 연구해왔다. 1993년 세계 6개국 2천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총지휘하여, 10년 만인 2003년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31억 개의 유전자 서열을 모두 밝히는 게놈지도를 완성했다. 그는 대학시절 열렬한 무신론자였으나 유전학의 중요성과 가치를 깨달은 이후 하느님과 성경을 믿는 독실한 신앙인이 되었다.

 

그는 서론에서 이 책을 쓴 목적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진정한 과학자가 어떻게 초월적인 신을 믿는단 말인가. 이 책을 쓴 목적은 바로 이런 선입견을 떨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나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은 전적으로 이성적 선택일 수 있으며 신앙의 원칙과 상호 보완 관계에 있음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중략)......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이해하려면 과학적 관점과 영적 관점이 갖는 힘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pp.8-11)

 

그는 루이스가 지은 <순전한 기독교 Mere Christianity>를 통해 '도덕법(올바른 행동법)'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생각이라는 점을 발견한다. 그는 이 법은 다른 동물들에게도 간혹 나타나긴 하지만, 오직 인간에게만 해당하는 법이라고 본다. 그럼에도 역사적으로 종교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수많은 해악들에 대해서는 어찌할 것인가? 그에 대해 콜린스는 "우선 종교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훌륭한 일도 행해졌음을 기억하라......(중략)......지난 수 백년 동안 교회가 제 구실을 못했다고 해서 믿음 그 자체를 탓한다면 순수한 물을 탓하는 것과 같다"(p. 46)고 말한다.

 

믿음의 진실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깨끗하고 순수한 물을 봐야지, 녹슨 그릇을 보면 안 된다는 것이다. 오늘 날 한국사회에서도 이렇게 신앙의 본질을 훼손하는 종교인들로 인해 특정 종교가 도매급으로 매도당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순수한 물(신앙의 본질)을 보려고 타종교와의 대화를 시도하는 것 자체를 다원주의로 몰아붙이기도하고, 종교인들의 사회참여를 좌파로 매도하면서 '좌파=유물론자=사회주의자=무신론자'라는 얼토당토 않는 소아기적인 논리가 여전히 통하고 있는 것이다.

 

성서 문자주의에 얽매인 이들은 성시 비평학 같은 시도 자체를 부정한 것으로 여기며 '성서로 돌아오라!'고 한다. 그들은 종종 자신들도 성서 비평학을 공부했다고 하면서 성서 비평학의 허구를 주장하지만, 그들이야말로 성서 비평학의 본질의 근처에도 도달하지 못한 이들인 것이다. 자신의 비판이 정당성을 담보하려면, 자신이 비판하는 대상에 대한 전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 날 한국사회에서 타종교 혹은 같은 교파 내에서의 신학적인 비판의 내용은 많은 경우 상대방에 대한 이해 없이 마녀사냥식으로 행해진다.

 

콜린스는 게놈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경험한 사례들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진실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그리스도교가 자신ㄹ에게는 영원한 진실이라는 특별한 느낌을 주었다고 말한다. 그러한 저자의 개인적인 신앙에 대한 이야기들은 <신의 언어>라는 책을 읽어갈 독자들의 몫이다. 그는 과학적 세계관과 영적 세계관 모두에게서 배울 게 많다는 점을 인정하라고 한다.

 

"두 세계관은 세상의 굵직한 질문에 서로 다르면서도 보완적인 답을 내놓는다. 그리고 두 세계관은 지적이고 호기심 많은 21세기 사람의 마음속에 얼마든지 유쾌하게 공존할 수 있다."(p.228)

 

그는 종교인들과 과학자들에게 간곡한 부탁을 한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신이 모든 우주의 창조자라면, 신이 인류를 등장시킬 특별한 계획을 갖고 있었다면, 그리고 신이 인간에게 신을 향한 표지판 같은 도덕법을 심어놓고 그런 인간과 개인적 관계를 맺고자 했었다면, 우리처럼 하찮은 존재가 신이 만든 피조물의 장엄함을 이해하려고 안간힘을 쓴다고 해서 신이 위협을 느끼는 일은 없을 것이다."(p.231)

 

"신이 실재한다면 신의 목적은 우리의 목적과는 다를 때가 많다는 점도 인정하라. 인정하기는 어렵지만, 고통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우리의 영적 성장에 최선이 아닐 수도 있다. 고학이라는 도구가 중요한 질문에 충분한 답을 주지 못한다는 견해를 받아들이기가 불편한가? 현실을 실험으로 평가하는 데 일생을 바친 과학자들이 특히 이러한 불편함을 느낀다. 이들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이 모든 질문에 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진정할 경우 지적 자존심에 큰 타격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 타격을 이정하고, 내면화하고, 그것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pp.232-233)

 

콜린스는 이 책에서 무신론자 디킨스와 지적설계론 등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비판을 하고 있다. 그는 '유신론적 진화'의 관점을 대부분 받아들이며 '유신론적 진화'라는 합성어로 인한 오해로 인해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로고스에 의한 바이오스' 또는 '바이오로고스(BioLogos)라는 이름을 붙이면 어떻겠는가 제안을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콜린스의 이 말에 많은 위로를 받았다.

 

"종교인이라고 말해놓고 위선적인 행동을 한 사람에게 질린 적이 있는가?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영적 진실이라는 순수한 물이 인간이라 불리는 녹슨 그릇에 담긴 탓에 때로는 종교의 근간이 심각하게 왜곡된다 해도 그리 놀랄 것은 없다. 인간 개개인의 행동이나 종교 단체의 행동을 보고 신앙을 평가하지 말라. 그보다는 신앙이 제시하는, 시간을 초월하는 영적 진실을 보고 신앙을 평가하라."(p.232)


신의 언어

프랜시스 S. 콜린스 지음, 이창신 옮김, 김영사(2009)


#콜린스#게놈프로젝트#무신론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