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념촬영한 '다문화영상아카데미' 감독들
▲ 상영회를 마친 후 영화관 앞에서 기념촬영한 '다문화영상아카데미' 감독들
ⓒ 야마다다까꼬

관련사진보기


지난 23일 신촌 아트레온에서 제14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문화영상아카데미' 상영회가 열렸다.

지난 여름에도 내가 직접 취재하러 간 경험도 있었고, 그날도 인천시 부평구의 '인천여성의 전화' 내 '아이다마을'에서 '문화해석자' 모임을 마친 후에 직접 가기로 해서 가게 됐다. 우리 '아이다마을' 주민들이 '다문화아카데미'에 참여하면서 찍은 작품들도 궁금하기도 했다.

그날은 일본에서 일부러 이 '다문화 영상아카데미'를 보러 오신 관객까지 있었다. 오차노미즈 대학 젠더연구센터에 근무하신 국립 연구기관 연구원이며, 재일교포 3세인 서아귀씨였다. 몇 년 전부터 '아이다 마을'에 관심을 두고서 지난 3월에도 '아이다 마을'을 찾아오셨다. 특히 그녀는 이번 영화제에 참여한 이주여성들 인터뷰도 하면서 더욱 궁금해지게 된 것 같아 보였다.

나는 일본과 미국에서 교육을 받아 한국어를 잘못한다는 그녀를 위해 옆에서 통역을 도운 덕분인지, 내 자신도 또다시 이주여성들의 표현 활동에 대해 관심이 깊게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번 '다문화 영상아카데미'의 큰 특칭의 하나가 지난해와 다르게 이주여성들뿐만 아니라 한국여성들도 포함해서 참여한 교육이다. 실습을 하기 전에 8주간은 인문학적인 수업까지 준비되었단다. 그래서 그런지 확실하게 메시지가 강한 작품들이 눈에 띈다.

아이가 없다는 이뮤만으로 불편하게 살아야 할 이주여성들

어느 작품들도 같은 여성으로서, 엄마로서 공감을 느낄 점들이 많았다. 특히 인상에 남은 작품은 아이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차별 받고 있는 이주여성들의 다큐멘터리였다. 아이가 있더라도 항상 남편이나 시댁 식구들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야 할 것은 당연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이가 없다는 사실이 이주여성들의 재류자격에 더욱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들어서 알고 있었다.

<이주여성의 체류이야기> 속에는 감독이며, '한국이수여성인권센터' 이주여성 팀장으로도 활동 중인 베트남 출신의 레티마이 투(Le Thi Mai Thu)의 실제 이야기가 나온다. 신청 후 3개월만에 영주자격을 받은 그녀는, 조금 더 편하게 살기 위해서 국적수득신청을 해도 한동안 아무 소식조차 없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알고 보니, 자녀가 없는 이주여성의 경우 국적수득에 보통 2, 3년 이상 걸릴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단다.

또 영상 속의 인터뷰를 통해서 '소송 비자'라는 낯설은 비자의 존재도 알게 되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남편에게 이혼당했다는 어떤 이주여성이 소송하기 위해서 취득한 비자였지만 재류하는 동안에도 취직조차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측부터 일본 오차노미즈 대학, 젠더연구센터 서아귀, 그리고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레티마이 투다.
▲ 상영 후에도 기념 촬영 우측부터 일본 오차노미즈 대학, 젠더연구센터 서아귀, 그리고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레티마이 투다.
ⓒ 야마다다까꼬

관련사진보기


"한국은 민주주의국가... '표현의 자유' 믿어요"

영화 상영 후에 '감독과의 대화' 시간도 가지게 되면서 서아귀씨가 이런 질문을 꺼냈다.

- 문장이나, 연극이나 다른 표 현활동도 있을 텐데요, 왜 영화제작을 택했나요?
"저는 내향적인 성격이라서요, 그림 그리기 등이나 다른 표현활동도 해봤지만, 아마 영상을 통하면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잘 표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레티마이 투씨는 밝은 표정으로 또박또박 답해 주었다.

모든 행사를 마친 후 무대 위에서 너무 당당하게 서 있던 그녀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이런 질문도 다시 했다.

- 이런 표현 활동을 계속한다면, 혹시나 가족이나, 이 사회에서  비판받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안 하나요?
"한국은 민주주의국가지요? '표현의 자유'가 있다고 믿어요. 그래도 만약 비판 받은다면 투쟁 해야지요."

농담 같이 오른손을 올리면서 그렇게 말하는 그녀의 모습은 누구나 부정할 수 없는 정도로 씩씩하게 보여서 보기 좋았다.

이주여성이든 한국여성이든, 같은 여성으로서 잘 어울려가면서 진행이 된 감독과의 대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주여성 영화제작워크숍'을 경험하면서 그 힘든 일들도 알게 된 나라도 "아, 다시 영화를 만들어 보고 싶다"라고 느끼게 만들 정도로 매력적인 영화제였다. 올해에도 진행이 될 '다문화 영상 아카데미'가 벌써 기대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문화뉴스 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문화, #이주여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 이주민영화제(MWFF) 프로그래머 참여 2015~ 인천시민명예외교관협회운영위원 2017년~2019년, 이주민방송(MWTV) 운영위원 2021년 ~ 인천서구마을공동체 웃서모 대표 겸임 2023년~ 인천 i-View 객원기자 겸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