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대체: 5일 오후 2시 52분]

코레일에서 제시한 사업 정상화 방안이 부결됨에 따라 용산재개발사업은 장기 표류가 불가피해졌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PFV(프로젝트금융투자) 최대출자자인 코레일은 5일 오전 광화문 동화면세점 빌딩에서 이사회를 소집해 사업재추진을 위한 특별합의서 승인 여부를 논의했으나 삼성물산, 롯데관광 등 민간업체 반대로 결국 부결됐다.

이날 표결 결과 코레일(3명), KB자산운용(1명), 미래에셋(1명) 등은 찬성했지만 삼성물산(2명), 롯데관광(2명), 푸르덴셜(1명) 등의 반대로 특별결의 요건인 2/3를 넘지 못했다.

민간출자사 반대로 코레일 주도 재추진 무산

 광화문 동화면세점 빌딩에 있는 드림허브PSV 사무실 입구에 마련된 용산국제업무지구 모형.
광화문 동화면세점 빌딩에 있는 드림허브PSV 사무실 입구에 마련된 용산국제업무지구 모형. ⓒ 김시연

이에 따라 이날 오후 2시 예정이었던 드림허브 임시주주총회도 무산됐다. 코레일은 "이번 정상화 방안은 사업 무산시 발생할 서부이촌동 주민 피해와 출자금 손실 등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의 핵심은 '기득권 상호 양보'이었다"면서 "정상화 방안이 무산된 상황에서 '정부 불간섭 원칙'에 비추어 볼 때 더 이상의 대안은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코레일은 "앞으로 법과 원칙에 따른 공사의 프로세스에 따라 사업해제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레일은 오는 8일 오후 5시 코레일 이사회를 열어 사업협약 해제와 토지매매계약 해제를 결의하고 4월 30일까지 사업 파산에 따른 이행보증금을 청구하는 등 사실상 사업청산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날 부결 사태는 이미 예상됐다. 앞서 코레일은 4일 오후 6시까지 30개 출자사를 대상으로 특별합의서 동의서를 받았지만 18개사만 동의했다. 15.1% 지분을 갖고 있는 롯데관광개발을 비롯해 삼성물산(6.4%), 삼성SDS(3%), 푸르덴셜(7.7%) 등이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아, 동의한 주주 지분율은 30.5%에 그쳐 코레일(25%)을 포함해도 55.5%에 불과했다.

코레일은 지난달 15일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 재개발사업을 재추진하려고 특별합의서에 대한 찬반 여부를 물었다. 이번 특별합의서에는 코레일쪽 이사를 3명에서 5명으로 늘리는 한편 모든 이사회 안건을 과반 동의로 결의할 수 있게 하고 코레일이 사업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 등도 담아 사실상 코레일에서 이번 사업을 주도하려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이사회도 파행을 겪었다. 드림허브쪽은 이사회가 열리는 10층 엘리베이터 정차조차 차단하고 출입구부터 철저히 통제했다. 하지만 이날 오전 9시 소집된 자산관리위탁회사(AMC) 용산역세권개발(주) 이사회는 롯데관광쪽 이사들 불참으로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이어 오전 10시부터 열린 드림허브 이사회에는 이사 10명이 전원 참석했지만 '의견취합 결과로 다 깨진 것을 이사회 논의를 걸쳐 주총 소집을 할 필요가 있느냐'는 롯데관광개발쪽 반대 의견에 이어 이사회 의장인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이 일방적으로 폐회를 선언해 10시 50분경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이어 코레일쪽 이사들 요구로 오전 11시 30분경 이사회가 재소집됐지만 결국 합의에 실패했다. 민간 출자사들은 나름대로 민간 주도 정상화 방안을 제안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지난 2006년 코레일 부채 해결 수단으로 출발했으나 2008년 금융위기에 이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위기를 맞았다. 결국 수조 원 규모의 토지매매계약금이 불이행되면서 삼성물산이 지난 2010년 9월 주관사 지위를 롯데관광개발에 넘겼지만 결국 시행사인 드림허브PFV가 지난달 13일 차입금 만기 연장을 위한 선이자 52억 원을 지급하지 못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급기야 코레일이 공공개발 방식으로 재추진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국토해양부조차 반대하고 있어 정상화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다.

국회입법조사처는 4일 용산개발사업의 취약한 자본구조와 민간 출자사 위주의 불공평한 사업구조, 서부이촌동 구역 무리한 포함 등을 문제점으로 짚었다. 아울러 초기 부담금이 적은 단계적인 개발로 사업계획을 변경하는 한편, 3.77%에 불과한 자기자본을 10%대로 확대하고 서부이촌동 주민보상 대책을 서두르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용산재개발#용산역세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