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부 출입기자들이 공간 독점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충남도청 기자실 내부 모습
 일부 출입기자들이 공간 독점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충남도청 기자실 내부 모습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일부 출입기자들의 기자실 독점운영으로 불거진 충남도청 출입기자들 간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이 와중에 중재에 나섰던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대전충남 민언련)이, 대전충남세종기자협회(이하 기자협회)가 하루 만에 문제해결을 위한 합의를 깼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대전충남민언련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자협회 및 충남도기자단과 충남도청 출입기자단(충남도기자단에 속해 있지 않은 기자들로 구성), 충남도, 대전충남민언련 등 4자가 머리를 맞댔다. 지난해 말부터 논란이 돼 온 기자실 운영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된 자리였다.    

논의 끝에 참석자들은 3개 항에 합의했다. 3개항은 ▲시민사회 및 학계가 충남도청 기자실 문제의 합리적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기자단과 충남도가 협의해 실행한다 ▲ 향후 홍보비집행기준 및 건강성 확보를 위한 대안 마련에 공동의 노력을 기울인다 ▲ 기자실 운영방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소모적 논쟁이나 개별대응은 자제한다 등이다. 이에 따라 대전충남민언련은 기자실 운영방안을 논의를 위해 오는 18일 네 주체가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하지만 기자협회는 하루만인 4일 오후, 대전충남민언련에 번복입장과 함께 토론회를 비롯하여 이후 협의자리에도 불참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유는 두 가지다. 기자협회 소속 회원사들과 논의한 결과 충남도가 18일 예정된 토론회가 논의의 시작임에도 당장 어떤 해결책이 나오는 것처럼 인식하고 있고, 대전충남민언련이 그동안 회원사만을 표적 삼아 비판을 가해 진정성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대전충남 민언련 "명분도 신뢰도 저버린 무책임한 결정"

이에 대해 대전충남민언련은 5일 성명을 통해 "기자협회의 합의 파기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며 "대전충남 민언련 불신을 이유로 여러 주체들 간의 합의를 일방적으로 깬 것은  명분도 신뢰도 스스로 저버린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충남도 홍보협력관실 관계자도 "충남도를 비롯 여러 주체들간 합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이유를 들어 파기한 일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김화영 대전충남세종기자협회장은 '합의 파기 이유와 협회 차원의 해법'을 묻는질문에 "노코멘트(견해나 설명 요청에 답변하지 않는 일) 하겠다"고 말했다.

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은 "기자협회의 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예정대로 토론회를 열고 사회적 합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지역 언론의 건강성을 찾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에 기자협회가 진정성을 갖고 나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상황을 지켜보던 충남지역 다른 시민단체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말 충남도청이 대전에서 충남 홍성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충남도기자단이 기자실 운영을 독점하자 출입기자들 간 논란이 일었다. 현재 기자협회 소속 충남도기자단(대전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 KBS, MBC, TJB, 연합뉴스, 대전CBS, YTN 대전지국)이 도청기자실 내 책상을 독점사용하고 있다.


태그:#충남도청, #기자실, #출입기자, #기자협회, #대전충남민언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