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7 남북정상회담 마지막날인 10월 4일 오전 노무현 대통령 내외와 수행원들이 남포시 서해갑문을 방문했다. 노대통령이 서해갑문을 둘러본 후 방명록에 서명하고 있다.
 2007 남북정상회담 마지막날인 10월 4일 오전 노무현 대통령 내외와 수행원들이 남포시 서해갑문을 방문했다. 노대통령이 서해갑문을 둘러본 후 방명록에 서명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국가정보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을 사실상 포기했다'는 취지의 성명을 발표하자 "또 다른 정치 개입"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정원이 "국가 안보를 위해 팩트(사실)를 밝힌 것"이라며 정치 개입을 전면 부인했다.

국정원 대변인은 12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팩트를 얘기한 건데 국정원의 정치적 견해라고 오해한 것"이라며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원문이 100 페이지가 넘고 양도 방대해 혼동을 가져오는 거 같다, 이걸 그대로 방치하면 결국 국론 분열로 가니 국가 안보를 위해서 다시 한 번 팩트를 정확하게 밝혀주는 게 필요했다"고 말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원문을 공개한 것도, 이후 또 다시 성명을 통해 회의록 내용에 대한 국정원의 견해를 밝힌 것 모두 "국가 안보를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평화적 공동 수역이라 선동하면 국론 분열될 수 있다"

지난 10일 국정원이 발표한 성명에는 "육지에서 현재의 휴전선에 배치된 우리 군대를 수원-양양선 이남으로 철수시키고, 휴전선과 수원-양양선 사이를 '남북공동관리지역'으로 만든다면 '휴전선 포기'가 분명한 것과 같다"는 '가정법'이 등장한다.

이 부분을 '팩트'로 볼 수 있냐는 질문에 국정원 대변인은 "NLL을 평화수역으로 하게 되면 나타날 결과는 전문가가 아니면 짚어줄 수 없다, 평화적으로 공동 수역하자고 선동하면 국론이 분열될 수 있다"며 "그것도 해석이라기 보다는 팩트"라고 강변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원 개혁을 주문한 직후 국정원이 성명을 발표한 것을 두고 각종 해석이 나오는 데 대해서도 그는 "정치적 고려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8일 박근혜 대통령은 "NLL 수호의지를 분명히 해 더 이상 논쟁과 분열을 막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기조와는 반대로 국정원이 성명 발표로 기름을 붓자 "국정원의 하극상이다", "박 대통령의 지시"라는 등의 비판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

대변인은 "정치적 고려를 했다면, 항명이라는 얘기를 듣지 않게 피해가면서 날짜를 택했을 것"이라며 "(논란이 있는 것이 오히려 국정원이) 정치적 고려가 없다는 걸 반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기록원이 보유한 회의록 원문과 국정원이 갖고 있는 회의록이 같은 거냐는 질문에 "국가기록원에 있는 건 청와대 것이 넘어간 거다, 청와대가 의견을 (추가로) 넣어서 만들었는지 아닌지는 모르지 않냐"며 "우리는 우리 거 밖에 모르니, 두 회의록이 같은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야권에서는 국정원 보유 회의록이 조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는데, 역으로 국정원은 청와대가 내용을 추가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한편, 민주당은 국정원 성명 발표 시 제시한 NLL 관련 지도가 허위라며 남재준 원장과 국정원 대변인을 검찰에 고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대해 대변인은 "코멘트할 필요 없다"며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태그:#국정원, #NLL, #성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