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재동 화백이 포천시민과 만났다. 포천교육문화 사회적협동조합(추진위)은 포천시민과 함께 교실안의 인문학이 아닌 삶으로 이어지는 인문학을 배우기 위해 포천시민 큰 배움터를 열고 있다.

지난 2월 11일 포천시립중앙도서관을 꽉 채운 150여 명의 시민과 함께 한 첫번째 특강의 강사는 얼마 전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에서 일본군 위안부 만화기획전에 참가하고 돌아 온 박재동 화백.

박 화백은 '아이는 아이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어른의 보호 아래 배우고 평가받기만을 반복해야 하는 아이가 아닌 인간으로 존엄성을 갖춘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인정받으며, 어른의 친구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기존 우리가 알고 있던 아이와 교육체계에 대한 생각에 다소 반하는 듯한 이야기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불온한(?) 그의 교육관은 다음과 같다.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작한 인권영화 [별별이야기] 중 여섯번째 이야기 http://youtu.be/7tkc5OooleQ
▲ 강의 서두에 감상한 박재동 화백의 '사람이 되어라' 한 장면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작한 인권영화 [별별이야기] 중 여섯번째 이야기 http://youtu.be/7tkc5OooleQ
ⓒ 국가인권위원회

관련사진보기


"아이들을 그대로 인정해라"

대부분 부모나 교사들은 아이들이 말을 잘 안 듣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아이들 입장에서 어른들이 올바른 말을 기분 나쁘게 이야기 하므로 아이에겐 그것이 일종의 굴욕으로 다가 오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훈육의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부모와 교사 보다는 한, 두 살 많은 형의 말을 더 잘 듣는다.

친구처럼 함께 어울리는 그룹에서 1~2살 차이가 어마어마한 존재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인정하고 존경해 주어야 한다. 그것이 거창한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웃고 재잘거리고 뛰노는 생명력에 존경과 감사, 감탄하는 것이 그 시작일 수 있다.

"아이들도 가르칠 수 있다"

초, 중, 고 12년을 아이들은 교실에 앉아 배우기만 하고 시험을 통해 평가를 받는다. 아이들이 답만 쓰는 것이 아니라 의문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은 국, 영, 수 말고도 잘 하는 것들이 많다. 어른들에게 스마트폰을 가르칠 수도 있고, 공룡에 대해 가르칠 수도 있고, 아이돌 계보에 대해 가르칠 수도 있다.

이날 박화백은 온화한 미소와 부드러운 어조로 볼온한(?) 교육관을 이야기 해주었다.
▲ 박재동 화백 이날 박화백은 온화한 미소와 부드러운 어조로 볼온한(?) 교육관을 이야기 해주었다.
ⓒ 신춘열

관련사진보기


"꿈나무에 그치지 말고, 지금 해라"

아이들에게 만화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데, 지금 만화가를 하라고 얘기한다. 어린이 만화가가 되면 된다. 주변의 소재를 가지고 대상을 정하고 만화를 그려라. 그리고 그것을 팔아라. 그럼 프로만화가가 된다. 실제 국내에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꼬불이'라는 만화를 그려 책을 출판했고 일본어로 번역이 되기도 했다. 국제적인 프로만화가가 된 것이다.

무언가 하고 싶다면 꿈만 키우는 꿈나무가 되지 말고 지금 할 수 있게 해주어라. 일찍 시도를 해보고 실패도 해보아야 성장의 기회를 통해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다. 과거 어려웠던 시절 한 집안을 책임져야 했던 소년, 소녀 가장들이 우리나라를 이렇게 훌륭한 국가로 만들었기에 그 부모들은 아이들이 먹고 사는 것에 신경 쓰지 않고 공부만 열심히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하지만 사회가 너무나도 잘 짜여 있어서 수동적으로 교과 공부만 열심히 해서는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지금 무언가를 시도해 보고 돈도 벌어보는 등 야성을 키워야만 한다.

"학교가 공부만하는 곳이어서는 안 된다"

우리 아이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과거 고교 미술교사 시절. 한 달의 시간을 주고 각 학급을 상징하는 무언가를 만들어 보라는 수업에서 학생들은 다리도 만들고 남대문도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궁금한 분야에 대해 스스로 공부하고 공동의 작업을 원만히 해결하는 방법 등을 익히고 성적으로 드러나지 않던 아이들의 재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는 또래 아이들이 함께 모여 생활하는 곳이다. 생활이 먼저고 그 다음에 공부가 있어야 한다. 공동의 생활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주체가 되어 스스로 행복하고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새 시대의 성공하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태그:#박재동, #교육, #포천시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작가가 꿈인 11살 딸과 누가 먼저 작가가 되는지 내기 중(3년째). 2002년 체험학습 워크북인 '고종황제와 함께하는 경운궁 이야기'(문학동네)의 공저자로 이미 작가라 우김. '럭키'는 8살 아들이 붙여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