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세월호 사고 직후 '안산 단원고 학생 전원구조' 오보를 접한 이주영 해양수산부장관의 지시로 해경은 즉시 오보 시정 조치에 나섰지만, '오보의 확대재생산'은 멈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에서 해양수산부·한국선급·한국해운조합을 대상으로 열린 세월호 침몰사고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에서 이 장관은 자신이 사고 당일(4월 16일) 오전 10시 45분부터 인천 해양경찰청 상황실에 있는 동안 TV에서 나온 '안산 단원고 학생 전원구조' 소식을 봤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보도를 보면서 '저건 완전히 오보다'라고 해경차장과 얘기하면서 해경차장에게 '보도를 시정시켜라'라고 얘기했던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해경차장에게 '오보니까 방송국에 전화해서 시정조치를 하라'고 했고, 차장은 그렇게 조치했다고 보고했다"라고 설명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따르면 '전원구조' 최초 오보는 MBC에 의해 오전 11시 1분에 나왔고, 23분 뒤인 11시 24분 MBC는 오보를 정정했다. 그러나 가장 늦게 오보를 내보낸 KBS의 최초 오보시간은 오전 11시 26분으로, MBC가 이미 정정보도를 한 2분 뒤였다. KBS는 5분 뒤인 11시 33분 정정보도를 내보냈다. 케이블 채널 뉴스Y는 오전 11시 6분에 오보를 내보낸 뒤 오전 11시 50분에야 정정보도를 내보냈다.

MBC의 오보를 정정했더니 KBS가 오보를 내고, 뉴스Y는 44분간 오보상태를 유지한 건 해경의 오보 정정 요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재난보도 중 결정적인 오보가 나올 경우 신속하게 정정을 요청할뿐 아니라 오보가 다른 언론사에 의해 확산되는 일을 막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날 의원들은 '전원구조 오보는 해수부의 잘못된 상황보고서에 기인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사고 당일 해수부가 낸 상황보고서 2·3보에 "11:00 현재 인명피해 없음"이라고 기재한 게 언론에 전해져 결국 '전원 구조' 오보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얘기다.

그러나 이 장관은 "'현재까지 인명 피해 없음'이라고 한 건 공식적인 사망자 집계 내용을 표현하면서 그렇게 했던 것"이라며 '전원 구조' 오보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면서도 "오해가 있을 수 있는 표현이었고 적절하지 못했다"라고 사과했다.

참사 뒤 77일간 진도 현장에 있다가 이날 국회에 출석한 이 장관은 수염을 깎지 않은 채 시종일관 겸허한 자세와 책임있는 답변으로 국정조사에 임해 전날 의원들의 질타를 받은 강병규 안행부장관·김관진 당시 국방부장관(현 청와대 안보실장)과 대조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선급과 한국해운조합에 대한 조사는 순조롭지 못했다. 한국선급은 회장이, 한국해운조합은 이사장이 세월호 사고에 책임을 지고 사퇴해 각각 직무대행이 출석했다. 또 검찰의 해운비리 수사 때 각종 자료들을 압수당해 특위가 요구한 자료들을 제출할 수 없었다.

가족 대책위 "현장 국조 약속 깬 여당, 진도 와서 사과하라"

한편, 세월호 가족 대책위는 여당이 해수부, 해경에 대한 국정조사 기관보고를 진도에서 진행하겠다고 한 약속을 깼다며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1일 낸 성명서에서 진도 현장 국정조사가 필요했던 이유를 ▲ 해수부·해경의 기관보고가 실종자 수색에 차질을 줄 것이 명백한 점 ▲ 현장 중심의 국정조사가 필요한 점 ▲ 수색현장을 떠날 수 없는 실종자 가족의 국정조사 참관이 중요한 점 ▲ 국회가 고통의 통곡의 현장인 진도에서 국민의 여망에 부응해야 한다는 점 등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지난 6월 27일 심재철 위원장과 권성동·윤재옥·이재영·김명연 의원 등 새누리당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이 실종자 가족과의 간담회에서 진도 현장 국정조사를 약속했고, 심 위원장이 여당 간사(조원진 의원)에게도 확인됐다고 확답한 사실을 거론했다. 결국 조원진 의원의 반대로 진도 현장 국정조사가 무산된 데에 대책위는 "여당은 여의도 국회에서 해수부·해경에 대한 기관 보고를 받아야겠다며 실종자 가족과의 약속을 파기하고 국회의 오만한 권위를 지키려 했다"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이어 "7월 1일 화요일 2시는 수색구조 장비기술연구TF가 열려야 하는 시간"이라며 "조속히 회의를 개최해 수색 계획을 보완해 실행해야 하는데, 해수부의 실무 책임자들이 국회로 떠난 지금, 회의실에는 아무도 없다"라고 성토했다. 대책위는 "기관 보고 장소가 여의도로 결정된 6월 20일 밤, 가족들은 국회로부터 버려진 참담하고 비통한 심정으로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차가운 바다를 헤매는 11명의 사랑하는 이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기를 바랄 뿐인, 팽목항을 외롭게 지키는 우리 실종자 가족들은 국민이 아니었는지 여당에 묻고 싶다"라면서 "우리는 거짓을 말하는 이들이 책임을 묻고 질책하는 모습을 원하지 않는다, 위원장을 비롯한 여당 국조특위 위원들이 실종자 가족들을 찾아와 국민과 실종자 가족 앞에 진실한 모습으로 사과하기를 바란다"라고 요구했다.


태그:#세월호, #국정조사, #이주영, #전원구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