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거리 역사강좌 마지막날인 30일 오후 강의를 들은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거리 역사강좌 마지막날인 30일 오후 강의를 들은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 윤근혁

관련사진보기


"올바른 역사교과서? IS와 같은 발상에서나 가능한 소리다. 합리성과 다양성이라는 민주주의 가치가 전제되지 않은 이런 발상은 '이단'을 처벌하듯 반대 세력을 밟아 죽이게 된다."

국정교과서 반대 거리 역사강좌 마지막 날인 30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빌딩 앞 길섶. 강의에 나선 김육훈 역사교육연구소장(서울 독산고 역사교사)은 국정교과서 추진 세력을 이슬람 과격테러세력인 IS(이슬람국가)에 견주며 날을 세웠다.

"국정교과서 추진, '이단' 처벌하듯 반대세력 밟는 것"

'역사쿠데타를 멈춰라!', '국정교과서,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란 글귀가 적힌 손팻말을 든 80여 명의 참석자들은 손뼉을 치며 호응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해 11월 복면을 쓴 채 거리 시위에 나선 시민들을 겨냥해 "아이스(IS)도 그렇게 하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당시 '시민을 IS에 비유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날 오후 1시, 김 소장은 '제10강-역사교과서의 대안을 탐색한다'는 주제의 강의에서 "지난해 11월 황교안 국무총리가 기존 역사교과서는 99.9%가 편향된 교과서이며 0.1%만 올바른 교과서라고 말했다"면서 "누가 뭐라 해도 갈 길은 가겠다는 이런 태도는 IS와 같은 발상에서나 가능한 소리"라고 몰아붙였다.

이어 김 소장은 "합리성과 다양성이라는 민주주의 가치가 전제되지 않은 이런 발상은 '정통과 이단'을 떠오르게 한다"면서 "이단을 처벌하듯 '자신들이 올바르다'는 이유만으로 반대 세력을 밟아 죽이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김 소장은 "실제로 공당 최고위원이 말한 '국정교과서 반대하는 사람은 국민이 아니다'는 말은 이런 발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현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지난해 10월 27일 국회에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사람은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김 소장은 "친일독재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전북 등 4개 교육청이 만들고 있는 도정교과서 방식의 역사 대안교재도 적합하지 않다"면서 "단일한 역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어느 한 사람도 같은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전제에서 교과서 제작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소장은 기자에게 "일부 진보교육청이 도정교과서 형태의 대안교재를 만드는 것은 이해한다"고 전제하면서도 "교육청은 민간이 이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또 다른 획일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30일 오후 김육훈 역사교육연구소장이 강의하고 있다.
 30일 오후 김육훈 역사교육연구소장이 강의하고 있다.
ⓒ 윤근혁

관련사진보기


거리 역사강좌는 지난해 11월 21일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의 강의를 시작으로 마지막 날인 이날까지 모두 10차례 진행했다. 그동안 하일식 연세대 교수, 이준식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한철호 동국대 교수, 이이화 서원대 석좌교수 등이 강의했다.

460여 개 교육사회 단체들이 모인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아래 국정화저지넷)는 올해 3·1절에 맞춰 이들 강의 내용을 담은 단행본을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상권 "올해는 국정화에 대한 정치적 심판이 기본"

한편, 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섰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황우여 전 교육부장관(새누리당 국회의원 예비후보),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 등에 대한 낙선운동이 펼쳐질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화저지넷은 오는 2월 4일 국회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4월 총선에서 '국정화 찬성세력 심판'을 선언할 예정이다.

한상권 국정화저지넷 상임대표는 이날 "국정화에 앞장선 김무성, 황우여, 이정현에 대한 공개 심판 활동을 벌이기로 했다"면서 "지난해까지 국정화 반대 운동은 학문적으로 진행했지만, 올해에는 정치적 심판이 기본"이라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냈습니다.



태그:#국정교과서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시민기자 필독서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