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산천단과 삼성혈

제주의 강한 토속신앙은 조선시대 위정자들에게도 꽤나 큰 골치거리였던 것 같습니다. 유교를 국시로 삼는 그들에게 토속신앙은 미개하게 보였겠죠. 1700년대 뭍에서는 흐지부지했던 억불정책을 핑계로 많은 사찰들을 폐사시킨 것도 불교가 토속신앙과 결부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조선은 제주도의 토속신앙을 통제하기 위해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것은 바로 유교와의 접목입니다. 제주도민들은 아주 오래 전부터 한라산 백록담에서 천제를 지내왔는데, 조선은 이를 산천단이란 공간에서 유교식으로 지내게 합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한라산을 오르다가 많은 사람들이 얼어죽기때문이라는데 아마 이 역시도 유교화와 관계가 있는 듯 합니다.

삼성혈의 존재도 마찬가지입니다. 제주 고,양,부의 삼신인 전설은 조선 위정자들에게 불편했을 지도 모릅니다. 제주가 탐라였음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며 반역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니까요. 따라서 조선은 삼성혈 역시 유교식으로 성역화합니다. 위패를 세우고 제단을 만드는 등 당시 이데올로기인 유교를 앞세워 제주의 역사를 순응시킨 것이지요.

제주도의 억불정책과 유교화는 흥미로운 주제인 것 같습니다.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