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캐롤라인 냅 '개와 나'
캐롤라인 냅 '개와 나' ⓒ 나무처럼

결국 코로나에 걸렸다. 고열은 이틀 만에 내렸지만, 근육통과 무기력증이 오래갔다. 방에서 일주일간 격리하며 이 책 저 책 들춰보았지만 금방 덮곤 했다. 그러나 캐롤라인 냅의 <개와 나>는 너무 사랑스러워서 끝까지 읽을 수밖에 없었다. 사람 손과 개의 손이 마주 대고 있는 표지부터 아주 따뜻하다. 물론 책 읽는 내내 내 옆에는 반려견 망고가 함께 있었다.

개에 대한 환상을 버리세요
 
 반려견 망고
반려견 망고 ⓒ 전윤정
 
작가 캐롤라인 냅이 3년 동안 부모를 차례로 여의고 알코올중독을 치료받은 그때, 7년간 근무한 보스턴의 신문사 기자를 그만두고 '프리랜서'라는 불확실한 길로 들어서던 그때, 동물보호소에서 셰퍼드 잡종 개 루실을 만난다. 막막하고 불확실한 그녀의 삶 한가운데 들어온 개 루실은 냅의 마음속 어둠을 몰아내고 안정감을 주었다.
 
"개는 인간에게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한 가지 속성이 있다. 그것은 내가 나라는 사실만으로도 가치 있는 존재임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무조건 상대에게 수용되는 경험은 내게는 기적과도 같았다." (51쪽)
 
개가 주는 기쁨은 순수하지만 단순하지 않은 사랑이다. 따라서 작가는 개에 대한 환상은 버리라고 충고한다. 개는 집안에 오줌을 싸고 물건을 망가트리고 짖는다. 그들의 행동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개는 망나니일 뿐이다. 슬리퍼를 물어다 주는 사랑스러운 반려동물을 꿈꿨지만, 현실 속 개는 슬리퍼를 씹어놓는다.

개는 살아있는 인형도 아니고, 털옷을 입은 사람도 아닌 본능을 가진 동물이다. 개를 절대 낭만적으로 포장해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나 역시 개를 기르고 싶어 하는 지인이 있으면 힘들고 어려운 점부터 말한다.

"털눈이 내린다아~ 샤랄랄랄라~" 우리 집에는 매일 털눈이 내린다. 우리 집 반려견 웰시코기 망고가 엄청나게 뿜어내는 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웨일스 귀염둥이'로 등재될 정도로 쫑긋한 귀와 동글동글 엉덩이가 귀여운 웰시코기는 털이 많이 빠진다. 가끔 인터넷에는 고양이와 웰시코기 중 누가 더 털이 많이 빠지나요?라는 질문이 종종 올라올 정도다.

개와 우아하게 산책하기 역시 환상이다. 개는 냄새를 맡으며 스트레스를 푼다고 한다. 공원에서 풀냄새, 다른 개의 배설물 냄새, 쓰레기 냄새 등등을 맡느라 산책은 더디기만 하다. 망고가 제일 좋아하는 냄새는 지렁이인데, '오, 이 냄새는 집에 가져가야해!'라는 기세로 자기 목덜미에 묻히려고 하면 나는 기겁을 하고 리드줄을 끌어당기게 된다.

캐롤라인 냅은 자기 반려견 루실과의 개인적인 이야기에서 그치지 않고, 저널리스트답게 취재를 통해 사람과 개의 다양한 사례를 인용하고 있다. 개와의 관계를 통해 어릴 전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받았던 상처를 마주한 조안, 가정폭력을 행사하던 남편이 죽자 자신이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려견의 공격을 받은 마사의 이야기도 인상적이다.

많은 커플과 가족이 개를 통해 더 유대가 깊어지기도 하지만 불화를 겪기도 한다. 7년간의 결혼 위기를 극복하고자 반려견을 입양했다가 성격 차이를 더 확인하는 계기가 되어 이혼한 캐롤린과 마크 커플이 그렇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개는 훌륭한 가족의 일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버지니아 의대 교수인 샌드라 바커와 랜돌프 바커가 실시한 연구에서 개를 키우는 122 가족 중 1/3에 가까운 사람들이 가족 가운데 개에게 가장 친밀감을 느꼈다고 응답했을 정도다.

무엇보다 개들은 우리를 비난하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나 역시 집안에서 종일 나를 종종 따라다니며 나의 모든 것을 말없이 지켜 봐주는 망고의 존재는 특별하다. 일본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도 우리가 태연히 우리 자신의 어리석음을 겉으로 드러내고도 부끄러워하지 않을 때는 어린아이, 개나 고양이를 대할 때뿐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개를 키우고 나서 내 삶이 달라졌다
 
 반려견 망고의 '털'
반려견 망고의 '털' ⓒ 전윤정

예전부터 나는 동물을 키우게 된다면 고양이가 아닌 개를 키울 것 같다고 막연하게 생각하곤 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구체적인 근거를 알게 됐다.
 
"어린 시절 개와 함께 성장한 사람들은 어떤 내적 기제에 따라 개와 자신을 연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펜실베니아 대학 동물복지학 교수 제임스 서펠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선택할 때 상당한 종 충성도를 보인다. 어린 시절 개와 함께 자라면 어른이 되어서 개를 키울 확률이 높고 고양이 함께 자라면 커서도 고양이를 키우게 된다는 것이다." (32쪽)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 아주 어린 하얀 강아지를 집 안에서 키웠다. 그 시절 흔했던 잡종 강아지였을 것이다. 한 살 차이 나는 남동생과 나는 강아지를 '흰둥이 백작님'이라 불렀다. 이불이 마차라면서 강아지를 태운 이불을 방 안 이리저리 끌고 다녔던 기억이 난다. 그 나이에 '백작'이라는 작위를 어디서 알게 된 것인지 모르겠지만, 지금도 노란 필터가 끼워진 따뜻한 추억으로 남았다.

그리고 45년 만에 개를 키우게 되었다. 종일 방에 있으면 답답할 텐데도 반려견 망고는 코로나에 걸린 남편과 나와 함께 한방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 망고의 한없이 깊은 눈과 도톰한 발은 보기만 해도 마음이 따뜻해진다. 비대칭 얼굴 무늬는 볼 때마다 웃음이 나고 흰 목과 하얀 다리는 불을 꺼도 환하게 빛난다. 남편은 인후염이 심해서 계속 기침하면서도 망고의 무지막지하게 날리는 털 속에서 견뎠다. 망고는 그보다 더 많은 기쁨과 위로를 우리에게 주니까.

개를 키우면 삶의 많은 부분이 달라진다. 개는 그전에는 몰랐던 세상에 여러 가지 색깔을 펼쳐주기 때문이다. 그 색깔들은 '야성', '애정', '믿음', '기쁨', '수용' 등 기르는 사람마다 붙이는 이름이 다를 것이다. 캐롤라인 냅의 <개와 나>는 인간과 다른 종과의 소통을 통해 확장되는 새로운 세상으로 부드럽게 인도한다. 개를 기르는 사람, 개를 기르고 싶은 사람 그리고 개를 왜 기르는지 궁금한 사람 모두에게 개의 섬세하고 따뜻한 다정함을 전한다.
 

개와 나 - 사람과 개, 그들의 깊고 오묘한 러브 스토리

캐럴라인 냅 (지은이), 고정아 (옮긴이), 나무처럼(알펍)(2021)


#개와나#캐롤라인냅#반려견#코로나#반려동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호기심으로 세상의 나뭇가지를 물어와 글쓰기로 중년의 빈 둥지를 채워가는 사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