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체육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일반 국민 절반 이상이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지만, 장애인용 시설은 턱없이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인다.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장애인전용체육시설 현황에 따르면 장애인이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전용시설은 전국에 69곳뿐이다. 장애인구 약 3만 8000명당 1곳에 불과한 수치다.
반면 통계청의 인구 10만 명당 체육시설 수 자료를 보면 비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은 인구 1160명당 1곳으로, 장애인전용체육시설 수와 30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생활체육의 즐거움이 장애인에게는 하늘의 별 따기다. 2021년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비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60.8%다. 이는 2012년 43.3%였던 것에 비해 17% 이상 증가한 것으로 절반 이상의 국민이 일상 속에서 체육활동을 즐기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장애인의 체육여건은 열악하다. 전국에 등록된 장애인은 약 265만 명이다. 그러나 생활체육을 즐기는 비율은 20.2%로 5명 중 1명꼴에 불과하다.
이처럼 생활체육 참여율과 체육시설 현황 통계는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생활체육 참여율이 낮은 것은 단순히 신체적, 정신적 제약 때문이 아니라 체육시설의 부족으로 참여를 못 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특히 체육시설 현황 격차에 비해 참여율 격차가 적은 것은 장애인의 일상 생활체육 참여 의지나 욕구가 상대적으로 더 강함을 유추할 수도 있다.
"지자체에서 장애인체육회 운영하고 안 하고 차이"
해결 방법은 없을까. 지역별 장애인 체육시설 현황을 통해 개선 방향을 엿볼 수 있다. 대전광역시는 전국 17개 시·도 중 장애인 전용체육시설 인프라가 가장 좋은 지역이다. 지역 내 장애인구 약 7만 2000명에 전용체육시설 8곳으로, 9000여 명 당 1곳이 운영 중이다. 이는 전국 장애인 시설 평균의 4배 이상에 달한다.
대전의 한 전용 시설에서 3년째 수영 활동을 하는 박아무개(26)씨는 "타지역에 살 때는 운동시설에 가려면 장애인콜택시를 부르고 기다리는 시간까지 왕복 2시간 이상 걸려 포기했었는데 여기 대전에서는 수영장 접근성이 용이해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대전광역시가 타지역보다 좋은 장애인 체육시설 인프라를 가진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한 장애인체육회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장애인체육회를 자체 운영하고 안 하고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기초단체 단위의 장애인체육회는 지역 맞춤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게 지역 장애인 체육활동 환경 조성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실제 대전은 5개의 기초단체 중 3곳에 장애인체육회 있으며, 이들이 장애인전용체육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반면 인천광역시는 장애인구가 약 15만 명으로 대전보다 2배를 많지만, 전용체육시설은 2곳으로 1/4 수준이다. 전용체육시설이 훨씬 부족한 인천에서는 장애인체육회를 운영하고 있지 않다. 대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일본의 경우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의 수는 많지 않지만 지자체의 운영으로 장애인 체육 지원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일본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2체육·스포츠 시설 현황 조사에 따르면 일본 내 133곳의 장애인전용체육시설 중 85곳을 지자체가 운영 중이다.
150개 건립 발표했지만 개관한 곳은 1곳뿐
우리 정부도 지난 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 유산사업의 일환으로 장애인 생활체육 거점인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을 기획했고, 2025년까지 지자체 주도로 운영하는 반다비 체육센터를 150개소 건립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현재 건립된 곳은 지난 8월 18일 개관한 광주 북구 반다비 체육센터가 유일하다. 77개소 센터 건립이 확정된 상태지만 당초 계획된 150개소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이처럼 지자체가 자체 운영하는 센터의 건립이 늦어지면서 일각에서는 센터 추가 건립도 좋지만 비장애인이 이용하는 일반 체육시설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갖추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다른 장애인체육회 관계자 C씨는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 추가 건립도 우리가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며 "하지만 우리에게 더욱 필요한 것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체육시설이 지역 곳곳에 위치하는 것이다. 현재 운영하는 일반 체육시설을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게 추가 설비한다면 시설 추가 건립보다 작은 비용과 시간으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자체 차원의 센터 추가건립, 일반 체육시설의 추가 설비 확충 등 다각적 모색을 통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가 우리 정부, 지자체의 숙제로 던져졌다.
덧붙이는 글 | 권대근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게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