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현충원 묘역 내에 번호석(묘판) 스마트폰 표출 이미지
 대전현충원 묘역 내에 번호석(묘판) 스마트폰 표출 이미지
ⓒ 대전현충원

관련사진보기


100만여 평에 달하는 넓은 부지에 10만여 기의 안장자가 있는 대전현충원의 묘비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다.

국가보훈처는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위치를 묘역별 번호석(묘판)을 활용해 스마트폰과 길도우미(내비게이션)로 쉽게 찾을 수 있게 개선해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24일 밝혔다.

번호석(묘판)은 전체 129개로 수백여 기의 묘비를 포함하는 단위이며, 현충원 묘역(장병, 경찰관 등) 내에 번호석(101,102 등)과 묘비(비석)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현충원은 연간 311만여명(2022년 기준)의 방문객이 찾는 장소인데, 그동안 유가족 등 방문객들이 묘역 내에 묘비를 찾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동안 안장자를 찾기 위한 묘역 안내는 주로 묘역안내도 배부를 통해 이루어졌고, 스마트폰과 민원안내실에 설치한 무인 안내기(키오스크)는 '묘역'(장병, 경찰묘역 등)까지만 찾을 수 있을 뿐 묘역 내에 위치한 번호판(묘판) 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대전현충원 묘역 내에 설치된 번호석(묘판) 사진
 대전현충원 묘역 내에 설치된 번호석(묘판) 사진
ⓒ 대전현충원

관련사진보기

 
국가보훈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현충원은 '온라인 묘역지도 개선'을 적극행정 과제로 선정, 지리 관련 전문기관인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과 협업하여 번호판(묘판)을 지도에 세부적으로 표시하는 지리 정보 개선작업을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2개월간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 네이버(주), ㈜카카오 그리고 길도우미(내비게이션) 전문업체인 티맵모빌리티(주) 등과 함께 3개월 동안 지속적인 업무협의를 진행해 이달 중순부터 대전현충원 묘역 내에 위치한 129개의 '번호석'(묘판) 전체를 온라인 상에 표출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네이버지도'와 '티맵'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접속을 통해서는 '번호석'(묘판)을 '목적지'로 설정하면 쉽게 길안내도 받을 수 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의 추모와 안식의 공간인 국립묘지를 방문하는 유가족분들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향후 개별 묘소까지 검색으로 바로 찾을 수 있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대전현충원, #국가보훈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