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춘천의 한 스터디카페 입구에 '중학생 이용 불가' 안내문이 게시됐다. 해당 스터디카페 점주는 안내문을 통해 "기존에는 모든 연령대의 출입을 허용했으나 '중학생이 무리지어 들어와 면학 분위기를 흐린다'는 민원이 계속 들어와 출입 대상에서 제외하게 됐다"고 밝혔다.
점주는 "중학생 자체를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공부를 하지 않고 시간을 때우는 용도로 스터디카페를 사용하는 일부 학생 때문에 불가피한 결정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스터디카페는 '조용히 공부하는 학생들은 학부모와 함께 스터디카페에 사전에 방문하면 상담 후 등록을 돕겠다'는 글을 게시하기도 했다.
영유아·어린이 출입을 금하는 '노키즈존'은 아동 차별이라는 논란에도 확장세다. 누리꾼 사이에서는 "음악 감상이나 전시장과 같이 고요함이 요구되는 공간에는 노키즈존이 필수"라는 입장도 다수 있다.
여전히 노키즈존은 "아이의 소란스러운 행동이 가게의 영업을 방해하고 다른 손님에 피해를 줘 합당하다"는 의견과 "아이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명백한 차별"이라는 반대의견이 공존한다.
지난 5월, 제주도의회는 "전국에서 제주도가 노키즈존 업소 비율이 가장 높다"는 이유로 '아동출입제한업소 지정 금지 조례안(이하 노키즈존 금지 조례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노키즈존 논란과 관련한 국내 입법 사례가 될 뻔했던 이 조례안은 '개인의 영업 권한을 침해하며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보류됐다.
이처럼 NO 존이 활개를 치는 가운데 이 틈새를 노린 마케팅전략도 등장했다. 어린이의 방문을 환영하는 'YES(예스)키즈존', '웰컴키즈존'이 등장한 것. 지난 5월 맥도날드에서는 가정의 달을 맞아 패밀리 캠페인을 선보이며, 캠페인 기간동안 매장을 방문하는 어린이들에 '종이 썬캡', '예스키즈존 스티커'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며, 노키즈존에 대한 거부감을 의식한 듯한 이런 문구들을 사용했다.
소비자들 역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누리꾼들은 "맥도날드 마케팅 참 잘했다", "아이 데리고 돈쭐내러 가야지" 등 높은 호응도의 글이 이어지기도 했다. 늘어나는 노키즈존 속 정반대 성격의 '예스 키즈 존'을 통한 틈새 마케팅 전략이 두드러진 사례다.
'NO 존'은 소비자와 업주 간 서로의 권리 주장으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정 집단에 속해있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양돼야 하겠지만,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권리 또한 침해돼서는 안 될 사안이다.
결국 소비자와 업주 모두의 권리가 조화롭게 보장받을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노존'이라는 선언적, 폐쇄적 방식에 의존하기보다, 소비자는 민폐 행위를 줄이기 위한 시민책임의식을 강화하고 업주는 열린 공간을 조성하려 노력하며 문제상황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접근해가야 하지 않을까.
대학생기자
덧붙이는 글 | 김수인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게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