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임병택 시흥시장(좌측에서 두번째)과 박승원 광명시장 (좌측에서 세번째) 합동 기자회견
 임병택 시흥시장(좌측에서 두번째)과 박승원 광명시장 (좌측에서 세번째) 합동 기자회견
ⓒ 광명시

관련사진보기

 
광명·시흥 3기 신도시 토지 보상이 지연되자 두 도시 시장(임병택·)이 5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신속한 보상'을 촉구했다.

최근 LH가 밝힌 보상 일정에 따르면 당초 국토부가 밝힌 2024년보다 2년 이상 늦어진 2026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라는 게 광명·시흥시의 공식 발표다. 지난 2021년 2월 사업에 대한 주민공람 공고일 기준으로 보상까지 무려 5년 가까이 걸리는 셈이다. 다른 지역 3기 신도시는 2년 내 보상계획이 공고됐다고 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LH의 재정건전성 악화 등으로 사업 장기화는 기정사실이 됐고, 보상 지연으로 원주민의 막대한 재산상 손실과 정신적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신속히 보상에 착수하고 원주민 피해를 해소할 대안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보상 일정이 지연되면서 정부가 토지주들에게 평균 6억여 원에 달하는 부채 이자를 부당하게 전가하고 있다"며 "주민 생계유지와 안정적인 일상 복귀를 위해 정부가 약속한 사업 일정대로 보상을 진행하길 바라며, 대출이자 부담 완화 제도 등 주민 피해 구제책 마련을 간곡히 요청하고 있다"라고

토지 보상 지연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이유는 국토부의 보상 일정을 믿은 주민들이 이사해서 살 집 등을 미리 장만했기 때문이다. 또 의류업, 판금업 등을 하는 중소 사업체 역시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불어난 적자를 메꿔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김세정 시흥광명신도시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기자회견 직후 <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2024년에 보상을 한다는 말을 믿고 이사할 집이나 사업장(농토 등)을 미리 마련한 분들이 엄청난 이자를 감당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중소 영세업체의 경우 코로나19 시기에 난 적자를 메꿔야 하는데, 신도시 지역이라 땅을 팔 수도 없고, 또 보상도 늦어지고 있어 굉장히 곤란한 상황"이라며 "대책위에서 조사한 바로는 평균 부채액이 6억여 원이 이른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조속한 보상을 할 수 없다면 재산권 행사(매각 등)라도 할 수 있게 차라리 사업을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도시 예정부지 주민들은 지난 7일 LH 광명시흥사업본부 앞에서 조속한 토지 보상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이틀 뒤 9일에는 집회를 하며 삭발식을 단행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였다.

토지 보상 지연 문제와 관련해 LH 관계자는 기자와 한 통화에서 "면적이 넓고, 조사해야 할 대상이 많아 오래 걸릴 것으로 본다. 2026년 즈음에 보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간략하게 설명했다.

태그:#광명.시흥 신도시, #토지 보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