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 낸 나무로 재목을 만드는 제재소에서 일하는 이야기를 씁니다.[편집자말] |
이른 아침부터 휴대폰 문자 도착 알람이 요란하게 울린다. 김포 대곶면 공장지대에서 큰불이 났다는 내용이다.
'대곶면이면 우리 회사와 그리 먼 곳은 아닌데.'
급한 마음에 출근 준비를 서두른다. 차창 밖 저 멀리 거대한 검은 연기가 하늘로 치솟고 있다. 회사와는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인 듯 보인다. 투둑투둑 장맛비가 떨어진다. 다행이라 생각하며 회사에 도착하니 사무동 지붕 너머로도 화재 연기가 보인다. 꽤 큰 불이 난 게 틀림없다.
아침 회의를 마치고 인터넷 뉴스 기사를 살핀다.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에서 불이 나기 시작해 주변 창고와 인근 공장까지 태웠다고 한다. 그중에는 식용유가 5만 4천 리터나 보관된 창고와 목재가구를 가공하는 공장도 있었다. 해당 공장지대 건물 대다수는 샌드위치 패널 구조라 불길이 빠르게 번졌다는 기사도 실렸다.
흔히 '조립식 판넬'이라고도 부르는 샌드위치 패널은 얇은 철판 사이에 석유화학 제품인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을 넣은 건축 자재다. 시공이 간단해 공사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단열 성능도 좋아 인기다. 특히 가격이 저렴해 공사비가 적게 든다.
그런데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커지고 동시에 시커먼 연기와 유독가스를 내뿜어 대형 인명 사고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2022년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화재 사고도 석유화학 제품인 플라스틱 자재가 '불쏘시개' 역할을 해 수십 명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다.
그런데 만약 세상에 플라스틱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뜨거운 여름에 시원한 생수 한 통 저렴하게 사 마실 수 없을 거다. 마트에서 장이라도 볼라치면 무거운 유리용기로 꽉 찬 장가방을 낑낑대며 끌어야 할지도 모른다. 자칫 실수해 떨어뜨리기라도 하면 깨져서 손을 다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인명사고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되도록 쓰지 말아야 할 곳에 가격과 편의만을 이유로 쓴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특히 샌드위치 패널은 화재 시 바깥쪽 철판이 달궈지면서 내부 스티로폼에 불이 붙는데, 물을 쏴도 철판에 막히고, 녹아내리는 스티로폼에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목재 회사 다니는 입장에서 '목재'라서 당연히 불이 났다는 식의 기사를 보면 기분이 좀 언짢다. 물론 세상 모든 물질이 그렇듯 목재도 불에 탄다. 그런데 문제는 불이 붙었을 때 유해 가스를 내뿜느냐 아니냐이다. 커튼과 카펫뿐만 아니라 각종 필름지, 소파나 매트리스 안에 넣는 스티로폼 충전재 등의 석유화학 제품은 화재 시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대형 화재 사망 원인 중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70%로 가장 비중이 높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천연 원목을 깎고 켜서 만든 '목재'와 그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을 합성수지와 섞어 만든 '목질 자재'는 화재 시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게다가 합판이나 파티클보드, MDF(톱밥과 접착제를 섞어 압착한 판재) 같은 '목질 자재'는 불에 타면 포름알데히드, 벤젠, 다이옥신 등 1급 발암물질과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지정 소각장이 아닌 곳에서 태우면 안 되는 폐기물이다.
얼마 전 경기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에서 불이 나 많은 사상자를 낸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배터리를 생산하는 화학공장은 특성상 일반적인 화재와 달리 불길을 잡기 어렵다고 한다. 그런데 불길이 시작된 공장동이 하필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져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에 더더욱 난항을 겪은 사실이 추가로 알려졌다.
지어진 지 40년이 훌쩍 넘은 우리 공장 건물들은 대부분 조적식(벽돌)으로 돼 있다. 그런데 몇 년 전 대수선 공사를 하며 군데군데 샌드위치 패널이 쓰였다. 이번주는 동료들과 소화기를 하나하나 꼼꼼히 점검해 봐야겠다. 특히 샌드위치 패널 주변으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