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청년지도자 이범영 30주기 추도식’과 ‘이강산의 키큰 나무, 이범영’ 평전 출판 기념 북콘서트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는 참가자들
 '청년지도자 이범영 30주기 추도식’과 ‘이강산의 키큰 나무, 이범영’ 평전 출판 기념 북콘서트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는 참가자들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 전국동지회(회장 박영호)가 10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청년단체 지도자들과 시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지도자 고 이범영 30주기 추도식'을 가지고 고 이범영 전 의장을 추모하며 그에 대한 평전 '이강산의 키큰 나무, 이범영' 평전 출판 기념 북콘서트를 가졌다.

이 땅에는 민주화운동을 하다가 먼저 가신 열사들도 많고 헌신적으로 활동한 활동가들도 많은데, 청년운동을 함께 한 사람들에게는 한평생 잊히지 않는 인물이 있다. 39세의 짧고 굵은 삶을 살면서 그의 삶 전체가 민주화운동과 청년운동으로 채워진 고 이범영 전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의장 겸 전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한청협) 의장이 바로 그 인물이다. 이러한 고 이범영 전 의장의 30주기 추모 행사가 열린 것이다.

이날 행사는 1부 추모행사와 2부 북토크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1부 추모행사는 한청협 동지회 박영호 회장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박영호 회장은 인사말에서 "이범영 의장은 우리나라 청년운동을 오늘에 이르게 한 사람이다. 39살의 꽃다운 나이에 민족과 청년의 삶을 뜨거운 가슴으로 사랑했던 이범영 의장의 삶처럼 우리 한청협 동지들도 끝까지 뜨겁게 희망차게 살자"라고 했다.
 
 인사말을 하는 박영호 한청협동지회 회장
 인사말을 하는 박영호 한청협동지회 회장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먼저 이인재 서울대 농촌법학회 회장으로부터 '청년지도자 이범영'의 살아온 과정에 대한 약력 소개가 있었다.
청년지도자 고 이범영의 약력
이범영은 1955년 1월 11일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에서 아버지 이호봉, 어머니 홍정숙의 1남4녀중 맏이로 태어났다. 1973년 2월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3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다.

1974년 서울대학교 농촌법학회 회장이 되었고 1976년 12월 8일 유신반대 시위 주도로 1차 구속되었으며 1979년 10월 병역문제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10.26 이후 2차 구속되었다.

1980년 서울대학교 학내시위 이후에 학교에서 제적되어 수배를 당했다. 1982년 5월 한국공해문제연구소 창립에 참여했고 1982년 10월 30일 홍제동성당에서 김승훈 신부 주례로 김설이(당시 베를린 공대)와 결혼했다.

1983년 9월 30일 민청련이 창립되었고 이범영은 새로 발족한 민청련에서 처음 1년 반 정도는 주로 조직사업을 담당하였다.

1984년 11월 5일 첫째 딸 건혜가 태어났고 1985년 3월 민청련 4차총회에서 집행국장에 선임되었다. 1986년 3월 15일 둘째 딸 승민이 태어났다.

1987년 8월 민청련 9차총회에서 이범영의 제안으로 민청련을 '청년대중운동으로의 전환'을 결의했다. 그리고 1989년 9월 19일 민청련 11차총회에서 이범영이 의장으로 선임되었다.

1989년 1월19일 전국청년단체대표자협의회(전청대협)를 결성하고 이범영이 의장으로 선임되었다. 1991년 7월 범민족대회 주도 및 범민련 남측본부 준비위와 관련하여 당국의 수배를 받게 되었고 1992년 2월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한청협)가 창립되고 이범영이 의장으로 선임되었다. 1992년 11월 민청련 15차총회에서 공식적으로 민청련 해소를 결의했다.

1993년 8월 14일 이범영은 범민족대회에 참석했고 1994년 3월 20일 한청협 제3기 대의원 총회에서 이범영이 투명으로 한청협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1994년 8월 12일 이범영은 산소호흡기를 입에 문 지 20여 일 만에 친구, 선후배들, 가족들의 간곡한 기원을 외면한 채, 그렇게도 극진히 사랑하는 한반도를 두고 떠났다.

청년지도자 고 이범영의 약력소개에 이어서 각계 인사들의 고 이범영에 대한 추도사가 있었는데, 먼저 이창복 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의장의 추도사가 있었는데, 몸이 불편한 관계로 김진희 원주한지개발원 이사장(전 원주민청 회장)이 대독했다. 이창복 의장은 추도사를 통하여, "30년 전 올해만큼 뜨거웠던 여름날 함께 한 모든 분들의 슬픔을 기억한다. 특히 한청협 동지들의 모습이 많이 생각난다. 이범영 동지가 우리 곁을 떠났을 때의 나이보다 훨씬 나이가 들어버린 청년동지들이 오늘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니 격세지감이 느껴진다"고 하면서 추도사를 시작했다.

그는 "이범영 동지는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했다. 또한 늘 토론하고 설득하려고 했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이 시대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고 설득하는 자세야말로 꼭 필요한 자세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많은 동지들이 '이범영이었다면...' 하는 아쉬움을 얘기하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한다"라고 말을 이었다.
 
김진희 이사장 이창복 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의장을 대신하여 추도사를 대독하는 김진희 원주한지개발원 이사장
▲ 김진희 이사장 이창복 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의장을 대신하여 추도사를 대독하는 김진희 원주한지개발원 이사장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이 전 의장은 "어느 곳에 있든, 이범영 동지를 기억하면 여전히 이범영은 그들에게 청년운동 지도자로 남아 있고, 영원한 청년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범영 동지가 지난 30년 동안, 여러분과 함께 있고 앞으로도 함께 있을 거라 믿듯이, 저도 늘 함께 있겠다" 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민청련과 한청협의장을 지냈고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한 유기홍 전 의원이 추도사를 했다. 유기홍 전 의원은 추도사에서, "범영이 형이 많은 일을 했지만, 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청년운동의 대중화를 실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범영은 그 당시 시대적 흐름을 읽고 민청련이라는 좁은 틀을 고수하기 보다는 청년 대중운동의 물결에 스스로 몸을 내맡기고 올라탔다고 생각한다"라고 하면서 "전국 83개 지역에 청년단체가 만들어졌고 그것이 바탕이 되어서 전청대협과 1992년 한청협을 만들어냈다"라고 말했다.
 
 추도사를 하는 유기홍 전 국회의원
 추도사를 하는 유기홍 전 국회의원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유 전 의원은 또한 "범영이 형은 30년 전에 저세상으로 갔지만, 그가 뿌려놓은 씨앗들이 지금도 각 지역에서 시민운동을 하고 환경운동을 하고 노동운동을 하고 정치활동을 하고 있다. 그때 뿌려놓은 씨앗들이 꽃피고 지금은 결실을 맺어서 전국 각 지역에 우리 한청협의 동지들이 지금까지도 꿋꿋하게 활동하고 있다. 만약 범영이형이 아직 살아 있다면, 아마 우리는 그보다도 훨씬 더 큰 일을, 훨씬 더 중요한 일을 그와 함께하고 있을 것이다. 그는 떠났지만, 그가 뿌린 씨앗들은 우리들 마음속에 살아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재오 이사장 헌정사를 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재오 이사장
▲ 이재오 이사장 헌정사를 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재오 이사장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이어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재오 이사장이 고 이범영의 아버지 이호봉 선생께 책 전달하는 헌정사가 있었다. 이재오 이사장은 헌정사에서 "출생이 강원도 출신이어서 반가웠는데 게다가 공교롭게도 생일이 똑 같았다. 저는 1945년 1월 11일이고 이범영 동지는 1955년 1월 11일이었다, 딱 10년 차이었다. 그런 인연이 있었는데다가, 시위를 하다가 대학에서 제적당한 것도 이범영 동지와 저의 공통점이다. 제가 다섯 번째 구속된 것이 전민련 조국통일 위원장으로 활동하다가 제1차범민족대회 남북예비회담 하러 북으로 가다가 임진각에서 잡혀서 구속되었고 이범영 동지도 마지막에 범민족대회 통일운동을 하다가 구속되었다. 여러 가지 인연이 있어서 이범영 동지 30주년이 되어 이 자리에서 이범영 동지를 만나니 한편으로는 마음속으로 반갑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허전하기도 하다. 우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책이 나오는데 도움이 되었다면,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인사말을 하는 고 이범영의 아버지 이호봉 선생
 인사말을 하는 고 이범영의 아버지 이호봉 선생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다음으로 고 이범영의 아버지 이호봉(95세) 선생의 답례로 인사말이 있었다. 이호봉 선생은 인사말에서 "오늘 이렇게 범영이의 책이 나오게 되어 더이상 기쁨이 없고 여러분들께 깊이 고마운 말씀을 올린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범영의 부인 김설이 여사도 "그동안 30년간 여러분이 있어서 든든한 울타리가 됐다"고 말했다.

2부 북 콘서트에서는 이원영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의 사회로 '이강산의 키큰 나무, 이범영 평전' 책의 필자 5인이 나와서 책이 발간되기까지의 과정과 책을 쓰는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자신의 소감과 책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강산의 키큰 나무, 이범영 평전'은 권형택 전 민청련 부의장, 이승환 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공동의장,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이창언 신경주대 교수 등 5인이 필자로 참여하여 집필되었다.
 
 인사말을 하는 이원영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
 인사말을 하는 이원영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사회를 맡은 이원영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겸임교수는 "오늘, 범영이 형 30주기를 맞이한 오늘 정말 날이 뜨겁다. 그 때 기억을 떠올려보면, 범영이 형이 우리곁을 떠나갔던 1994년 그해 여름이 올해보다 더 뜨거웠던 여름이었던 것 같다. 8월 12일 범영이 형이 영면하신 날과 범민족대회 준비기간이 겹치는바람에 그 여름에 더욱더 뜨겁게 지냈던 기억이 난다. 어쩌면 이 한반도에서 정말 뜨겁게 살다 간 이범영이 이 한반도를 떠나가는 마당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뜨거웠나보다 생각한다. 오늘 다시 30년의 세월이 지나서 여전히 뜨겁게 살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모든 행사를 마무리하기에 앞서 경향 각지에서 온 청년단체 지도자들이 고 이범영 의장을 기억하면서 그 옛날의 추억을 떠올리고 고 이범영 의장에게 전하는 말을 동영상으로 띄우고, 참가자들 모두가 무대앞에 모여서 기념촬영을 하면서 아무리 힘들어도 건강하게 살자고 서로에게 약속했다.
 
 북콘서트에 참여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5인의 저자(좌로부터 이원영 한양대 겸임교수, 권형택 전 민청련 부의장, 이승환 전 민화협 공동의장,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이창언 경주대 교수)
 북콘서트에 참여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5인의 저자(좌로부터 이원영 한양대 겸임교수, 권형택 전 민청련 부의장, 이승환 전 민화협 공동의장,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이창언 경주대 교수)
ⓒ 고창남

관련사진보기

 

#故이범영#청년지도자#30주기#추도식#북콘서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는 철도청 및 국가철도공단, UNESCAP 등에서 약 34년 공직생활을 하면서 틈틈히 시간 나는대로 제 주변에 대한 이야기를 글로 써온 고창남이라 힙니다. 2022년 12월 정년퇴직후 시간이 남게 되니까 좀더 글 쓸 수 있는 시간이 되어 좀더 열심히 하려고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