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빈에서 현지 시각 6일부터 이란 핵합의 당사국 회담을 진행중이다. 사진은 지난 1월, 한국케미 나포와 이란 동결자금 문제를 논의 중인 이란 외무부(왼쪽)와 한국 대표단
이란 외무부 홈페이지 캡처
6일 빈 회담에서도 이란은 "제재 해제가 합의 복원을 위한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트럼프의 합의 파기 및 제재 복원 때문에 자국이 핵 프로그램을 재가동하게 됐으니 미국의 제재 해제가 선결 조건이라는 게 이란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미국은 '농도 20%의 우라늄 농축을 중단하면, 10억 달러(약 1조 1천억 원) 규모의 동결 자산을 해제해주겠다'며 핵 프로그램부터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10억 달러를 운운하는 미국에 대해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부 차관은 "터무니없는 제안"이라고 일축했다. 미국의 제재로 인해 한국에서 받지 못한 이란의 원유 대금만 해도 70억 달러(약 7조 8천억 원)다.
입장 차가 좁혀질 가능성은 이처럼 낮을 뿐 아니라, 회담 형식마저 비효율적이다. 이 회담 개최를 보도한 지난 2일자 로이터통신 기사 제목은 '미국·이란, 간접적 핵 거래 회담을 위해 비인으로 향한다(U.S., Iran head to Vienna for indirect nuclear deal talks)'였다.
기사 제목에서 나타나듯 이번 회담은 '간접 회담'이다. 이란과 미국이 빈이라는 한 지붕 아래에는 모여도, 특정 건물의 한 지붕 아래에는 모이지 않는다. 이란 측이 직접 얼굴을 맞대는 쪽은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이다. 이란이 미국과의 대면 회담을 거부한 결과다.
실상은 이란과 접촉하지 못하지만, 같은 도시에서 간접적으로나마 만난다는 점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는 만족하고 있다. 지난 3일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앞으로 어려운 논의들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돌파구를 기대하지는 않는다"며 "이것이 건전한 진전이라고 믿는다"고 발언했다.
사실, 이란 핵보다 북한 핵이 미국에 훨씬 위협적이다. 북쪽에 수직선 형태의 카스피해를 두고 남쪽에 수평선 형태의 페르시아만·오만만을 둔 이란과 달리, 북한은 서쪽과 동쪽에 비교적 넓은 바다가 있어서 미사일 실험 발사를 통해 미국을 위협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 건국의 주역인 앵글로색슨족이 아메리카대륙 동부에서 시작해 태평양과 그 너머 쪽으로 점차 서진(西進)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미국인들은 중동 쪽에서 발생한 위협보다는 태평양 쪽에서 발생한 위협에 더 민감하다. 북한이 무언가를 쏘아 올릴 때마다 미국의 지하벙커 회사 사장들의 입가가 올라가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이런 현상은 북미관계가 험악했을 때인 트럼프 행정부 초기에 특히 두드러졌다.
2017년 8월 10일자 <LA 중앙일보> 기사 "미국인은 '불안불안' ... 지하벙커 회사 호황"은 "북한발 핵미사일 위협으로 미국의 지하벙커 회사들이 호황을 맞고 있다"며 "9일 CBS방송은 LA의 지하벙커 제작사인 아틀라스 서바이버 셸터(Atlas Survivor Shelters)사가 창사 36년 만에 최고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 두려워 지하벙커를 만들려 하는 미국 부자들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보도다.
전통 '보수' 미국인 안보관과 더 맞는 건 트럼프
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이란 핵보다 북핵을 우선 처리하고자 했던 트럼프의 방식이 전통적인 미국인의 안보관과 보다 더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3월 25일에 했던 것처럼 탄도미사일을 동해 쪽으로 쏘아 올리는데도 '한·미·일 3국 협력으로 대응한다'는 원칙만 표명하고 있다.
바이든의 접근법을 '중동 석유자원에 대한 애착'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중동 석유는 지금도 미국에 중요하지만, 그 중요성은 과거보다 낮아졌다. 종래보다 더 깊은 지층인 셰일층에서 뽑아 올리는 셰일 오일이 각광받기 시작한 뒤인 2014년, 미국이 세계 1위의 원유 생산국이 됐다. 원유 매장량에서는 베네수엘라가 2011년에 세계 1위가 있다.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산유국들의 위상이 이전보다 낮아진 것이다.
바이든 핵정책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트럼프의 정책과 바이든의 정책이 실상은 똑같은 것을 지향하고 있다는 판단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란과의 대립 국면을 조성했던 트럼프와, 이란과의 합의 국면을 조성하려는 바이든이 사실은 똑같은 것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미국의 원래 지배층은 앵글로색슨족이었지만. 20세기에는 '표면적으로는 앵글로색슨족, 이면적으로는 유대인'으로 바뀌었다. '성경 신약과 구약의 조합'으로 볼 수 있는 이 구조는 미국 대외정책의 중점이 서태평양(동아시아)과 중동으로 분산돼 있는 오늘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피부로 체감할 수 있듯, 미국의 세계전략은 동아시아가 있는 서태평양보다는 이스라엘이 있는 중동 쪽으로 좀 더 기울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대인이 미국 경제를 움직이는 20세기 이후의 현실을 반영하는 현상이다. 이에 관한 한, 트럼프와 바이든은 다르지 않다. 양자의 대외정책은 유대인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다를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