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첩김상덕 독립투사가 다니던 무렵의 학생운동을 소개한 <건학 80주년 와세다대학 사진첩, 1963년>
이윤옥
다니던 학교가 졸업을 1년 앞두고 문을 닫고, 그보다 나라가 망하여 일본인들의 손에 모든 권세가 넘어가는 암담한 시대가 되고 말았다. 비록 16세에 당한 국치이지만 감수성이 남다르게 예민했던 그에게 참담한 상황이었다.
자라면서 고향 근처에 있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내려와 청 태종 앞에서 항복한 사실을 기록한 치욕의 삼전도비(三田渡碑)를 바라보며 민족적인 치욕을 되삼키던 소년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임금은 물론 2천만 동포, 3천리 강토가 왜놈에게 짓밟히는 식민지 시대가 되고 말았다.
망국의 통한을 안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1년여 동안 어머니를 모시면서 농사일을 거들었다. 그리고 형들과 장래 문제를 상의하였다. 두 갈래 길이었다. 청운의 꿈을 위해 해외유학의 길과 주어진 현실에 적응하면서 눌러 앉느냐였다.
번민으로 매일처럼 긴긴 밤을 지새우던 해공에게 어느날 갑자기 희소식이 들려왔다. 외국어학교 동급생이며, 윤비(尹妃)의 동생이자 부원군(府院君) 윤덕영(尹德榮)의 아들인 윤홍섭(尹弘燮)이 일본 유학을 같이 가자며 후원을 제의해왔다. 한성외국어학교 영어학부 시절 윤홍섭은 공부에는 그다지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부원군의 아들이라는 자신의 신분을 내세우지 않고, 늘 서민적으로 처신하며 성품이 원만해 동문들간에 인기가 있었다.
해공도 처음에는 그의 신분을 의식하고 가까이하기를 조심했지만, 그의 소탈한 성품을 알고는 곧 스스럼없이 어울리게 되었다. 그가 해공에게 막대한 학비를 대준 것은 그들의 우애와 신의의 명확한 증거였다. (주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