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살현장에 선 최양호의 아들 최병묵
박만순
푸른 잔디 위에 깔린 한지는 하얗다 못해 눈이 시렸다. 한지 옆에 붉은 황토가 쌓이기 시작했다. "조카. 관이 보이네"라며 외친 작은아버지의 이마에는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혔다.
관이 나왔다고는 하지만 땅속에 30년간 묻혀 있던 관은 썩은 지 이미 오래였고, 관 쪼가리 일부만이 나왔을 뿐이었다. 썩은 나무와 흙을 헤집던 최병묵의 작은 아버지 최광호와 최선호는 동시에 엉덩방아를 찧었다.
"작은아버지 왜 그러세요?" 그들이 가르키는 손끝을 따라가 보니 두개골이 나타났다. 이윽고 최병묵은 작은아버지들이 엉덩방아를 찧은 이유를 알게 되었다. 두개골에 직경 5cm의 구멍이 뚫려 있었기 때문이다.
"주여!" 크리스찬이었던 그는 아버지의 죽음을 직면하고, 가슴이 먹먹했다. 나머지 유해는 그의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오직 구멍이 뻥 뚫린 두개골만이 시야에 들어왔다. 눈물로 앞이 뿌예지면서 그때부터 사고의 기능이 정지됐다.
형님의 두개골과 유해를 한지로 감싼 최광호와 최선호, 그 뒤를 이어 서창리 뒷산을 내려오는 최병묵의 가슴은 뻥 뚫렸다. 조치원읍에서 화장을 한 유해는 충북과 충남의 경계에 있는 조천(鳥川)에 뿌려졌다. 30년 전 죽은 이의 묘를 파 화장한 가루를 조천에 뿌린 때는 고려대학교 조치원캠퍼스(현재의 세종캠퍼스)가 개교하기 1년 전인 1980년도였다.
기적초리에 총성이 묻혀
불청객을 맞이한 것은 컹컹 짖어대는 마을 개들이었다. 시절이 어수선하다 보니 누구도 방문을 열지 않았다. 단지 창호지 문에 끼운 작은 유리창을 통해 내다 볼 뿐이었다.
불청객의 발걸음은 사창리의 철공소 주인 최씨 집을 향했다. 불청객은 집주인을 부르는 절차를 모두 생략하고 구둣발로 문짝을 차며 "최양호 나왓!" 하며 순식간에 집주인을 연행했다. 네 살 소년 최병묵은 울음보를 터뜨렸고, 최양호의 아내 김창순(1926년생)은 넋이 나가 허둥대다 군인의 발목을 잡았다.
"이 X이"라며 불청객의 구둣발이 김창순의 배를 내질렀다. 창자가 끊어질 것 같은 아픔이었지만 자칫 남편이 '큰일 날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번쩍 든 그녀는 배를 움켜쥐고 불청객의 뒤를 따랐다.
불청객의 발걸음은 조치원여중 뒤편의 강둑을 향했다. 도둑고양이처럼 불청객의 뒤를 따르던 김창순은 하마터면 비명을 지를뻔했다. 강둑에는 약 10명의 남정네들이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린 채 있었고, 이들을 감시하는 군인들의 매서운 눈매만이 어둠을 밝히고 있었다.
사격 자세를 취한 군인의 손가락이 움직인 것과 사내들이 쓰러진 것은 동시에 이루어졌다. 사내들의 쓰러지는 장면이 슬로우모션처럼 보인 것은 군인의 발포 소리가 마침 그때 충북선을 지나가는 기차의 기적소리에 묻혔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사내가 벌떡 일어나 "병묵아!"라고 외치며 몸부림을 쳤다. 급소를 피해 총격을 당한 최양호(1922년생)가 자신의 아들 이름을 부른 것이다. 군인은 최양호의 뒤통수를 정조준했다. 최양호의 몸이 붕 뜨더니 땅바닥에 떨어졌다. 남편의 뇌수가 흐르는 모습을 몰래 지켜보는 아내 김창순의 숨은 멎을 것만 같았다.
한국전쟁을 전후해 자식 둘을 장티프스로 잃은 최양호가 아내와 독자 최병묵을 남기고 저세상으로 간 것은 1950년 9월 28일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조치원여중 뒤편 강둑에서였다.
동생들이 의용군에 갔다는 이유
최양호는 쇠스랑 열 개를 오토바이 뒷좌석에 끈으로 단단히 묶었다. 조치원 읍내에 있는 그의 철공소에서 농기구를 사는 이들은 대부분 장날을 이용했다. 하지만 조치원 외곽이나 충북 청원군 강외면에는 농기구를 일부 배달해 주기도 했다. 본격적인 경작을 앞두고 최양호는 강외면 심중리에 쇠스랑 열 개를 주문받아 배달해 주려는 참이었다.
조치원역이 소재한 조치원읍은 단순히 시골의 한 읍에 그치지 않았다. 1905년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조치원역은 1921년 조치원~청주간 철도가 개통되면서 서울-대전-청주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성장했다. 더군다나 조치원은 1931년 읍으로 승격했다.
최양호는 바로 이런 곳에서 철공소를 차려 성실히 일했다. 6.25 전에 오토바이를 타고 다녔으니 남부러울 것이 없을 정도였다. 이랬던 그에게 불행의 여신이 다가선 것은 한국전쟁이 터지면서였다.
"제부. 안즉 동생들 연락이 없지요?"
"네."
"..."
충북 청원군 강내면 태성리에 사는 최양호의 처형 김영순은 괜한 이야기를 꺼낸 것 같아 미안스러웠다.
제부의 동생 두 명이 의용군에 끌려간 지 두 달 가까이 됐는데도 깜깜무소식이라 제부 집안은 초상집이나 다름없었다. 그런 와중에도 제부는 태성리에 자주 발걸음을 했다. 심장마비로 일찍 죽어 혼자가 된 처형과 조카 성일(1944년생)이를 돌보기 위해서였다.
"이모부, 이 건빵은 어디서 나셨어요?"
"미군한테 얻은 거다."
성일이가 묻고 최양호가 답했다. 추석날인 어제(1950년 9월 26일) 연합군 선발대가 조치원에 입성했다는 소문은 꼬마 성일이의 귀에도 도착했다.
"성일아. 엄마 잘 모셔라"라며 자리에서 일어난 최양호는 다음 날 조치원여중 뒤 강둑에서 불귀의 객이 됐다. 동생 두 명이 의용군에 갔다는 이유였다. 5형제 중 차남과 삼남이 의용군에 끌려가 최씨 집안이 초상집 분위기였는데, 정작 수복한 군경은 최양호를 빨갱이로 지목했다. 동생들이 의용군에 갔기에 형이 빨갱이라는 단순 논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