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년 전 고려 금성대왕 신앙, 구파발 금성당제로 이어지다

하늘과 땅 잇는 금성당제 지역 축제로 거듭나

등록 2023.05.17 09:51수정 2023.05.17 09:51
0
원고료로 응원
a  5월 13일 진행된 구파발 금성당제 (사진 : 박은미)

5월 13일 진행된 구파발 금성당제 (사진 : 박은미) ⓒ 은평시민신문


"2023년 계묘년 봄, 스므사흘 금성대왕님, 금성대군님, 이회장군님, 이말산 궁인님 제 신령님을 경하하며 삼가 맑은 술과 제물을 차려 공경히 올리오니 헤아리시어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

나라가 부강해지고 국민 모두의 삶이 윤택해지길 기원하는 민족 신앙 의례인 금성당제의 시작을 알리는 축문이 지난 13일 진관동 금성당에서 울려 퍼졌다.

양종승 금성당제보존회 회장의 축문이 끝나자 쇳소리와 가죽 소리를 울려 해로운 기운을 없애고 신성한 곳이 되도록 정화하는 주당물림이 시작되었다. 이어 이말산으로 올라 궁인들의 혼을 맞이하는 이말산 궁인맞이, 금성대왕을 모시고 놀리어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금성대왕 거리, 홍제동 할미당, 무악재 사신성황당, 박석고개 서낭당 등의 여러 당신(堂神)을 맞이하는 제당맞이 등 다양한 의례가 하루 종일 이어졌다. 
 
a  금성당을 수호하는 성주신을 모시는 성주굿 (사진 : 박은미)

금성당을 수호하는 성주신을 모시는 성주굿 (사진 : 박은미) ⓒ 은평시민신문


아침 일찍부터 시작된 금성당제는 오후 5시 가까이 되어서야 강민정 만신의 제당배웅에 들어갔다. 제당배웅은 모셔 왔던 당신(堂神)을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도록 배웅하는 의식이다. 금성당제를 올린 만신들과 주민들은 신명 나는 한바탕 굿을 마무리하며 나라의 태평성대와 시화연풍을 기원했다. 
   
온종일 신명나는 굿판이 벌어진 곳은 은평구 진관동에 자리 잡은 금성당이다. 굿은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제사 의식으로 소리, 무용, 퍼포먼스 등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동시에 굿은 열려있는 마을 축제의 공간으로 마을 주민 누구나 참여해 신명 난 한 판 놀이를 벌인다. 

하지만 마을굿은 '미신타파'라는 이름 아래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멀어져갔다. 특히 서울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수백 년간 전승되던 마을굿은 점점 쇠퇴해 갔다. 그럼에도 이런 마을굿이 나름의 전통성을 지키면서 서울에 아직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남은 곳은 구파발 금성당뿐 
 
a  큰거리(댄주굿). (사진 : 박은미)

큰거리(댄주굿). (사진 : 박은미) ⓒ 은평시민신문


금성당은 2008년 대한민국 국가민속문화재 제258호로 지정됐으며 전국의 많은 굿당이 사라진 현재, 굿당의 모습을 고스란히 볼 수 있어 매우 중요한 건축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구파발 금성당은 금성대왕(錦城大王)을 모시는 신당이다. 고려 충렬왕 4년(1277년) 때 금성산 산신을 정령공(定寧公)으로 봉하고 금성산 정상에 상실사를 비롯해 중턱에 중실사, 산기슭에 하실사와 국제와 그리소 성안에 이조당 등 총 5개 사당을 세웠다. 고려 왕실에서는 금성대왕 신앙을 본격화하면서 매년 제관과 제물, 제문을 내려 나라의 태평성대와 국태민안을 빌었다. 

고려의 전통이 조선으로 이어지고 한강 유역으로까지 전파돼 서울 경기지역에서도 금성대왕신앙이 널려 전개되었다. 서울 마을굿의 유형과 계통(박흥주, 2006)에 따르면, 한강변을 중심으로 바닷가 문화가 정착되었는데 이는 나주 금성의 해양세력이 기틀을 잡은 이후 조선 말기까지 뱃사람들과 해상물류유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향유되었다. 부군당굿을 통해 그 정체성과 문화를 구현해 나갔는데 그 중심에 금성당이 있다. 

조선왕실에서는 진관동의 구파발, 망원동의 노들, 월계동의 각심절 이 세 곳에 금성대왕을 모시는 금성당을 건립하는데 후원하였다. 1970년대 전개된 새마을운동과 산업화 물결 속에서 망원동과 월계동의 금성당은 자취를 감추고 현재는 구파발 금성당만이 남게 되었다. 
 
a  만신이 홍철릭을 입고 홍갓을 쓰고 활과 화살을 어깨에 메고 펼치는 군웅굿 (사진 : 박은미)

만신이 홍철릭을 입고 홍갓을 쓰고 활과 화살을 어깨에 메고 펼치는 군웅굿 (사진 : 박은미) ⓒ 은평시민신문

 
금성대왕으로부터 군호를 받은 세종대왕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錦城大君) 또한 금성당의 신으로 봉안되었다. 금성대군은 세종대왕의 자녀들 중 유일하게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다 32세의 나이에 사사되었다. 금성대군이 복권되어 그에게 제사를 지내게 된 때는 영조 때에 이르러서고 정조 때는 국가적 추승 대상자로 여겨지게 되면서 금성대군 신격화가 본격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성당제는 금성당제보존회 양종승 회장을 비롯한 8명의 제관과 강민정 금성당제보존회 부회장 등 18명의 만신, 최형근 피리 등 4명의 악사와 김용표 무대감독 등의 스텝으로 참여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은평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금성대왕 #금성당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은평시민신문은 은평의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풀뿌리 지역언론입니다. 시민의 알권리와 지역의 정론지라는 본연의 언론사명을 지키고 실현하기 위해 정확하고 공정한 보도로 진실을 추구하며 참다운 지방자치와 풀뿌리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2. 2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3. 3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4. 4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5. 5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윤 대통령, 24번째 거부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