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경기 김포시 고촌역 풍경.
김화빈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맡았던 김사열 경북대 명예교수는 "김포를 서울에 편입하는 것의 본질적 문제는 '인구위기'"라고 진단했다.
김 명예교수는 "서울·경기·인천이라는 수도권에 전국민의 절반 이상이 살지만, 정작 이 지역에서 인구 재생산이 제일 저조하다"며 "일자리 때문에 수도권으로 간 청년층이 폭등하는 집값과 치열한 생존경쟁에 '저출생'으로 반응하는데 김포 서울 편입은 수도권 과밀화 압력을 가중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김포 서울 편입은 기존의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충청권', '광주전남' 메가시티 정책을 어렵게 할 수 있다"며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도 (광역단위의) 거점을 연결하는 교통망을 지원해 지역민들도 광역 생활권을 누릴 수 있도록 정주요건 개선을 노력해야 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또한 수도권 쏠림에 대항하는 새 구심으로서 '메가시티' 개념을 제안했다. 마강래 교수는 "도시계획의 기본은 중심체계를 잡고, 중심 주변 거점을 연결하는 작업"이라며 "강남 삼성역에 기업이 몰리는 이유는 엄청난 교통과 상호연결성으로 핵심 인재들을 선발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에 비해 규모가 작더라도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광역 메가시티를 조성해야 한다"며 "김포의 서울 편입 논란은 이러한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거점 메가시티보다 지역의 소도시 연합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전문가도 있었다. 정석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프랑스에서는 '지역결속국가청(ANCT)이라는 국가조직이 천 명 단위의 소도시들을 서로 연결해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들고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독일은 우리나라보다 국토도 크고 도시와 인구 수도 많지만, 베를린은 400만명, 뮌헨은 140만명, 함부르크가 180만명 정도가 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수도권 지역 메가시티는 지역의 원도심, 구도심의 인구를 빼앗는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대규모 신도시 건설이 아닌 중소도시가 존속하는 상황에서 생활권을 상호연결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58
꼼꼼하게 보고 듣고 쓰겠습니다. 오마이뉴스 복건우입니다.
공유하기
"김포가 서울? 우리가 먼저!"... 고삐풀린 '서울시민' 향한 욕망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