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회장 구하기?... <중앙일보> 25일자 1면. 이 신문은 검찰이 검찰이 "사법 정의와 경제 파장의 접합점을 놓고 장고에 들어갔다"고 전했다.<중앙> PDF
<중앙일보>를 위시한 일부 언론, 그리고 재계의 '위기 전파'에 몸을 웅크려야 할까? 정 회장이 구속되면 현대기아차 경영에 차질이 생기고 더 나아가 한국 경제에 먹구름이 낄까? 그렇다면 한 사람 구속시키는 것보다 다수가 경제활동을 영위케 하는 게 더 중요한 것 아닐까?
반박 사례가 있다. SK그룹의 최태원 회장의 구속과 두산 총수 일가의 경영일선 퇴진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의 경영에는 별 이상이 없었다. 이건희 회장의 장기 외유에도 불구하고 삼성 그룹 역시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현대기아차와 재계는 다른 말을 한다. 현대기아차 그룹은 다른 재벌과 다르다고 한다. 계열사들이 기능별로 나눠져 그룹을 형성하는 독특한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를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필요할 뿐 아니라, 자동차 회사는 신제품 개발에 수천억원, 공장 하나 세우는 데 1조원 이상이 드는 고위험 사업이므로 과단성 있게 결단을 내릴 총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반박 논리 앞에 서면 말문이 막힌다. 그럼 이사회는 '핫바지 저고리'냐는 질문 이전에 던질 게 있다. 그럼 자동차 회사 경영자는 면책특권을 갖느냐는 질문이다. 반박 논리가 자동차 회사의 특성에 기대고 있기에 던지는 질문이다. 이런 식의 반박 논리는 자동차 회사의 특성이 바뀌지 않는 한 총수에 대한 '봐주기'도 계속돼야 한다는 엉뚱한 주장을 낳는다.
신제품 개발에 수천억원이 들고 공장 하나 짓는 데 1조원이 드는데도 왜 그걸 이사회가 아니라 총수 한 사람이 결정하느냐는 원론적인 지적도 내놓을 수 있지만 접자. 현실부터 살피라는 말에 밀릴 게 뻔하다. 그럼 이렇게 지적하자. 정 회장이 구속되면 경영 공백이 커지는 현상은 정 회장이 자초했다.
현대기아차 임원 인사가 잦았던 건 세상이 다 안다. 검찰의 현대기아차 비리 수사의 도화선이 된 전직 임원의 고발도 '멋대로 인사'에 기인했다는 분석도 있다. 정 회장 스스로 임원들의 업무 영역과 역량을 제한한 게 결국 족쇄가 된 것이다.
정 회장이 구속되면 현대기아차 그룹이 휘청거릴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오히려 뒤집어야 한다. 정 회장이 구속되면 기회가 열린다.
고민해야 할 건 '정 회장 이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