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올리기 안쓰러워 그림으로 대체했음정판수
허리 병이 많은 건 노동의 종류 때문이다. 여자들은 밭에 들어가면 온 종일 허리를 굽힌 채 풀을 뽑아야 하고, 남자들은 지게(지금은 덜하지만)로 무거운 걸 져 나른다. 사람의 몸이란 게 한쪽을 혹사하면 반드시 고장 나게 마련이고….
아픈 그 즉시 치료받았으면 나았을지 모르지만 아파도, 허리가 구부러져도 편안히 누워 요양만 하고 있는 시골 어른들은 없다. 도시 같으면 그냥 뜨끈뜨끈한 방바닥에 등을 지지고 누워 있으면서 며느리나 다른 이들이 해다 주는 밥을 얻어먹는 노인들이 있겠지만, 시골에선 당신이 움직이지 않으면 굶어야 할 판이다.
그뿐이랴, 논밭에 자라는 풀도 그대로 둘 수 없고, 모낼 철이 되면 그냥 앉아 있을 수 없고, 약을 칠 때면 약을 쳐야 하고, 비료를 줄 때면 비료를 줘야 하며, 거둬들일 때면 거둬들여야 한다. 그래도 끝나지 않는다. 거둬들인 그걸 또 말리느라 움직여야 한다. 아파도 누워 있을 수 없다.
떼돈 벌겠다는 것도 아니고, 단지 가족이 먹을 양식을 만들기 위해 피땀 흘린 대가가 고스란히 몸에 나타난다. 그 중의 하나가 허리 병이다. 이 병은 앉아 있으면 편할 듯싶으나 앉아서도 오래 앉아 있지 못한다. 누워 있어야 편할 뿐. 그러나 누워 있을 시간이 없고, 영원히 잠들지 않는 한 몸을 놀려야 하니 그 악순환이 계속돼 허리 병은 낫질 못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질병이 된 것이다.
오늘 아침 따뜻이 인사를 주고받는 중에 두 분의 환히 웃는 모습 저편에 서린 노동의 흔적을 보아선지 아직도 마음이 편하지 않다.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 ‘달내마을 이야기’에 나오는 ‘달내마을’은 경주시 양남면 월천마을을 달 ‘月’과 내 ‘川’으로 우리말로 풀어 썼습니다. 예전에는 이곳이 ‘다래골(다래가 많이 나오는 마을)’ 또는 ‘달내골’로 불리어졌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