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태조 홍무 15년(1382년)에 명나라는 재상직을 폐지하고 전각대학사를 설치하였다. 출처 : 대만 중앙연구원 25사(史) D/B.중화민국(대만) 중앙연구원
명 태조 주원장이 재상직을 폐지한 것은 관료 집단에 대한 견제의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황제독재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조선에게도 민감한 사안이었다. 다른 시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조선시대에는 군주권(왕권)과 신권(臣權)이 대립·갈등을 보였다. 여기서 신권 즉 기득권 양반관료들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리가 바로 재상직이었다. 그러므로 명나라의 영향을 받아 조선에서 재상직이 폐지되면, 이는 양반 관료집단의 이익에 대한 침해가 되는 것이었다.
한국에서는 이승만·박정희의 독재에 대한 ‘불쾌한 기억’ 때문에 황제 독재나 군주 독재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정치체제에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것은 바로 황제독재 혹은 군주독재가 기득권 관료집단을 견제하는 동시에 일반 민중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체로 신권이 강화된 시기에는 기득권 집단의 이익이 강화되는 동시에 민중의 삶이 어려워졌고, 반대로 군주권이 강화된 시기에는 기득권 집단이 반발하면서 민중의 삶이 상대적으로 나아지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명나라의 재상직이 폐지되었다는 소식은 조선의 정치구도에 영향을 주고도 남는 것이었다. 이는 관료집단을 견제하고자 하는 군주에게는 희소식이요, 군주권을 견제하고자 하는 관료집단에게는 그 반대였던 것이다.
그럼, 이런 상황에서 양반 관료집단은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최선책이었을까? 너무나도 당연한 말이지만, 재상직을 사수하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다. 그리고 재상직을 사수하자면, 양반 관료집단 안에서 비교적 청렴하고 또 자기세력이 별로 없는 사람을 재상으로 내세울 필요가 있었다.
청렴한 사람이 재상이 되어야만 재상 직책의 존폐 논란이 최소화될 수 있고, 또 세력이 없는 사람이 재상이 되어야만 재상직에 대한 군주의 견제가 완화되는 동시에 재상이 된 동료 관료의 권력 독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명나라에서 재상직을 폐지한 직후인 15세기 초반에, 조선에서 특별한 정치기반이 없는 한편 강직하기로 소문난 황희가 좌의정·영의정에 오른 데에는 그러한 정치적 배경이 있었다. 조선-명나라의 정치상황이 상호 연동하던 당시의 상황에서 명나라의 재상제 폐지는 조선의 재상제 폐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조선의 양반 관료집단은 황희라는 인물을 내세우는 ‘지혜’를 발휘함으로써 재상직을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황희 역시 실소득과 관계없이 청렴한 생활을 대외적으로 과시함으로써 양반 관료집단의 기대에 부응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도 재상직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그가 사치를 피하고 청렴을 선택한 것 자체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그의 이미지 뒤에는 그 같은 정치적 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양반집단 기득권 유지 위해 '황희 신화' 창조
그리고 황희가 죽은 이후에도 양반 관료집단은 청백리 황희 정승의 ‘신화’를 계속 재창조함으로써 군주권을 견제하고 신권을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 왕조 500년 동안 양반 기득권세력이 군주권에 버금가는 힘을 가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청백리 황희 정승의 신화도 일정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정치적 상황 외에도, 황희 스스로가 청빈한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되는 객관적 조건이 있었다. 조선 초기의 정치적 환경 속에서 그는 불리한 입장에 처해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1392년에 고려가 멸망하자 조선 건국을 반대하면서 한때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했던 사람이다.
또 1416년에는 ‘차기 대권주자’로서 충녕대군(세종) 대신 양녕대군을 지지했던 사람이다. 그는 번번이 ‘잘못된 선택’을 하였고 또 그런 뒤에는 매번 지조를 꺾고 새로운 정권에 참여한 인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황희는 정치적 기반이 취약했고, 그런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남에게 흠 잡힐 만한 행동을 피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다. 또 군주의 입장에서도 자기 세력이 없는 황희를 오랫동안 재상직에 앉힘으로써 군주권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당시 황희라는 인물은 군주와 관료집단의 양쪽에서 모두 선호할 만한 캐릭터였던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황희가 청백리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었고 또 그의 신화가 양반 지식인들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지 않을 수 없었던 데에는, 양반 관료집단의 대표자격인 재상 자리를 사수하기 위한 기득권 집단의 이해관계가 담겨 있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명나라의 재상직 폐지가 조선에까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양반 기득권 집단의 정치적 고려가 담겨 있었던 것이다. 황희 개인의 성품이 청렴하였다는 개인적 측면 외에도, 이 같은 정치적 측면이 ‘청백리 황희 정승’의 신화를 낳았던 것이다.
오늘날에는 관료집단의 부정부패를 견제하는 데에 적용되는 청백리 황희 정승의 신화가 본래는 양반 관료집단의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한 논리였다는 점을 이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 인물을 평가할 때에는 기득권 지식인들의 논리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