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불평등 악화
경실련
- 정부는 상속세 인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문제는 '거버넌스' 부당한 배당구조에 있다는 것이 주요한 의견으로 뽑힙니다. 통계청 '2022년 가계금융 복지조사'에 따르면 상위 10%와 하위 10%간 소득 격차는 21배, 자산 격차는 13배로 집계되었습니다. 상속세가 감면되면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박 : "상속세 인하에 따른 디스카운트 해소라는 주장은 기업들이 상속세를 회피하기 위해 상속을 피하는 데 편법이나 불법을 사용한다는 전제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상속세를 낮추거나 면제하는 것이 편법이나 불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얘기는 단순한 주장입니다.
먼저, 기업의 경영권이 상속을 통해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경영 능력은 유전되거나 상속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국가들의 역사나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상속을 통한 경영은 주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습니다.
두 번째로, 상속세를 낮춘다고 해서 편법이나 불법을 방지할 수 있는 보장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의 이재용 회장의 경우 처음에 증여로 60억 정도를 받은 후 일감 몰아주기나 M&A 상장과 같은 편법과 불법을 사용하여 재산을 증식한 사례입니다. 이건희 회장으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은 작은 일부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상속세를 낮춘다고 해서 편법이나 불법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세 번째로, 상속세를 낮춘다는 것은 소득에서 법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미 높은 한국의 경제 구조에 불균형을 더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는 부의 계급화를 심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사회의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재산을 상속받는 것보다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상속세 인하는 이러한 원칙에 부합하는지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 양극화와 불평등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시민사회가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박 : "우리 시민사회도 정치권이 단기적이고 갈등을 일으키는 문제에만 집중하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시민사회는 당장의 문제에 대처하는 동시에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야 합니다. 앞으로 여러 측면에서 재정 수요가 많을 것이기 때문에 세금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여당과 야당 모두는 세금 문제를 선거의 이유로 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와 감세정책을 비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근로소득세보다 자산소득세가 같거나 더 높아야 한다는 점이 대표적인데, 현재는 자산과 금융 등에 대한 세율이 더 낮습니다.
궁극적으로 종합과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전 단계에서도 세율을 점진적으로 근로소득세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우리는 근로소득세가 가장 높은데, 이는 노력하여 수입을 올리는 사람들이 과도하게 세금을 부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효율적이지도, 공정하지도 않습니다. 시민단체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정부와 정치권에 영향을 주어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