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년전 공룡들이 몰려온다

중국 진품 공룡화석 한국 대이동

등록 2003.01.03 18:00수정 2003.01.07 10:40
0
원고료로 응원
내달 1월 4일부터 2월 14일까지 42일간 코엑스 컨벤션홀에서 KBS와 코엑스가 공동 주최하고 Value Gates 주관하에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진품 공룡 전시회(Hi Dino 2003)가 열린다.

a

마멘치사우루스의 목뼈 ⓒ 박규진

1월 4일 전시 오픈을 앞두고 현재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전시를 위해 중국 천진자연박물관장 외 2명과 현지 교포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설치팀(60명)은 그 규모를 짐작케 한다.

2,200평 전시면적에서 열리는 이번 공룡전은 고생물화석 전시로는 전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을 만큼 최대규모이며, 전시품 평가액이 250억원을 상회한다.

a

대학원생에게 공룡화석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는 임종덕 교수 ⓒ 박규진

서울대 임종덕 교수는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게 자연사박물관 하나 없는 나라다. 한국에 소개된 적이 없는 진귀한 공룡 화석들과 새로운 전시 기법으로 열리게 될 이번 전시는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고, 관련 분야의 발전을 앞당기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 전했다.

특히 '하이 디노'(Hi DINO)전은 기존의 전시형태에서 벗어나 음향과 조명, 영상이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전시 시스템을 도입했다.

한국방송공사(KBS)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열리는 'Hi DINO'전은 중국 5대 자연사 박물관 중 하나인 '천진자연박물관'과 '사천성 자공 공룡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20미터 짜리 진품 공룡화석인 마멘치사우루스(Mamenchisaurus)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단 2마리 밖에 없는 희귀한 종으로 알려진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초식공룡 주첸고사우루스(Zhuchengosaurus) 등 15점의 진품공룡화석과 11점의 시조포유동물 화석, 공자새, 리콥테라 등 화석표본 45점을 포함 총 74점이 전시된다.

a

마멘치사우루스 ⓒ 박규진

이들 중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쥬라기 후기인 155-145MYA(약 1억5500만~1억4500만년 전)에 살았던 초식 공룡인 마멘치사우루스(Mamenchisaurus)는 몸 전체길이가 20미터를 넘고, 19개의 목뼈(vertebrae)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목이 긴 공룡으로 알려져 있다.

a

주첸고사우루스의 넓적다리 ⓒ 박규진

김익모 고문은 "주첸고사우루스의 넓적다리 뼈를 만진 중국의 최고 지도자들이 모두 공직에 올랐다는 재밌는 일화가 있다"고 귀뜸해 주었다.

a

밸류게이트 일터내셔날 김익모 고문 ⓒ 박규진

또한 "국내 최초, 최대 규모로 열리게 되는 이번 전시는 보는 전시에 그치지 않고, 직접 만져보고 체험도 할 수 있도록 유익한 프로그램들을 마련했다"며 "2월 14일 이후에는 지방 순회 전시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규모로는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이번 전시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했다.

주최측에서는 척추고생물학자로 현재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임종덕 교수(자문)와 함께 직접 공룡 화석을 만져보거나 발굴도 해보는 초중고생 대상 공룡경제캠프, 어린이 공룡미술대회, 공룡가족 사진전 등 다채로운 행사를 마련해 놓고 있으며, 방학을 맞은 어린이들 뿐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좋은 체험학습의 장이 될 것이다.

a

가장 난폭한 육식공룡으로 알려진 '티라노사우르스' ⓒ 박규진

덧붙이는 글 | 홈페이지: http://www.hidino.com

문의: 밸류게이츠 인터내셔날 02-517-1002

* 문화일보 知키(http://www.zkey.co.kr)에 실렸던 기사입니다.

덧붙이는 글 홈페이지: http://www.hidino.com

문의: 밸류게이츠 인터내셔날 02-517-1002

* 문화일보 知키(http://www.zkey.co.kr)에 실렸던 기사입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2. 2 택배 상자에 제비집? 이런 건 처음 봤습니다
  3. 3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4. 4 서울 사는 '베이비부머', 노후엔 여기로 간답니다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