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강준만은 지난 95년 <김대중 죽이기> 이후 97년부터 1인 저널룩 <인물과 사상> 시리즈를 내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김대중 죽이기>와 <전라도 죽이기>, <우리 대중문화 길찾기>, <서울대의 나라> 등이 있다.오마이뉴스 김정훈
대학 새내기가 되었다. 지역 사회 너머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고 교과서와 참고서를 떠나 각종 서적들을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기 시작했다. 아직 쌀쌀한 기운이 남아 있던 98년 3월, 입학과 함께 한 선배의 추천으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과 역사학연구소에서 낸 <강좌 한국근현대사>, 박세길의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시리즈를 집어 들었다.
그런데 이게 웬 일. ‘정치·경제’와 ‘국민윤리’ 교과서로 ‘사회탐구’ 공부를 하는 틈틈이 <조선일보>를 보며 논술을 준비했던 범생이에게, 이 책들은 놀라움을 넘어 당혹으로 다가왔다. 대학 입학 전인 1996년 이른바 ‘연세대 사태’가 있었기에 “데모하는 데는 아예 얼씬도 말라”는 부모님의 주의를 받은 터라 몸과 마음은 점점 긴장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웃기는 일이지만 대학 1학년 1학기 때만 해도 ‘이런 책’을 읽으면 큰 죄라도 짓는 것인 줄 알았던 것이다.
이 책들은 ‘만주 벌판을 호령한 고구려’나 ‘민족통일의 대업을 이뤄낸 신라’ 이야기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역사 교과서와는 달리 우리의 현대사를 주로 다루고 있다. 그런데 그 내용이란 것들이 너무도 놀라웠다. 한두 사람 혹은 한두 권이라면 모를까 적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의 한국 현대사 관련 서적들이 그동안 교과서와 ‘콩기름 일보’를 통해 보아왔던 역사와는 다른 사실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었던 것이다. 달라도 너무 달랐다. 혼란스러웠다. 어느 순간 그동안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사실’과 ‘가치’들에 대해 “이건 아닌데…”하는 의문부호를 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IMF 사태가 박정희 때문이라고?
그러나 한계가 있었다. 앞서 말한 책들의 경우 소설 <난쏘공>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기는 하지만 동화 같은 분위기로 다소 감성적인 부분이 강하게 부각됐던 것 같고, 나머지 두 책은 근 반세기를 한 권 혹은 세 권에 압축하느라 상당한 생략을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다른 책들이라고 해서 별반 다를 바 없었고, 아직 우리 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감도 잡지 못한 대학 새내기가 뒤적거린 관련 논문들은 이해하기조차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