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도 뒤집어 줘야 곡식이 제대로 자란다

항일유적답사기 (25) - 백두산 (Ⅰ)

등록 2003.05.26 10:00수정 2003.05.26 10:36
0
원고료로 응원
백두산의 해돋이 장관
백두산의 해돋이 장관
백두산 가는 길

우리 민족의 성산(聖山) ― 백두산! 예로부터 백두산은 우리나라의 조종산(祖宗山)으로 일컬어져 왔다. 조종산이란 마을과 고을, 나아가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산을 말한다.


우리나라 지맥이 모두 백두산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 산에 담긴 수많은 전설과 설화는 우리 겨레 얼의 토양이 되어 왔다. 백두산, 그 얼마나 그리던 겨레의 영산(靈山)이었던가?

이번 답사 길에 두 분 선생이 백두산 일대는 일제 수난기에는 의병·독립군·항일 전사들에게는 해방의 공간으로, 특히 1930년대 후반기부터 해방 때까지 항일연군의 최대 격전장으로 꼭 답사 일정에 넣어야 한다고 해서 나의 백두산 등반은 덤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남의 땅을 통하여 내 나라 백두산을 찾는 마음은 설렘 반, 아쉬움 반이었다.

우리 일행은 청산리를 떠나 백두산으로 곧장 달렸다. 길은 대부분 비포장 도로로 오가는 차들이 뜸했다. 어랑촌을 답사할 때는 백두산행 관광버스와 승용차가 줄을 잇다시피 먼지를 뿜으며 달렸는데, 이 길은 백두산 가는 길을 우회한 탓으로 차들이 거의 없었다.

연길에서 백두산 가는 길은 서성(西城)에서 와룡, 어랑촌으로 가는 길이 지름길이기에 관광버스나 승용차 대부분은 그 길로 갔다. 세 곳의 전적지를 답사한 뒤라 11시가 넘었다.


한 기사는 당일치기로 백두산 오르기에는 시간이 매우 촉박하다면서 청산리를 출발한 뒤로는 전속력으로 차를 몰았다. 이렇게 달리다가 엔진이 열 받아 도중에서 멈추지나 않을까 싶어 내내 불안했다.

백두산으로 이르는 길, 마치 깊은 삼림대를 수상 스키를 타고 달리는 기분이었다.
백두산으로 이르는 길, 마치 깊은 삼림대를 수상 스키를 타고 달리는 기분이었다.박도
백두산이 가까워질수록 언저리의 수목은 더욱 우거지고 길은 오르막길이었다. 이 길은 평소에도 일반 차량 통행이 뜸한, 주로 백두산 임장에서 목재를 실어 나르는 트럭들의 전용 도로였다.


그런 탓인지 도로에는 전혀 이정표가 없었다. 백두산에 수없이 손님을 실어 날랐다는 한 기사도 이 길은 백두산에서 돌아올 때 꼭 한번 지났다면서 다소 자신이 없어 보였다.

어느 비탈길을 오르는데 두 갈래 길이 나타났다. 깊은 삼림 속이었다.

지난날 항일 빨치산 대원들이 밀영 터로 삼았을 그런 첩첩 산중이었다. 도로에서 조금만 빠져나가면 우거진 숲으로 종적을 찾지 못할 밀림지대였다. 항일 전사들의 천연 유격대 근거지로는 아주 안성맞춤이었다.

우리 일행은 두 갈래 길에서 눈을 씻고 봐도 백두산으로 가는 이정표가 보이지 않아서 어느 길로 가야할 지 종잡을 수 없어서 하는 수 없이 차에서 내렸다.

중국대륙을 다니면서 여러 차례 느낀 바는, 도로에 이정표가 매우 드물어 초행길 나그네에게는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장춘에서 하얼빈을 달릴 때도 280여 킬로미터가 되는 먼길에 이정표는 두어 곳뿐이었다.

나머지 길은 그야말로 ‘이정표 없는 거리’를 달리는 셈이었다. 이는 중국인들의 ‘만만디’ 정신으로 해석해야 할 지, 아니면 그 만큼 외부인에게는 신경 쓰지 않는 폐쇄성이라고 해야 할 지 알 수 없었다. 개방 물결이 아직도 일부 도시에만 일고 있는 때문인가 보다.

깊은 산중에서 상큼한 공기를 마시며 삼림욕 겸 쉬면서 지나가는 차를 마냥 기다렸다. 10여분 후, 원목을 가득 실은 대형 트럭이 나타나서 그 기사에게 길을 묻고서야 제 길을 찾을 수 있었다.

다시 산길을 한참 달리자 긴 서까래가 한 ‘一’자로 길을 막았다. 통행료를 내야만 지날 수 있다며 한 기사는 차에서 내렸다. 한 기사가 도로에서 30미터 거리에 있는 사무실로 가서 통행료를 내고 돌아오자 그제야 복무원은 도르래 줄을 당겨서 길을 열어주었다.

참 재미있는 나라였다. 그네들은 ‘우리들은 조금도 아쉬울 게 없다. 너희가 이곳을 지나려면 여기까지 와서 통행료를 바치고 가라’는 배짱이었다.

포장도 안 된, 더욱이 이정표도 없는 도로에 무슨 통행료인가? 내가 불평을 늘어놓았더니, 한 기사는 ‘가재는 게 편’으로 같은 국적의 그들 편을 들었다.

이 길은 임도(林道:목재 운송용 도로)로 닦은 길이기에 다른 차량은 마땅히 통행료를 내야만 이나마 도로를 유지한다고 했다. 백두산에 이르기까지 도로 통행료를 두어 차례 더 냈다.

이 나라는 지방 자치제가 철저해서 성(省)이나 현(縣)마다 독립채산제로 도로관리를 하기에 그렇다고 했다. 차단 목을 통과하자 마침 통나무집 휴게실이 나타났다.

한 기사는 이 휴게소에서 커피 한 잔 마시면서 잠시 쉬어가자고 했다. 승객으로서 기사의 말을 어찌 거스를 수 있으랴.

산중 찻집은 마냥 고즈넉했다. 한족 청년이 느글느글한 미소를 지으며 타 주는 쓴 커피를 마시고 값을 치르는 데 커피 세 잔 값으로 50원을 요구했다. 50원이면 세 사람의 한끼 밥값에 해당하는 돈이었다.

내 경험으로는 산 사나이들은 대체로 순박한데 그는 산사나이답지 않게 음흉해 보였다. 그에게 톡톡히 바가지를 썼다. 하기야 이 깊은 산중에 어쩌다가 지나치는 팔자 좋은 이방인에게 바가지를 안 씌우면 누구에게 씌우랴.

한족들은 중화사상이 몸에 밴 탓인지 외국인에게는 바가지를 씌우는 일이 많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숙박료도 입장료도 외국인에게는 대부분 더 받았다. 그래서 김 선생은 나와 이 선생에게 단단히 주의를 줬다. 특히 빈관 로비에서는 일체 입을 닫으라고 했다.

괜히 외국인 티를 내서 바가지를 쓸 필요가 없다고, 당신은 중국인처럼 보이려고 남방 셔츠까지 중국제를 입고 답사 길에 나섰다.

다시 뙤약볕 산길을 달렸다. 우거진 숲에서 매미들은 발악을 하면서 제 철을 마냥 즐겼다. 띄엄띄엄 차창 밖으로 지나치는 이곳 산 마을의 집들은 온통 통나무나 널빤지로 만든 집이었다.

나무가 흔한 곳이니까 그럴 테지. 백두산 밀림지대답게 지상에는 온통 나무들이다. 휴게소를 떠나 다시 한참을 달리자 쑹장〔松江〕이라는 조그마한 촌락이 나왔다.

이 마을도 온통 원목을 쌓아둔 임장(林場)이요, 제재소였다. 강원도 태백이나 사북 같은 도시는 온 시가지가 석탄으로 뒤덮여 있듯이, 이 일대 도시와 마을은 온통 나무로 뒤덮였다. 골목길에도 나무껍질과 톱밥들이 겹겹이 지천으로 쌓여 있었다.

백두산 정상이 가까워질수록 도로 양편에는 삼림들이 다채롭게 펼쳐졌다. 잣나무, 잎갈나무, 가문비나무들이 마치 근위병처럼 버티고 있어서 차를 타고 달리자 사열하는 기분이었다.

나는 마치 개선장군이 된 양 으쓱한 마음으로 숲길을 달렸다. 싱그러운 초록의 숲을 달리는 기분은 수상 스키어의 기분이랄까. 산을 오를수록 나무 군락이 변했다. 곧 도로 언저리에는 하얀 자작나무가 어느 새 하늘을 덮고 있었다.

정갈하고 품위 있게 꼿꼿이 자란 미인송.
정갈하고 품위 있게 꼿꼿이 자란 미인송.박도
백두산 들머리 마을 백산(白山)을 지나자 이번에는 미인송(美人松) 군락이 나그네의 발길을 멈추게 했다. 갈 길이 아무리 바빠도 도로 양편의 미인송 삼림지대만은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정갈하고 품위 있게 꼿꼿이 자란 미인송에 매료되어 차에서 내려 잠시 카메라에 담았다.

이곳 미인송들은 하나같이 하늘을 향하여 미끈하게 뻗은 동량(棟樑) 감이었다. 이런 좋은 목재는 심산 유곡 명산에서만 자라나 보다.

일찍이 송강 정철이 금강산 일만 이천 봉의 맑고 깨끔한 모양을 바라보면서 “저 기운 흩어내어 인걸을 만들고 싶구나”라며 우국(憂國)의 정을 읊었는데, 나도 백두산 들머리의 미인송 군락을 보자마자 그 생각이 들었다.

지금 우리나라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모든 분야의 썩은 기둥과 들보들을 모조리 들어내고 그 자리에다가 저 미인송 같은 정갈하고도 곧은 인재를 널리 구하여 새로 갈아 끼울 수는 없을까?

그렇게 대폭 갈아 끼우지 않은 한, 혼탁해진 나라를 도저히 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땅도 해마다 뒤집어 줘야 곡식이 제대로 자라는데, 해방 후 50여년, 아니 개화 이후 내내 이 나라 지도층은 한 번도 제대로 물갈이를 못했다.

'눈가리고 아웅'식 깔짝깔짝한 물갈이로는 두 동강난 이 나라와 겨레를, 온통 썩어 악취가 진동하는 이 나라를 도저히 구하지 못할 것 같다. 땜질식 미봉책 물갈이는 오히려 분단을 더욱 고착시키고, 부정 부패가 더욱 교활하게 기승을 부릴 것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2. 2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5. 5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