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안기부 별관 지하에 있던 유치장의 흔적은 사라지고 없다.권기봉
백두산이나 한라산은 강토를 통틀어 단 하나뿐이라지만 남산은 전국에 걸쳐 수십 개나 존재하는 산이다. 그저 앞산을 남산으로 부르는 경향이 있을 정도로 흔하디 흔한 산이 남산이다.
그렇다고 모든 남산이 특징 하나 없는 밋밋한 산은 아닐 터. 시도마다 동리마다 있는 산이 남산이라지만 유독 서울 남산만은 남다른 데가 있다. 다른 것들과는 달리 나라의 수도 한복판에 위치한 이유로 여러 이야기가 얽혀 있고 독특한 건물들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화려한 야경을 볼 수 있는 서울타워나 식물원, 도서관 등으로 유명한 서울 남산. 간혹 고전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허생과 딸깍발이를 기억해낼 것이고, 역사에 조예가 깊은 이라면 국사당과 일제가 세웠던 신사(神社), 봄이면 벚꽃 만발하는 장충단공원을 기억해낼지도 모를 일이다.
'남산'은 하나가 아니었다
그런데 한국 현대사를 들여다 보면 말이 달라진다. 서울 남산이 유일무이한 성격을 갖는 까닭은 그것이 아니다. 보자. 20대 이하의 청소년이라면 모르는 이도 있겠지만, 한때 서울에는 두 개의 '남산'이 있었다. 숲이 우거지고 식물원과 서울타워가 있는 남산이 첫 번째라면, 사람들의 비명으로 넘쳐났던 남산이 두 번째.
한국 현대사 속의 '남산'은 소나무 우거진 남산이 아니요, 다람쥐가 먹이 찾아 오르내리던 남산도 아니다. 짙푸른 숲이나 가족과의 등산, 혹은 평화로운 산내음과는 거리가 멀다. 당시 '남산'이라 함은 곧 중앙정보부(중정)와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를 가리키는 말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