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한자릿수 지지율엔 이유가 있다"

김기식 총선연대 집행위원장, 민주당 행태에 '쓴소리' 직격탄

등록 2004.03.03 13:17수정 2004.03.04 09:39
0
원고료로 응원
김기식 2004총선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이 민주당의 공천작업과 2일 정치관계법 처리 무산 과정에서의 '지역구 챙기기'에 직격탄을 날렸다.

3일 오전 10시 각당 공천 과정을 중간평가하는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김기식 위원장은 "한 자리수 지지율로 당이 존망의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도 민주당은 부패비리 인사 7명을 포함 12명의 총선연대 낙천대상자를 공천했고, 어제는 정개특위 선거법 논의 과정에서의 집요한 지역구 챙기기를 임시국회 마지막까지 시도하면서 한나라당과 함께 정치관계법 처리를 무산시켰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쓴소리는 각 당 공천 과정에 대한 실망감을 토로하는 것에서 시작됐다. 김 위원장은 "3당이 공천한 34명의 낙천대상자 중 각 당이 공천배제 1순위 기준으로 호언한 부패비리 연루자들이 10명도 넘는다면서"면서 "지금까지 드러난 3당의 공천은 개혁공천에 대한 국민의 열망은 물론 각 정당 스스로 밝힌 공천혁명과도 정면 배치되는 자가당착적 공천"이라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여론의 질타를 받으면서도 각 당이 이런 개악공천을 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답하면서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대한 비판의 포문을 열었다.

김 위원장은 "가능하면 총선연대는 각 당에 대한 비판이나 평가는 절제하려고 했으나 어제 선거법이 무산되는 기막힌 상황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다"면서 "한나라당, 민주당의 공천 결과와 어제 정치관계법 처리 무산 과정에서의 역할을 보면 당의 존망의 위기 속에서도 여전히 국민 무서운 줄 모르고 있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밝혔다.

서주원 총선연대 공동집행위원장 역시 "지금 각 당의 공천 추이로 보면 총선연대 낙천대상자의 공천 낙천률이 30%에 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총선연대의 공천반대 기준이 각 당 공천심사 과정에서 거의 무시되고 있다"고 개탄했다.

김기식 위원장의 한나라당, 민주당에 대한 비판은 2일 선거법 무산 과정에 대한 언급에서부터 목소리 톤이 확연히 높아졌다.

김 위원장은 "당의 지지율이 한자릿수로 급락해 존망의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도 민주당은 국민 무서운 줄 모르고 끝까지 지역구 챙기기로 일관하며 정치관계법 처리를 무산시켰다"면서 "한나라당 역시 당내 소장파의 당 해체 주장이 나올 정도로 위기감이 높은 상황인데도 공천 결과와 어제 정치관계법 처리 과정을 보면 국민들의 지지를 받겠다는 제1당의 책임감 같은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에 대해서도 "지지율 1위에 안주해서 또 다시 낙천대상자를 공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경고를 보냈다.

각 당 공천심사위원회, 특히 공천심사위에 참여한 외부인사들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도대체 정형근, 김용갑 의원 등이 공천을 받은 기준이 뭐냐"라며 "공천심사위에 참여한 외부인사들은 각 당의 이 같은 개악공천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거짓 개혁공천에 들러리 서준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천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외부인사가 비례대표든 지역구든 공천후보로 나서는 일은 공천 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실제 한나라당 공천심사위 외부인사로 참여한 김석준 이화여대 교수는 본인이 심사위원으로 있으면서 한나라당 대구 지역의 공천자로 확정돼 본인은 물론 공천심사위원회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을 빚고 있다.

총선연대는 각 당의 공천 결과에 대한 항의와 개악공천 철회를 요구하며 4일 각 당 외부 공천심사위원들에게 공개질의서를 발송하기로 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