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원포로 가는 길박도
신흥무관학교 옛 터와 가까운 전승향 조선족소학교도 취재하고 싶었지만 그들이 계속 뒤따르기에 조금도 마음의 여유가 없어 그냥 지나쳤다. 누군가 미행하고 감시한다는 것은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기에 당하는 처지에서는 무척이나 불안하고 초조했다.
12: 20, 유하현 삼원포 시가지를 지나 서쪽으로 4킬로미터쯤 떨어져 있는 추가가(현, 명성촌)에 도착했다. 원래 이 마을에는 추가(鄒哥) 성을 가진 이가 많아서 지명조차 ‘추지가’ 또는 ‘추가’가 되었다고 한다.
삼원포(三源浦)는 세 골의 물이 합한다고 붙여진 지명이다. 땅이 기름지고 물이 흔해 농사 특히, 벼농사에 아주 적합한 곳이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이 정착하기에 아주 안성맞춤인 땅으로, 한 세기 전 우리의 망명 지사들이 이곳에다 처음으로 해외 독립기지인 경학사와 신흥강습소(뒤, 신흥무관학교)를 세웠다.
그러자 삼원포 일대에 부민단, 한족회, 신흥학우단(신흥학교 교직원과 졸업생들의 결속과 건학정신의 구현을 위해 조직한 단체), 서로군정서, 백서농장 등이 들어서서 국외 독립운동의 요람지가 되었다.
추가가 마을과 뒷산 대고산은 필자가 들렀던 5년 전이나 조금도 다름없었다. 여기서는 공안들이 우리 일행을 놓칠세라 20~30미터 거리로 아예 바짝 뒤따랐다.
이 마을 현지 주민들도 만나서 조상들의 유적지를 느긋하게 취재하려던 애초의 계획은 접고, 이국성씨의 고증과 필자가 지난번 답사 때 만났던 조선족의 증언을 토대로 일대를 둘러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