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에 가장 어려웠던 고2 때(1963)박도
산골마을에 함박눈이 소록소록 내리고 있다. 올 겨울 들어 그동안 눈이 내리지 않아서 언저리 산하가 메말라 산골사람들을 애태웠는데 나흘 전 하룻밤 새 내린 눈은 한꺼번에 겨울 가뭄을 해소시켰다. 사람이 저 잘난 양 만용을 부리지만 자연의 위력에는 도저히 미칠 수 없다.
흔히들 창작을 "피를 말리는 작업"이라고들 하는데, 요즘 나는 쓰던 글이 진도가 나가지 않아서 깊은 늪에 빠져있는 기분이다. 내 평생을 바쳐 걸어온 길이 잘못 든 게 아닐까 몹시 흔들리고 있다.
그림이 안 되자 정신착란을 일으키고 제 귀마저 자른 빈센트 반 고흐가 이해된다. 여기다가 보름 전 한 친구의 비보를 듣고,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친구를 생각할수록 내가 염치없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가난한 시절의 친구들
가난은 몸서리나고 지긋지긋하지만 그 시절에 만난 사람은 늘 아름답고 순수하게 남아있는 것은 이 무슨 조화인가.
조선조 제25대 철종 임금은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강화도의 한 초동(樵童; 나무꾼)이었다. 어느 날 갑자기 임금이 되어 대궐로 들어가서 많은 아름다운 여인들에 둘러싸였으나, 철종 임금은 나무꾼 시절의 ‘복녀’라는 처녀를 두고두고 잊지 못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그것은 복녀에게 느낀 순수함 때문이리라.
사람만 그런 게 아니다. 먹는 음식도 마찬가지다. 한 대통령은 가난한 어린시절에 어머니가 만들어준 쇠비름나물과 칼국수의 맛을 못 잊어 청와대 주인이 된 후에도 즐겨 찾았다. 하지만 그것을 청와대 주방에서는 제 맛을 내지 못해 고향의 형수가 이따금 만들어 보내는 것을 본 적이 있었다. 아마도 사람은 대체로 가난한 시절에 만났던 사람과 음식은 평생을 두고 못 잊나 보다.
내 지난 삶 가운데 가장 어려웠던 시절은 고교 때였다. 중도에 경제적인 사정으로 1년을 쉬기까지 하였으니 남보다 더 긴 고교시절이었다.
지금도 눈을 감으면 그 시절이 가장 새록새록 돋아나고 그때 만난 친구들이 정답게 다가온다. 혼자서 눈밭을 헤매다가 다시 거실로 돌아와서 고교시절의 숱한 친구들 가운데 짝이었던 친구 이야기를 두드려 본다.
소설보다 더한 기막힌 인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