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의 호프브로이-뒤쪽으로 밴드가 보인다유원진
그들을 보자마자 한국인이라고 생각한 것도 그렇지만 솔직히 처음에는 얼굴이 화끈거렸다. 무의식중에, 외국에서 나라 망신시키는 한국인들 운운하던 말들이 생각났기 때문이었다. 비행기에서 고스톱치는 한국인, 어디 가나 소리를 지르고, 서두르고, 몰상식하며 예의를 모르는 한국인…. 이런 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지울 수 없는 '주홍글씨'처럼 우리를 주눅들게 할 만했다. 그런데 이날은 아니었다.
그저 무료하게 혹은 무심하게 앉아 맥주나 홀짝이던 사람들은 ‘너 왜 이제야 왔냐’는 식으로 발을 구르고 휘파람을 불면서 분위기를 띄우고, 거기에 고무되어 한국의 젊은이들은 지루한 호프브로이를 뒤집어 엎고 활력을 불어넣었다.
잠시 열광적인 곡들이 끝나고 무대를 맡고 있던 연주자가 뭐라고 물었을 때 다른 말들은 잘 들리지 않았으나 ‘코리안’과 ‘저스트 매리드’는 비교적 또렷이 들렸다. 취하지도 어색함도 없었다. 다시 음악이 연주되고 호프브로이는 두쌍의 한국젊은이들에 힘입어 진짜 명성에 걸맞는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여기저기에서 그들을 축하하는 축배가 올려지고 모든 테이블에서 마치 당신들을 기다렸다는 듯, 젊은 사람들이 춤을 추러 무대 앞으로 나왔다. 곧 세계에서 모인 젊음이들은 하나로 어우러져 에너지와 평화를 즐기기 시작했다.
나른한 얼굴로 어기적거리며 쟁반을 나르던 청년들의 발걸음이 나는 듯이 경쾌해지고 우리 옆을 지나가던 웨이터 하나는 뜬금없이 내게 엄지를 들어 보이며 윙크를 했다. 잠시 후에는 파이에 촛불을 꽂은 케이크도 등장했다.
나그네들이 하루의 여행을 끝내고 가지고 싶은 삶의 모습은 저런 것일 것이었다. 나도 함께 어울리고 싶었으나 조용할 때는 괜찮더니 음악이 커지자 둘째가 머리가 아프다고 하여 오래 앉아 있지는 못했다. 필자하고 큰아이는 흥이 많아서(아내의 말을 빌자면 노는 기질이 있어서) 시끌벅적하게 어울려 노는 것을 좋아하는 반면 아내와 둘째는 시끄러운 곳은 딱 질색을 한다(정숙한 여자와 선비의 차이라나?).
화장실을 가다가 호프브로이의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는 젊은이와 마주쳤다.
“한국에서 오셨죠? ”
손을 닦으며 웃는데 얼굴에는 장난기가 가득하다.
“예, 신혼여행 중이시라구요? 축하합니다.”
그가 그냥 웃었는데 아주 단정한 청년이었다. 나중에 캠핑장에서 그들을 다시 만나게 되지만 그때 화장실 앞에서는 그냥 의례적인 인사만 하고 헤어졌다. 잠시 앉아 있다가 남은 잔을 비우고 일어서는데 무대쪽에서는 그들을 둘러싸고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밖으로 나오니 밖에서 서성거리며 안을 기웃거리던 사람들이 간간히 터져나오는 웃음소리에 끌린 듯 호프브로이의 문을 밀고 들어갔다. 필자가 사장이라면 그들에게 맥주잔이라도 돌리고 싶을 지경이었다. 등뒤로 누가 가르쳐 줬는지 ‘대~한민국’이 ‘대~칸민국’으로 변질(?)돼 푸른 눈들에 의해 열창되고 있었다.
아무것도 아닌 일이지만 가슴이 벅차 왔다. 어디가나 천덕꾸러기였던 우리들이, 그래서 외국에 나가서는 차라리 일본인이라고 한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던 우리들이, 이제 하나의 주류가 되어 저들을 우리의 무대로 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일천한 민주주의 역사는 고사하고라도 남보다 열 배 스무 배 힘들게 살아온 까닭에 눈치만 보고 다니던 우리들이 이제 세상사람들에게 우리의 어떤 모습들을 보여주기 시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