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구의 포구기행>, 곽재구 지음, 열림원, 2002열림원
사람을 한두 유형으로 가르는 일은 불가능하겠지만, 재미삼아 두 부류로 구분해 볼 수는 있겠다 싶다. 길 위에 있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
가고 싶은 곳이 많아 여행서를 읽는다. 아니, 가지 않은 곳이 많아 여행서를 읽는다. 여행서는 강퍅한 마음을 두드려 온기와 생기를 돌게 만든다. 딱딱한 북어를 두드려 시원하게 속을 푸는 북어국으로 변주해내는 방망이와도 같다.
그러나 ‘구하기 위함’이 아니라 ‘버리기 위함’의 여정인 <반지의 제왕>이 관심을 끄는 것은 획득보다 상실, 소유보다 버림을 선택한 구도가 지닌 매혹 때문이다. 보다 적은 쪽으로의 향함, 그것은 홀로 하는 여행의 절대 명제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단독여행자의 도반이고 싶을 때가 있다.
<곽재구의 포구기행>중에서 “모래사장이 끝나는 작은 바위섬에서 나는 이문재의 시집을 읽었다.”는 문장에서 그만 마음이 푹 젖고 말았다. 홀로 길 위에 있는 사람만이 시를 읽는다. 이때 시는 ‘길 위에서의 명상’이며, ‘명상으로의 길’이다.
인용시의 어떤 부분이 저자의 마음에 스미었을까. 책꽂이에서 그 시가 실린 시집 <마음의 오지>를 꺼낸다. 오랜만이다. 도심에 몸 붙어 있었으나 이문재의 마음은 오지를 떠돈다. 그의 마음이 오지다.
몸에서 나간 길들이 돌아오지 않는다
언제 나갔는데 벌써 내 주소 잊었는가 잃었는가
그 길 따라 함께 떠난 더운 사랑들
그러니까 내 몸은 그대 안에 들지 못했더랬구나
내 마음 그러니까 그대 몸 껴안지 못했더랬었구나
그대에게 가는 길에 철철 석유 뿌려놓고
내가 붙여냈던 불길들 그 불의 길들
그러니까 다 다른 곳으로 달려갔더랬구나
연기만 그러니까 매캐했던 것이구나
- 이문재 시 <마음의 지도>
시를 읽는 일은 마음에 그림을 새기는 일이다. 시를 쓰는 일은 마음에 새긴 그림을 언어로 변주해내는 일이다. 그리하여 시 쓰는 이는 시 읽는 이이기도 하다. 그렇게 생각하면서 잠시 샛길로 들어섰던 길에서 돌아나와 곽재구의 포구행 길 위로 다시 들어선다.
곽재구는 오지의 포구를 떠돈다. 속이 울렁거린다. 어지럽다. 작은 배를 타고 처음 바다로 나섰을 때의 그 울렁거림. 볼품없는 포구에 묶인 배들은 잔물결에도 출렁거린다. 마음이 울렁거린다. 그 울렁거림이 나를 거리로 내몬 적이 있다. 내 태생은 본디 길 위에 놓이는 것을 싫어하였지만, 나는 그러한 내 태생이 싫어 억지로 길 위로 스스로를 내몰았다.
길에 서면 누구나 선택의 갈림에서 갈등한다. 모든 여행자들은 숙명적으로 맞닥뜨려야 하는 선택의 갈림길에 선 사람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여행을 인생에 비유하기도 한다. 살아가면서 종종 선택의 기로에 서야 하는 경우를 만난다. 어느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 냉정한 그 순간을 외면하고 싶은 것. 간혹 여행길에서 그러한 경우에 맞닥뜨리기도 한다.
“나그네는 길 위에서 하룻밤 묵을 지명을 정할 때 행복하다. 여기저기 길들의 영혼이 옷자락을 붙드는 숨결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안산은 따뜻하다. 지명 속에 포근한 꿈자리가 마련돼 있다. 그러나 나그네에게 안락함은 독이다. 안락함을 즐겨 선택하는 나그네는 오래 길 위에 서지 못한다.” (<포구기행> 23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