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나무에 그리움만 쏟아지네

제주 4ㆍ3평화공원 언덕에서 만난 보리수나무

등록 2005.11.16 17:38수정 2005.11.16 18:50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 김동식


바람의 언덕을 지나는 길에는 억새 무더기가 새하얀 그리움을 실어 나르는 중이다. 깊어가는 가을도 잊어버린 듯하다. 이 녀석은 언제나 들 뜬 마음을 바로 잡아 주는 능력이 있다.


한 계절을 지배하고 있는 억새가 발목을 붙잡지 않았다면 손해가 클 뻔 했다. 제주 4.3평화공원 옆에서 기억 속에만 남아 있던 아스라한 추억을 만났다. 양지바른 언덕에 보리수나무 두 그루가 억새와 어울리고 있었다. 보리수나무를 제주에서는 '볼래낭'이라 부른다.

어린 시절, 들에 나가면 늘 반겨주던 볼래낭 열매가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반갑다. 시골 생활에 대한 향수가 볼래낭에 맺혀 있어서일까. 들과 산으로 쏘다니며 잘 읽은 열매를 찾아 헤매던 기억이 새롭다. 산열매를 따다가 누이에게 나눠 주던 추억이 묻어 있기도 하다.

a

ⓒ 김동식


그 맛도 달콤하고 새콤하다. 떫은 맛도 적다. 설령 입맛이 바뀐들 고향의 맛이 어디 가랴. 함께 뛰놀던 동무들의 정다운 얼굴들이 볼래낭에 걸리고, 뿔뿔이 흩어진 고향식구들의 온정이 이 작은 열매에 머무는 것을 어찌하랴.

a

ⓒ 김동식


a

ⓒ 김동식


보리수나무에는 잘못 알려진 이야기가 많다. 슈베르트의 가곡에 등장하는 성문 앞 샘물 곁에 서있는 보리수, 아니면 부처님께서 보리수나무 아래서 도를 깨우쳤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 토종 보리수나무와는 아무런 인연이 없다.

a

ⓒ 김동식


가곡의 린덴바움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불교의 보리수와 혼동하여 잘못 옮긴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원래 우리나라에는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나무가 자랄 수 없다고 한다. 석가모니가 도를 깨친 인도 보리수가 우리나라에서는 추워 자랄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불교신자들이 대용 나무가 필요하여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라는 피나무(달피나무)나 보리자나무를 '보리수'란 이름을 붙여 널리 심었다고도 한다.


보리수나무를 부르는 이름도 많다. 지방에 따라서 보리똥나무, 뻐루똥나무, 보리화주나무, 볼레나무로 부르고 있다. 중국에서는 호퇴목(虎頹木)이라고 하고 그 열매를 호퇴자(胡頹子)라고 한다. 이름 그대로 호랑이를 물리치는 나무라는 뜻이다. 잔가지와 열매에 호랑이 무늬와 닮은 얼룩점이 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게 된 것 같다.

비슷한 나무로 보리장나무, 보리밥나무, 뜰보리수(왕보리수)나무가 있다. 가을에 열매가 작고 둥그스레하게 열리는 나무가 진짜 보리수나무다. 봄에 열매가 크고 타원형으로 열리는 나무는 보리장나무 또는 보리밥나무이며, 제주에서는 이를 보리볼래낭이라 부른다.


a

ⓒ 김동식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에 맞는 우리 이름을 붙여 자연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쏟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볼래낭에 쏟아지는 햇살만큼 추억의 나무에 그리움이 뭉클하다.

a

ⓒ 김동식

덧붙이는 글 | 김동식 기자는 제주 서귀포시청에 근무하고 있으며 서귀포감귤박물관에서 마케팅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김동식 기자는 제주 서귀포시청에 근무하고 있으며 서귀포감귤박물관에서 마케팅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김건희·채상병특검법 부결,  여당 4표 이탈 '균열'
  2. 2 한국만 둔감하다...포스코 떠나는 해외 투자기관들 한국만 둔감하다...포스코 떠나는 해외 투자기관들
  3. 3 "KBS 풀어주고 이재명 쪽으로" 위증교사 마지막 재판의 녹음파일 "KBS 풀어주고 이재명 쪽으로" 위증교사 마지막 재판의 녹음파일
  4. 4 [이충재 칼럼] 윤 대통령, 너무 겁이 없다 [이충재 칼럼] 윤 대통령, 너무 겁이 없다
  5. 5 "이러다 임오군란 일어나겠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 대통령 "이러다 임오군란 일어나겠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 대통령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