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이 나는 마을 갱번.김준
사실 민박과 체험으로 돈을 번다는 것은 애초부터 잘못된 것이었다. 체험이라고 해 봐야 1천 원에서 5천 원, 여름철 바다 체험이 1만 원 정도였다. 이러한 체험들은 다랭이마을 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하기 때문에 민박집 소득과 거리가 있다. 따라서 민박집 숙식비로 농가들이 돈을 만진다는 것은 만만한 게 아니었다.
그런데 의외의 곳에서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했다. 바로 미역과 마늘이었다. 찬거리가 특별히 없었던 탓에 주민들도 찬거리 정도나 하고 거들떠보지 않던 미역으로 끓인 국이 손님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이곳 갱번은 물살이 세고 거칠어 미역 품질이 아주 좋고 쫄깃쫄깃했다.
하지만 말리면 '희뜩희뜩'해 상품성이 떨어져 잘 뜯지 않았는데, 미역국 맛이 손님들에게 인기를 끌면서 다랭이 미역이 불티가 나기 시작했다. 이제 하루 식사 중 한 번은 꼭 이곳 미역으로 국을 끓여 낸다. 이곳 미역은 3kg에 4만5천 원에 거래되는데 생산되기 바쁘게 팔리고 있다.
자신들의 장점을 하나씩 발견하기 시작한 다랭이 사람들, 이제는 마늘 판매에 나섰다. 오래 전부터 마늘은 남해의 특산품이었다. 민박에서 직접 마늘 장아찌를 비롯한 마늘 반찬을 먹어본 방문객들이 즉석에서 마늘 주문을 할 정도였다.
특히 다랭이 마을은 농사 자체가 전통 방식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해풍에 품질도 한 등급 위에 속했다. 예전에는 농협을 통해 1kg에 1700원에 거래되던(수수료와 운송비를 제하면 1만6000원 소득) 1등품이 지금 다랭이마을에서는 2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다랭이마을의 마늘은 5월에 수확하지만 판매는 7월에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마늘을 사면 잘 말려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망 속에 넣어 두고 먹는다. 한꺼번에 소비할 수 없기 때문에 먹다 보면 마늘이 썩고 양도 줄어들기 마련이다.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은 마늘의 품질에 대해 의심하게 되고 피해는 농민이 보게 된다. 그래서 다랭이마을은 마늘을 한 달간 제대로 말려 상품을 만든 다음 장마가 끝난 뒤 7월에 예약을 받아 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