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걸 '악마의 짓'이라고 떠넘기지 마라

[서평] 제프리 버튼 라셀의 <데블>을 읽고

등록 2006.04.04 10:18수정 2006.04.04 17:39
0
원고료로 응원
책 겉그림
책 겉그림르네상스
히틀러의 독재 아래, 많은 유대인들은 이유도 없이 가스실에서 죽임을 당했다. 일제시대 때는 우리나라의 선량한 여인들이 말 못할 고통을 겪었다. 미국의 광기 어린 전쟁으로 수없이 많은 이라크 아이들이 전쟁고아가 되고 말았다.

이러한 것들을 모두 '악'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까? 그렇다. 도덕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악한 짓을 저질렀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들어있는 악한 기질이 그렇게 몹쓸 짓을 저지르도록 충동질했기 때문이다. 그 무분별한 충동질에 넘어가 버렸으니 분명히 악에게 넘어간 것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행한 만행을 악한 기질 탓으로만 돌리면 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악한 기질은 분명 한 개인 안에 들어있는 그 자체요 속성이다. 그것은 인간의 모든 인격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능력은 분명히 인간 그 자신에게 있는 것이다.

그렇듯 악에 대한 부분을 나름대로 이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도대체 악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악이 신화와 역사와 철학과 종교와 맞물리면서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악은 과연 물질적인 것인지 아니면 정신적인 측면에만 국한된 것인지, 그리고 악을 둘러싼 인간의 책임부분은 어디까지 규명돼야 하는 것인지, 좀체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지만 그것들을 분석·통합하여 역사적인 방법으로 '악'에 대해 규명해준 책이 나왔다. 이른바 '악의 의인화'라는 광범위한 문제를 다룬 제프리 버튼 라셀의 <데블>(김영범 옮김·르네상스·2006)이 그것이다.

"악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악은 사람들이 인식하는 대로 존재한다. 그러나 악에 대한 인식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만족스럽게 악을 정의할 수 없다. 제한적이나마 의사소통을 위해서 자의적으로 정의를 내릴 수도 있다. 그러나 악은 애매모호한 개념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내적인 일관성을 갖지도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범주를 통해 정의하기보다는 즉각적이고 직접적이며 실존적으로 악을 인식해야 한다."(16쪽)

그렇다. 악을 인식하는 것 자체가 사람마다 다 다르다. 그것을 현상학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악한 감정이나 악한 기질에 관심을 두고서 그 실체만을 따지려 든다. 그리하여 그 기질에 따른 악습이라든지 폭행이라든지 범죄 같은 실제적인 죄악을 쏟아내는 경우만을 악이라고 단정 짓는다.


그와 달리 악을 형이상학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악이란 본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서 '선의 부재'로 나타나는 일시적인 것이라고 단정한다. 이를테면 플라톤은 악이란 절대로 실재하지 않으며 완벽하지 못함과 그 결핍에서 나온 것이라고 했다. 이데아의 세계는 완벽하고 전적으로 선하지만, 현실 세계는 이데아의 세계를 적절히 반영할 수 없고 부족한 만큼 덜 실재적이기에 그것이 곧 악이라는 것이다.

그렇듯 악에 대한 일관성을 찾기란 힘든 법이다. 사람마다 생각하고 있는 관점이 다 다르기 때문이고, 그들이 겪는 모습들도 다 다르기 때문이다. 심지어 악을 악이라 생각지 않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악' 또는 '악마'의 실체보다는 '악의 의인화', 곧 사람의 인격 속에 존재하는 악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있다. 역사란 그 시대의 정치·사회·문화·경제·종교 등 모든 것을 망라하기에 사람의 인격 속에 존재하는 악도 그렇게 모든 것을 통틀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악은 본래 어디에서 출발하는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출발은 일원론이다. 일원론이란 선의 출발 선상에서 악마저도 선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악은 선의 한 부분에 속하기에 선에 의해 그것은 흡수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원론에서 악은 선과 대립되는 또 다른 확고한 정신 개념이다. 빛과 어두움, 생명과 죽음 같은 정반대의 경우를 생각게 되는데, 바로 악도 선과 반대되는 확실한 정신적 실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서서히 이원론이 서양 세계의 지배적인 담론이 되는데, 악마의 개념은 메소포타미아나 시리아 문명에서 점차 이집트로, 그 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문명으로, 그리고 수메르 문명이 히브리와 가나안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가나안 문명은 미케네와 고대 그리스 문화에 선행하는 이스라엘 문명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더욱이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비롯하여 그리스 신화도 그렇고 판도라의 이야기들도 그것에서 벗어나지를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런 사상들은 원시기독교를 형성한 시대 배경에까지 깊숙이 뿌리를 내린다. 기독교의 성경에 등장하는 '옛뱀', '바알세불', '악마', '사탄' 등이 바로 그러한 영향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곧잘 인간의 인격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삶과 역사 속에서 악은 그렇듯 의인화된 인격으로 존재해 왔다. 중요한 것은 인간이 저지른 죄악을 '악'이나 '악마'란 것에 그 모든 책임을 떠넘길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 속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은 인간 개개인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대체물에게 전가하는 것은 우리 자신이 짊어져야 할 책임을 회피하는 꼴 밖에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악마에게 악을 전가함으로써 악덕에 대한 우리 자신의 개별적인 책임, 부당한 사회, 법, 고통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심사숙고하지 않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330쪽)

그래서 원시기독교라는 시대상을 이야기하고 있는 이 책을 보면서, 나 자신을 포함하여 모든 기독교인들도 책임회피의식을 지녀서는 안 될 것이란 생각이 든다. 곳곳에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불의나 불법에 대해서 혹은 종교적인 만행을 저지르는 것에 대해서, '악마(사탄)이 하는 짓' 또는 '악마가 하는 짓에 대해 대항했을 뿐'이라고 떠넘기거나 단정하지 말고, '나의 잘잘못에서 비롯된 일'이라고 책임지는 의식이 필요할 듯싶다.

악의 역사 세트 - 전4권 - 데블, 사탄, 루시퍼, 메피스토펠레스

제프리 버튼 러셀 지음, 김영범 옮김,
르네상스, 2006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연극인 유인촌 장관님, 이 일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연극인 유인촌 장관님, 이 일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2 성욕 드러내면 "걸레"... 김고은이 보여준 여자들의 현실 성욕 드러내면 "걸레"... 김고은이 보여준 여자들의 현실
  3. 3 울먹인 '소년이 온다' 주인공 어머니 "아들 죽음 헛되지 않았구나" 울먹인 '소년이 온다' 주인공 어머니 "아들 죽음 헛되지 않았구나"
  4. 4 '도이치' 자료 금융위원장 답변에 천준호 "아이고..." '도이치' 자료 금융위원장 답변에 천준호 "아이고..."
  5. 5 한강 '채식주의자' 폐기 권고...경기교육청 논란되자 "학교가 판단" 한강 '채식주의자'  폐기 권고...경기교육청 논란되자 "학교가 판단"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