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초복, 더위를 꺾는 방법은 바로

삼복의 유래와 세시풍속

등록 2006.07.20 16:25수정 2006.07.20 18:38
0
원고료로 응원
여름에 즐겼던 발담그기,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의 '고사 탁족도(濯足圖)'
여름에 즐겼던 발담그기,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의 '고사 탁족도(濯足圖)'국립중앙박물관
오늘은 복더위가 시작된다는 초복이다. 올해는 강원도를 비롯하여 온 나라에 큰 비가 내려 복날의 의미가 약해졌지만, 삼복의 유래와 세시풍속을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는 일이다.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데 하지 후 셋째 경일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이라 하여, 이를 삼경일 또는 삼복이라 한다.


우리 조상은 해(년), 달(월), 날(일)에 모두 지지(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와 천간(자축인묘진사오미)을 조합하여 갑자·을축·병인 등으로 이름을 지었는데'경일'이란 지지의 '경' 자가 들어간 날을 가리킨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리는데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며, 이를 월복이라고 한다.

1614년(광해군 6년)에 이수광이 펴낸 한국 최초의 백과사전 <지봉유설>에 보면 복날을 '양기에 눌려 음기가 바닥에 엎드려 있는 날'이라고 함으로써 사람들이 더위에 지쳐있을 때라고 하였다.

'오행설'에 따르면 여름철은 '화'의 기운, 가을철은 '금'의 기운이다. 그런데 가을의 '금' 기운이 땅으로 나오려다가 아직 '화'의 기운이 강렬하므로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하는 때이다. 그래서 엎드릴 '복(伏)'자를 써서 '초복, 중복, 말복'이라고 한다.

조선의 세시풍속이 기록된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표지
조선의 세시풍속이 기록된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 풍속편 표지수원남문서점(www.ibuybook.co.kr)
또, 최남선의 <조선상식>에는 이를 '서기제복'이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서기제복에서 '복(伏)'은 꺾는다는 뜻으로 복날은 더위를 꺾는 날이다. 즉, 더위를 피하는 피서가 아니라 정복한다는 의미라고 이야기한다.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가 지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제사를 지냈는데,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해충으로 농작물이 입는 피해)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는 내용이 전한다. 이를 보면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한 풍속으로 짐작된다.

서양 사람들도 이 때를 '개의 날(dog's day)'라고 부른다.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인데, 이 별은 삼복 기간이 되면 해와 함께 떠서 함께 진다. 그래서 서양 사람들은 삼복 때 태양의 열기에 가장 밝은 시리우스의 열기가 보태졌기 때문에 가장 덥다고고 생각했다고 한다.


우리 겨레의 슬기로운 삼복더위 이기기

요즘 사람들은 복더위가 오면 계곡이나 해수욕장으로 피서를 가고, 에어컨과 함께 산다. 하지만 피서는 여유가 있어야 한다. 또 에어컨 바람은 건강에 무리가 가며, 에너지 사용량과 환경파괴가 문제이다. 그럼 옛사람들은 어떻게 더위를 피했을까?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에서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를 주어 관의 장빙고에 가서 얼음을 타가게 하였다. 복중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여름 과일을 즐기거나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산간계곡으로 들어가 탁족을 하면서 하루를 즐겼다. 또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을 하면서 더위를 이겨내기도 했다.

복날의 믿음으로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라는 것이 있다. 그래서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초복에 목욕을 했다면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하는데, 이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삼계탕
삼계탕임수근의 요리정보
여름이 찾아오면 우리 겨레는 이열치열을 활용했다. 복날에 뜨거운 삼계탕 등으로 몸보신을 했고, 양반들까지 팔을 걷어붙이고 김매기를 돕기도 했다. 무더운 여름에 이열치열로 땀에 범벅이 되어가며, 뜨거운 음식을 먹고, 일을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여름철이면 사람 몸은 외부의 높은 기온 때문에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피부 근처에 다른 계절보다 20~30% 많은 양의 피가 모이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위장을 비롯하여 여러 장기는 피가 부족하게 되고 몸 안의 온도가 떨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식욕이 떨어지면서 만성피로 등 여름타는 증세가 나타나기 쉽다.

이때 덥다고 차가운 음식만 먹게 되면 배나 장기가 더욱 차가워져 건강이 나빠지게 된다. 그래서 따뜻한 음식을 먹어 장기를 보호해 주는 슬기로움이다. 여름철 찬 물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난다고 하며, 냉면을 먹을 때에도 따뜻한 성질을 가진 겨자 등을 넣어 먹는다.

또 이와는 반대로 찬 성질의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여름나기도 한다. 여름밤은 30도를 오르내리는 열대야로 잠을 설치고, 이부자리가 땀으로 축축해지기 일쑤다. 이럴 때 가장 좋은 것이 대나무로 만든 대자리, 죽부인 따위다. 예부터 대는 서늘한 기운을 전해준다라고 해 여름에 가장 많이 쓰이는 존재였다.

대자리는 보통 2~4년생 대나무를 쓰는데 노란색이 강하며 표면에 윤기가 도는 것이 가장 좋다. 지난 70년대 여인네들이 대자리 위에 누워 죽부인을 끌어안고 잠을 청하는 것이 유행이어서 죽부인 대신 '죽남인'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여름을 시원하게 한 등거리와 죽부인
여름을 시원하게 한 등거리와 죽부인김영조
옷에서의 여름나기는 어떠했을까? 여름철 옷의 소재로 가장 많이 쓰는 것은 대마(삼베), 아마(린넨), 저마(모시) 따위이다.

마는 바람이 잘 통하고 물을 잘 빨아들이며 항균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 구김이 잘 가고 약간 거칠기는 하지만 시원하고 실용적이며, 침대 매트·이불·테이블보 등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모시는 입었을 때 단정하고 우아한 멋이 묻어나 한복감으로 많이 사용된다. 적삼 안에는 등나무로 엮은 조끼인 등거리를 입어 땀이 차지 않도록 했다.

복날에 즐겨 먹는 음식들

여름철의 먹을거리 중 냉면은 땅이 척박해 쌀농사보다 메밀이나 감자농사가 잘 되던 북쪽지방에서 발달했다. 이 중 평양냉면은 메밀에 약간의 녹말을 섞어 면을 뽑은 뒤 꿩고기·쇠고기로 만든 육수와 동치미 국물을 붓고 편육·오이채·삶은 달걀 따위의 고명을 얹은 물냉면이다. 평양냉면은 색깔이 어둡고 면발이 찰지지 않으며 거칠다.

함흥냉면은 함경도 지방이 감자가 많이 생산되는 곳인 탓으로 전분을 많이 넣은 쫄깃하고 가는 면에 가자미식혜 따위를 얹어 고추장에 버무린 비빔냉면이다.

냉면은 변비를 없애주며,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좋고,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냉면을 먹을 때 치는 식초는 녹말이나 육류를 먹으면 생기는 유산을 분해해 피로회복을 도와주며, 여름철에 생기기 쉬운 세균의 번식을 막아준다. 이 식초의 사용은 찬 음식인 냉면에 따뜻하게 해주는 겨자를 넣는 것과 함께 우리 겨레의 슬기로움이다.

찌는 듯한 더위에 몸도 마음도 지치고 입맛도 떨어진 여름은 몸이 허해지기 십상이다. 이 때 보양식으로 든든하게 복달임을 하면 더위도 이기고 잃었던 입맛도 되찾을 수 있다.

우리 겨레가 복날에 즐겨 먹었던 보양음식의 대표는 아무래도 개장이다. 개장은 구장, 구탕이라고도 했으며, '복(伏)'자가 '사람 인(人)'에 '개 견(犬)'자를 쓴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복날 개를 삶아 먹으면 보신을 하고과 액을 물리치는 일로 생각하여 보신탕으로도 불렸다. <동의보감>에서는 개고기가 오장을 편안하게 하며 피를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기력을 좋게 한다고 했다.

임자수탕(왼쪽)과 용봉탕
임자수탕(왼쪽)과 용봉탕임수근의 요리정보
개장과 함께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즐겨 먹는 음식으로 삼계탕도 있으며, 그밖에 임자수탕, 용봉탕과 쇠고기를 이용한 육개장도 있다. 임자수탕의 '임자'는 참깨를 가리키는 말로 이 음식은 깨를 불려 소화가 잘 안 되는 껍질은 벗겨내고 볶아서 곱게 갈아 체에 밭친 뽀얀 깻국물에 영계를 푹 삶아 고운 국물을 섞어 차게 먹는 냉탕이다.

깨는 좋은 단백질이 들어 있으며, 50% 이상을 차지하는 지방은 등푸른 생선에 많이 들어있는 DHA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고열량 식품이며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 함량이 높아 맛과 영양면에서 매우 훌륭한 음식이다.

용봉탕의 '용봉'은 상상의 동물인 용과 봉황을 말하는데, 실제는 용 대신 잉어나 자라를, 봉황 대신 닭을 쓴다. 잉어는 민물고기의 임금으로 폭포를 거슬러 기어오를 만큼 왕성한 생명력이 있어 스테미너식으로도 유명하다. 주재료인 잉어와 닭은 각각 영양면에서 뛰어나고, 궁합이 매우 잘 맞는 음식이라고 한다.

또 복날엔 국수를 어저귀(아욱과의 한해살이)국에 말아먹거나 호박전을 부쳐 먹고, 호박과 돼지고기에다 흰떡을 썰어 넣어 볶아 먹었다. 민어·장어·미꾸라지 등의 어류를 이용한 음식과 시원한 콩국, 미숫가루 모두 여름철의 시절음식이다. 요즘 많이 나오는 비름나물도 예부터 더위를 먹지 않게 하는 식품으로도 잘 알려졌다.

하지만, 여름철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찾는 보양식에 목을 매서는 안 된다. 한두 가지의 보양식이 우리의 건강을 완벽히 담보할 수는 없다. 오히려 각종 영양소가 들어있는 식품들을 골고루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땀을 흘려 부족한 수분보충을 위해 물도 충분히 마실 필요가 있다. 어떤 이는 '더위만 빼고 골고루 다 먹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초복인 오늘부터는 더위와 싸워야 하며, 몸 건강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특히 우리 겨레가 이열치열을 즐겼듯이 차가움만으로 해결하지 말고, 더위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하는 슬기로움을 지니고 살았으면 좋겠다. 몸에도 안 좋고, 환경을 파괴하는 에어컨 바람을 피하고, 주변에 부채를 선물하는 마음씨를 가지면 어떨까?

덧붙이는 글 | ※ 이 기사는 <시골아이>, <대자보>, <참말로>에도 보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골아이>, <대자보>, <참말로>에도 보냅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으로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알리는 글쓰기와 강연을 한다. 전 참교육학부모회 서울동북부지회장, 한겨레신문독자주주모임 서울공동대표, 서울동대문중랑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지냈다. 전통한복을 올바로 계승한 소량, 고품격의 생활한복을 생산판매하는 '솔아솔아푸르른솔아'의 대표를 하고 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2. 2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3. 3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4. 4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5. 5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