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판소리축제에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김선희발레앙상블의 판소리발레 춘향 연습장면. 승무의 장삼을 응용한 발레동작김기
차이코프스키 <백조의 호수>,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아당의 <지젤> 등 세계 저명 작곡가와 명작발레들은 우리나라 관객들도 좋아하는 레퍼토리들이다. 예로부터 춤과 노래를 즐겼던 우리나라에는 비단 전통만 아니라, 서양음악과 춤 분야에서 발군의 기량을 발휘하며 세계무대에서 활약하는 예술가들이 많다.
@BRI@과거와 달리 무용수들의 체형이 서구화된 요즘은 세계적인 위세를 더욱 높여가고 있다. 아직 세계 최고라고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그런 날도 머지 않아 올 것이라는 기대와 희망을 갖게 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바르나, 모스크바, 로잔, 잭슨 등 세계 4대 발레대회에서 상위 입상자를 고루 내고 있다. 특히 바르나콩쿨에서는 4명의 입상자를 냈으며, 잭슨콩쿨에서는 박세은 양이 당당히 1위를 차지해 세계 발레계를 놀라게 했다.
그러나 발레와 현대무용 등에서 훌륭한 무용수들이 무럭무럭 자라나고 있는 반면 여전히 그 무용수들이 외국 안무가들의 작품을 연기한다는 아쉬움은 남는다. 한국 전통음악을 통한 창작발레가 선보이기도 했으나 여전히 음악과 안무의 정서는 우리 것이라는 느낌을 주지 않기에 숙제는 풀리지 않고 있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어 큰 기쁨을 준 판소리의 경우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1인 종합예술의 특성을 갖고 있으나 화려해지는 공연예술의 경향으로 인해 활로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전히 장시간 완창에 꿈쩍 않고 경청하는 귀명창들이 존재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으며, 어려운 사설(가사)로 인해 언어극이면서도 청중의 이해도는 높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