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으로 化하다-한국종교문화론'이라는 주제로 강의하는 이찬수 전 강남대 교수.인권실천시민연대
[의문 1] 만약 열렬한 개신교 신자가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든지 "자업자득",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기에" 같은 말을 한다면, 그는 이단일까 아닐까.
[의문 2] 한국 대형 교회에서 주최하는 대규모 부흥회나 통성기도는 기독교적일까, 반기독교적일까. 한국 기독교에서 유달리 많이 볼 수 있는 새벽기도회나 새벽미사는 얼마만큼 기독교적인 것이라 할 수 있을까.
폐쇄적인 개신교회에서는 '의문 1'에 대해 이단 판정을 해야 할지 모른다. 그런 표현들은 모두 불교 용어이며, 불교의 교리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의문 2'와 관련,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깊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런 신앙 실천의 모습에서 기독교보다는 무속 신앙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전자는 흔히 말하는 '굿판'의 모습과 다르지 않고, 새벽 시간의 종교 의식 역시 무교적 분위기 내지는 새벽 예불의 연장선에 있기 때문이다.
별개이면서도 별개가 아닌 종교와 문화
23일 '文으로 化 하다-한국종교문화론'이라는 주제로 인권실천시민연대 교육장에서 진행된 이찬수 전 강남대 교수의 3번째 종교 강의가 열렸다. '강남대 이찬수 교수 부당해직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위'가 주최한 강좌다.
이번 강의에서 이 전 교수는 현대 종교의 복잡한 현상을 짚었다.
많은 종교인, 비종교인들이 종교 그 자체나 자신의 신앙에 대해 고민한다. 고민의 근원은 여러 가지겠지만, 그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하나인 듯하면서도 다양하고, 다양하지만 일관된 흐름이 있는 것 같은 현상, 즉 진리의 보편성에 대한 물음일 것이다.
"진리를 부정하지 않되, 다양한 '진리 현상'에 대한 이해와 관용적 태도를 통해 진리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진행된 지난 강의에 이어, 이 전 교수는 '문화'라는 개념어를 통해 종교를 이야기했다.
널리 알려진 문화신학자 틸리히(Paul Tillich)는 "종교는 문화의 실체(substance)이고 문화는 종교의 형식(form)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종교가 문화 '안'에서 생겨난다는 점에서 "문화가 종교의 형식"이며, 종교가 문화를 규제하고 이끈다는 점에서 "종교는 문화의 실체"라는 것이다.
그러나 틸리히의 이 명제는 하나의 문화와 그에 상응하는 하나의 종교간 관계에서만 쉽게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복잡한 사회에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다양한 종교 현상이 공존하는 한국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전 교수는 이렇게 지적했다.
"종교가 다양하면 그만큼 다양한 문화적 형식이 있는데, 한국에는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면서도 한국적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일종의 포괄적인 틀이 존재합니다. 다양한 종교들의 존재 이면에 통일적이고 심층적인 근거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사회의 면면에 스며있는 '초월적인 종교 문화' 혹은 '종교 이전의 문화'이다.
'문화'는 진행형 동사
문화(文化)는 순우리말이 아니라 'Culture'란 외래어를 일본에서 번역한 한자어이다. 이 전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일종의 명사형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실 문화는 매우 역동적인 의미를 지닌 진행형 동사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를 고정된 의미의 명사로 보는가, 아니면 변화의 의미에 중점을 두는 동사로 보는가에 따라 문화에 대한 정의가 달라진다.
이 전 교수는 "'문화란 인간 활동의 가시적인 소산의 총체'라는 정의엔, 문화를 명사로 이해해 마치 고정불변의 외적 대상물인 것처럼 제한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문화를 대상화하는 인식 행위 자체가 이미 문화의 소산이며 현대 사회 문화의 일부 특성"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 교수는 "인간은 세계 내 존재(Being-In the-World)"라는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표현을 빌려 "인간은 문화 내 존재(Being-In the-Culture)"라고 표현했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인간은 문화를 떠나 존재할 수 없습니다."
100여 년 전 선교사 헐버트는 당시 조선인의 종교 상황에 대해 "사회적으로는 유교도이고, 철학적으로는 불교도이며, 고난에 처했을 때는 무속신앙에 의지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 사회의 모습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전 교수는 이를 종교가 배타적이고 차별적인 것일 수 없다는 증거로 제시했다.
"한국의 도교, 유교, 무교, 불교, 기독교 등은 공존할 수 없을 만큼 철저하게 배타적인 종교들인 듯하지만, 만약 이들이 진정 차별적이라면 현재 같은 공존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종교들은 공존하고 있는데 이는 각 종교들의 이면에 보편성, 공통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예외적인 현상도 끊이지 않았다. 조선 후기의 위정척사운동이나 개신교의 타종교 비판 같은 종교 간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 전 교수 자신도 강남대에서 종교적 이유로 배척당했다.
'나와 너', 그리고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