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에 '반시' 드시러 오세요"

청도반시특구지정 기념 반시축제 26일 열어

등록 2007.10.25 08:51수정 2007.10.25 09:03
0
원고료로 응원
a

청도의 특산물 반시를 홍보한 그림 청도군청에 붙어있는 청도반시를 홍보하는 그림 광고를 찍은 것. ⓒ 청도군청

▲ 청도의 특산물 반시를 홍보한 그림 청도군청에 붙어있는 청도반시를 홍보하는 그림 광고를 찍은 것. ⓒ 청도군청

 

지난 24일 2007청도 반시축제 행사 준비로 바쁜 청도천 둔치를 찾았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한 청도반시축제(http://청도반시축제.kr/) 행사장에는 청도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반시를 홍보하기 위한 부스설치와 부대시설 준비가 한창이다.

 

'청도반시나라' 특구(화양읍 송금리, 화양읍 서상리, 매전면 지전리, 각북면 삼평리)는 올 9월 28일 재정경제부로부터 지정되어 오는 2012년까지 6년간 청도반시 생산 및 유통기반 조성사업에 61억 원의 투자 지원을 받게 된다.

 

2007청도반시축제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올해의 축제는 시민참여형의 축제와 함께 청도반시특구 지정을 축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도반시는 씨없는 감으로도 유명한 청도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청도가공농가의 절반인 5000여 가구가 감 생산에 종사하고 있다.

 

올해 반시축제는 오는 26일부터 실시해 오는 28일까지 사흘간 청도천 둔치에서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26일 전국학생미술실기대회(11시)를 시작으로 반시길게깎기, 아이스홍시빨리먹기, 반시정량맞추기, 문화공연, 반시특구 지정선포 개막식 및 반시캐릭터(반시-남, 홍시-여) 선포식도 갖는다.

 

27일에는 2군사령부 군악대의 길놀이를 통한 퍼레이드, 군악대 연주, 대구가톨릭대 댄스동아리 공연, 댄스스포츠 시범, 영남외국어대 치어리더팀 공연, 비보이 공연, 등이 오전부터 오후 5시까지 연속적으로 펼쳐진다. 또 오후 6시부터 특설무대에서는 반시로 물들인 감물염색 패션쇼, 한혜진. 현진우, 김영임 등의 초대 손님들의 가을음악회(오후7시)도 열린다.

 

이 외에도 청도예총에서 준비한 극단 한내의 <불효자는 웁니다>, 모계고 연극공연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대경대학 연극영화과 <채플린, 지팡이를 잃어버리다>의 다채로운 문화공연도 준비되어 있다.

 

마지막 날(28일)에는 민요, 장고춤 등의 우리 소리 우리 가락의 국악한마당이 야외 특설무대에서 펼쳐지며 추억의 통기타 연주와 색소폰 연주를 감상할 수 있는 7080콘서트로 열릴 예정이다.

 

청도반시축제추진위원회는 "일반 시민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청도농산물 전시와 함께 택배서비스, 문화유적기체험(감따기) 코스도 운영할 예정이라며 많이 찾아줄 것"을 당부했다.

 

청도반시를 이용한 상품은 감와인, 감물염색, 감말랭이, 감초콜렛, 감잎차, 감식초 등이 나와 있다. 

 

a

시내 곳곳에 걸려있는 홍보 현수막 반시축제를 알리는 홍보 현수막들이 내걸려 있는 광경 ⓒ 김용한

▲ 시내 곳곳에 걸려있는 홍보 현수막 반시축제를 알리는 홍보 현수막들이 내걸려 있는 광경 ⓒ 김용한
a

반시축제가 펼쳐질 현장 부스 반시축제가 펼쳐질 청도천 둔치 현장 부스 광경 ⓒ 김용한

▲ 반시축제가 펼쳐질 현장 부스 반시축제가 펼쳐질 청도천 둔치 현장 부스 광경 ⓒ 김용한
a

가공농가의 손길은 바빴다. 반시축제를 준비하는 가공농가의 일손은 바빴다. ⓒ 김용한

▲ 가공농가의 손길은 바빴다. 반시축제를 준비하는 가공농가의 일손은 바빴다. ⓒ 김용한
a

포장된 감 반시를 열심히 나르고 있는 광경 반시축제에 쓰일 포장된 반시상품을 열심히 나르고 있는 기사도 바쁘기는 마찬가지였다. ⓒ 김용한

▲ 포장된 감 반시를 열심히 나르고 있는 광경 반시축제에 쓰일 포장된 반시상품을 열심히 나르고 있는 기사도 바쁘기는 마찬가지였다. ⓒ 김용한
덧붙이는 글 청도까지 찾아오는 길은 청도반시축제(http://www.청도반시축제.kr/)를 참고하면 된다.
#청도 #청도반시축제 #청도반시특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이시원 걸면 윤석열 또 걸고... 분 단위로 전화 '외압의 그날' 흔적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