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 교육계 잘잘못 누가 따져줄 건가?

등록 2007.10.31 09:39수정 2007.10.31 09:47
0
원고료로 응원

30일자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9일 광주의 한 여중에서 용모가 단정하지 않은 학생 70여 명을 모아놓고 운동장을 뛰게 하는 등 단체기합을 줬다.

 

소식이 알려지며 체벌의 적절성에 관한 이야기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체벌 수위를 놓고 논란이 확산되자 광주시 교육청에서도 진상조사에 나섰다. 누가 잘못이냐를 따지기에 앞서 이런 일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이번 사건을 짚어본다.

 

<연합뉴스>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이날 운동장에 모인 학생들은 매니큐어를 바르고, 치마를 잘라 입거나 파마를 하는 등 용모 불량으로 지적을 받았다. 이 학교의 생활지도 담당교사들은 잘못이 있는 학생들에게 ‘엎드려뻗쳐’ 기합을 주며 엉덩이를 때렸다.

 

학교 측의 단속에 불만을 품고 있던 일부 학생들이 이런 장면을 교실 유리창을 통해 휴대전화로 촬영한 후 경찰 지구대에 신고했다. 학생들이 찍은 사진에는 학생들이 교복이나 운동복을 입은 채 줄을 맞춰 엎드려 있고 한 교사가 때릴 듯이 매를 들고 위협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어떤 이유로도 학생의 인권은 유린할 수 없다. 타일러도 뉘우치지 못하는 학생들은 벌을 줘서라도 잘못을 고쳐야 한다. 어쩌다 학생들이 교사들의 잘못을 고발하는 세상이 되었느냐? 일부 그릇된 기자들이 사건을 과대포장하며 이슈화하고 있다’는 것이 이번 사건의 논란거리다.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져야 하는 기본적 권리가 인권이다. 학생의 인권을 학교에서 가장 소중히 다뤄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권리주장과 의무이행은 바늘 가는데 실 가듯 늘 같이 해야 하면서도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라 기본적인 규칙이나 교칙도 지키지 않으면서 권리만 주장하면 문제가 된다. 또 어린이들이 모든 것을 자기 입맛에 맞추고 잇속을 따지면서 영악하게 커간다면 누군가는 막아야 한다.

 

관광버스를 타고 현장학습을 떠났다고 가정해보자. 차에 오르기 전 발에 묻은 흙을 털고, 차내의 음식물 찌꺼기나 휴지는 되가져 가는 게 기본 예의다. 운전사가 청소하기 쉽게 해주려는 것이 아니라 하루 종일 관광버스를 이용할 어린이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다.

 

버스에 오르면 안전벨트를 매게 하고 차내에서 이동을 못하게 한다. 창밖으로 고개나 손도 내밀지 않아야 한다. 한치 앞을 모르는 게 운전이라 언제 급브레이크를 밟을지 아무도 모른다. 안전벨트도 매지 않은 어린이들이 마구 차내를 돌아다니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급브레이크를 밟거나 창밖으로 고개나 손을 내밀고 있는데 곁으로 대형차가 지나간다면 얼마나 끔찍한 상황이 벌어질 것인지 생각해보자.

 

이 시대 교사라면 대부분 운전기사가 청소하도록 되어있는데 왜 흙을 털어야 하느냐고 따지거나 급브레이크를 밟아 대형사고가 나는 것은 나와 상관없다는 학부모나 어린이 때문에 고심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교사들의 흠집을 일부러 찾아내 고발하며 의욕을 꺾는 일부 학생들의 철없는 행동이나 그것을 전체의 일로 이슈화하며 문제 삼아 교육을 황폐화시키는 몇몇 기자들에게도 문제가 많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욕먹거나 뒤에서 손가락질 받더라도 주어진 역할은 해야 마음 편하다. 그게 바로 사명감이 넘치고, 바른 말 잘하는 교사들이 할 일이다. 그들은 어린이들에게 권리를 누릴려면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친다. 고생스럽지만 제대로 깨우친 어린이들이 바르게 행동하는 것에서 보람을 느낀다.

 

문제는 교사들의 힘이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게 너무나 많다는 것이다. 교육계에서 일어난 문제마저 잘잘못을 따지거나 얘기하기 어렵다. 다양화된 시대라 뜻을 하나로 모으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예전의 현인들같이 모든 사람들에게 말이 통하는 큰 사람들이 그립다. 이런 때 우리 사회의 어른들은 도대체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어른들이 작금의 현실을 냉철히 따져본 후 잘잘못을 비판도 하고 호통도 쳐야 한다. 정치판을 기웃거리는 정치꾼들보다 잘못된 사회를 향해 입바른 소리를 하는 우리 사회의 진정한 어른들이 존경받는 풍토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서 실시했던 용모검사에서 지적받은 학생 중 개선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벌을 줬다. 생활지도를 안 하면 교사들도 편하겠지만 방관했을 때 그 이후의 일을 생각해 봤느냐? 학생, 학부모가 오히려 단속을 바라기도 하는데 단속을 하다 보면 생기는 잡음에 주저앉아야 할지 소신 있게 지도를 계속 해야 하는지 고민스럽다.”

 

당시 학생들을 지도했던 교사의 말도 되새겨봐야 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미디어다음과 한교닷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07.10.31 09:39 ⓒ 2007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미디어다음과 한교닷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체벌 #단체기합 #엎드려뻗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2. 2 뱀딸기를 먹었던 아이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