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자금성 안의 군기처 건물에 있는 원세개의 초상화.
김종성
중국 근현대사에서 원세개(위안스카이, 1859~1916년)만큼 독특한 캐릭터도 없을 것이다. 계속되는 행운을 주체하지 못하다가 결국 인생을 불행하게 끝마친 사람이다.
과거에 실패한 그는 스물 두 살이던 1881년경에 군인 오장경의 수하로 들어가 밑에서부터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나중에는 신해혁명의 와중에 어부지리로 총통이 되는 행운을 얻더니 거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황제까지 되었다가 온 세상의 비난을 한 몸에 다 끌어안은 채 불과 2개월 만에 물러나고 말았다. 그리고는 요독증이란 질병에 걸려 곧바로 세상을 떠났다.
원세개에게 ‘로또복권’처럼 인생역전의 기회를 준 사건은 조선의 임오군란이었다. 임오군란 당시 청나라 광동수사제독 오장경이 4500여 명의 군인들을 이끌고 조선에 들어와 군란을 진압했는데, 그 4500여 명의 군인들 틈에 원세개라는 23세의 청년 군인이 섞여 있었다.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영향력이 가장 막강했던 1882~1894년 시기에 조선에서 근무했다는 사실이 이후 원세개의 앞날을 휘황찬란하게 만든 결정적 요소였다. 조선문제에 관여한 이홍장·원세개·당소의 등이 당시 혹은 그 이후에 중국의 실력자가 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청나라 정치인들에게는 조선이란 곳이 일종의 출세 코스나 마찬가지였다.
갑신정변 때문에 조선 현지 책임자인 진수당이 문책성 경질을 당한 뒤에 원세개는 25세의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진수당의 후임자가 되어 본국의 대(對)조선 정책을 집행한다. 당시의 실권자인 북양대신 이홍장은 자신이 쉽게 조종할 수 있는 인물을 조선 책임자로 심어두고자 했던 것이다.
이때 원세개의 직함은 주찰조선총리교섭통상사의 승용도보용지부(駐札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 升用道補用知府)였다. 맨 끝에 있는 보용지부(補用知府)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오늘날로 치면 군수급 후보자 정도의 지위에 오른 것이다.
본국에서는 군수급 후보자 정도의 대우를 받지만, 그는 조선에서는 최고위급 청나라 관리로서 행세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 실패한 후에 오장경의 수하로 들어간 원세개에게는 ‘해외파견 근무’가 뜻밖의 행운을 가져다준 셈이다.
젊은 나이에 벼락출세를 한 원세개젊은 나이에 그것도 좌절 상태에서 갑작스레 벼락출세를 해서 그런지, 원세개는 이후 10년 동안 조선에서 참으로 방약무인한 행동들만 일삼았다. 그 자신의 입장에서는 젊음과 패기를 앞세운 야심한 행보라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 제3자들에게는 전혀 그렇지 않았던 것이다.
원세개가 조선에 대해 극도의 내정간섭을 일삼을 뿐만 아니라 고종 앞에서 인사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양 외교관들마저 그의 건방짐과 무례함을 비난할 정도였다. 그는 고종을 만날 때면 항상 삼읍례(三揖禮)를 하곤 했는데, 이런 인사법은 대등한 관계에서나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일국의 군주를 대등한 친구 정도로 대우한 것이다.
안 그대로 자의식이 강한 고종이 원세개를 볼 때마다 속이 얼마나 부글부글 끓었을 것인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때 원세개가 고종 폐위까지 도모한 적이 있었으니, 그가 얼마나 조선 조정을 우습게 여겼는지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원세개 때문에 서양열강의 외교관들이 청나라보다는 일본에 심정적으로 기우는 현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홍장은 원세개를 끝까지 든든히 지켜주었다. 오장경에 이어 이홍장이 원세개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 주었던 것이다.
원세개가 얼마나 행운아였는가는, 청일전쟁 패배에 책임을 져야 할 자리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청나라로 돌아간 뒤에 여전히 출세 가도를 달렸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이홍장의 뒤를 이어 북양군벌의 지도자가 되었고, 결국 이것을 바탕으로 1912년 3월에 중화민국 임시총통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과거에 실패해서 오장경의 수하로 들어갔다가 때마침 조선에 파견되어 진압군의 일원이 되었고, 진수당의 실패 덕분에 그 자리를 이어받아 조선 현지 책임자의 지위에 올랐으며, 신해혁명(1911년) 시기의 어수선한 틈을 타서 손문을 밀어내고 총통의 자리에까지 올랐으니, 요즘 말로 하면 그야말로 ‘샐러리맨 신화’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불행히도 원세개는 중국 최고지도자의 자리를 ‘5년’도 채우지 못했다. 1912년 3월에 총통에 취임해서 1916년에 요독증으로 죽었으니, 그는 재임 4년 만에 권좌로부터 아주 영원히 물러나고 만 것이다. 요독증이란 요로 결석 등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으로서 사지에 경련이 일어나기도 하고 또는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심장마비로 죽기도 하는 병이다.
원세개가 권좌에 오른 지 4년 만에 비참한 죽음을 당하고 만 것은 결코 질병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 질병은 그의 과욕 때문에 생긴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럼, 그의 과욕이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세상을 과거로 되돌려놓으려는 그의 무모함이었다. 1911년 신해혁명은 봉건제에 대한 중국인들의 명확한 거부였다. 그리고 그 신해혁명 덕분에 원세개도 비록 어부지리이긴 하지만 어쨌든 총통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원세개, 신해혁명 덕분에 총통자리에 오르다그처럼 신해혁명 덕분에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른 원세개는 막상 권좌에 오르고 나서는 신해혁명의 정신을 부정하기 시작한다. 반봉건 민주혁명인 신해혁명을 뒤엎고 봉건적인 황제제도를 부활시키려 한 것이다. 그에게는 봉건전제시대가 청산되어야 할 과거가 아니라, 그립고 되돌아가고 싶은 ‘잃어버린 날들’이었던 것이다.
총통이 된 원세개가 아예 황제까지 되어 보려고 전개한 구체제 회복운동을, 중국사에서는 원세개의 제제운동(帝制運動)이라고 부른다. 국내의 거센 반발 때문에 제제운동이 여의치 않자, 원세개는 일본까지 끌어들여 자신의 욕심을 충족시키려 한다. 산동지역의 권익 등을 요구하는 일본의 21개조 요구를 그가 선뜻 수용한 것은, 일본의 도움을 빌려 황제 자리에 오르기 위한 포석이었다.
소원대로 1916년 1월에 황제 자리에 오르긴 했지만, 계속되는 국내의 반대운동과 국제사회의 압력에 밀려 그는 결국 1916년 3월에 황제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처음에는 원세개를 지지하던 국제사회도 중국인들의 거센 반발을 보고는 마음을 바꾸어 원세개에게 황제제도 취소를 요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생긴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그는 요독증에 걸렸고 결국 그 때문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황제가 되어 보겠다는 과욕 때문에 자신의 생명마저 잃고 만 것이다.
단순히 황제가 되어 보겠다는 야심을 품은 것은 결코 잘못이 아닐 것이다. 누구든지 최고지도자가 되겠다는 야심을 품을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원세개가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는 방법으로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려 했다는 점이다. 세상은 이미 황제체제를 내버리고 민주적인 총통제를 선택했는데도, 그는 시대의 물결을 거슬러 황제제도의 부활을 꿈꾸었다. 옳건 그르건 간에 ‘나는 뭐든지 할 수 있다’는 그 오만함이 그를 파멸로 이끌고 간 것이다. 총통 자체도 중국 최고지도자의 자리인데, 그는 거기에 만족할 수 없었던 것이다.
만약 황제의 부활을 꿈꾸지 않고 총통 직책을 성실히 수행했다면, 원세개는 역사에서 이처럼 욕을 먹지는 않을 것이다. 그랬다면, 그는 이전의 실책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샐러리맨의 우상’으로 숭배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 나머지 시대의 흐름까지 거스르면서 과거를 회귀시키려 한 그의 오만이 결국 그를 파멸시키는 원인이 되고 말았다. 그렇게 하지만 않았다면, 총통이 된 지 4년 만에 물러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잘못을 저지를 때마다 그때그때 심판을 받았더라면, 원세개가 그처럼 오만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는 청일전쟁 패배와 무술변법 실패 등에 대해 책임이 있는 죄인이다. 이 외에도 그는 수없이 많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해혁명 직후의 중국인들은 그런 그에게 벌을 내리지 않았다. 죄인을 벌하기는커녕 도리어 총통으로 뽑아주었으니, 안 그래도 오만한 원세개가 한층 더 오만해지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원세개를 오만하게 만든 사람들이 결국에는 그를 죽음으로 내몬 셈이다.
혹시라도 역사와 시대의 발전을 거스르는 방법으로 자신의 욕망을 채우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런 사람은 원세개를 거울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런 사람은 누구나 다, 원세개가 당한 것과 같은 비참한 파멸을 비껴갈 수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