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경보 날, 용왕님 찾아 용왕산 숲길을 걷다

[도보여행] 도림천에서 용왕산 숲길 지나 목동 샛길 걷기

등록 2008.08.09 18:11수정 2008.08.10 15:31
0
원고료로 응원
a

용왕산 용왕정 ⓒ 유혜준


용왕산에는 용왕님이 계실까? 용왕님은 바다 속에 계신다고요? 목동에 용왕산이 있답니다. 아, 이름은 들어봤어 하시는 분, 많이 계시겠지만 저는 처음 들었습니다. 용왕산 숲길을 걸어 용왕정에 올라 더위를 식혔습니다. 이 정자, 2층으로 되어 있는데 1층은 마루가 깔려 있고, 2층은 전망대입니다.

1층의 마루는 한옥의 너른 대청마루처럼 되어 있어, 큰 대자로 누워 낮잠을 자면 최고의 피서가 될 것 같습니다.


폭염경보가 내려진 7일, 신도림역부터 도림천을 지나 용왕산 숲길을 걸었습니다. 그리고 목동 사는 사람들도 잘 모른다는 목동의 샛길을 걸었습니다. 이번 도보여행도 '인생길 따라 도보여행(인도행)' 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

신도림역 1번 출구에서 도보여행, 출발합니다. 육교를 건너 내려가면 도림천으로 가는 길이 나옵니다. 가는 길에 도림천역이 보입니다. 도림천역에서 내려서 도림천변으로 내려가도 됩니다. 도림천역은 2번 출구로 나오시면 됩니다.

신도림역에서 도림천으로 가는 길에 나무가 우거져 그늘이 드리워진 길이 있습니다. 그늘 아래를 걸으니 햇볕을 피할 수 있고, 싱그러운 나뭇잎들을 볼 수 있고, 긴 나무의자에 자전거를 세워놓고 정담을 나누는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정말 더운 날인가 봅니다. 걷다가 여기저기 그늘 아래 누워 있는 사람들을 참 많이 보았습니다. 돗자리를 깔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냥 박스포장지나 신문지를 깔고 누운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을 보면서 정말 더운 날이구나, 새삼 깨달았습니다.

폭염경보가 내려진 날, 도보여행을 떠나다


a

도림천 가는 길 ⓒ 유혜준


도림천역을 지나 도림천으로 들어가는 길, 땡볕입니다. 땡볕 아래를 걸으려면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합니다. 이번 여름에 피서를 못가서 일부러 태워야겠다고 작심한 것이 아니라면 햇볕을 가리는 모자를 꼭 쓰고, 얼굴에는 선크림을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선크림은 두 시간마다 발라줘야 한다는데, 한 번만 바르더라도 안 바르는 것보다는 효과가 있습니다. 

얼굴뿐만 아니라 팔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려면 긴소매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요즘 많이 착용하는 팔 토시를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확실히 안 탑니다.

도림천으로 가는 길에 벽화가 그려진 짧은 터널을 지나갑니다. 걷다보면 가끔 이런 그림들이 그려진 벽을 볼 수 있는데, 볼 때마다 누가 그렸을까, 궁금합니다. 아무렇게나 한 낙서가 아니라 주제가 있는 그림이지요. 썩 잘 그렸네요. 아무 것도 없는 것보다는 그림이 있는 게 훨씬 보기 좋은 건 당연하겠지요.

a

벽화 ⓒ 유혜준


포장도로를 지나 계단을 올라가니 양 쪽으로 나무가 심겨진 흙길이 나옵니다. 나무 덕분에 그늘이 생깁니다. 나무 사이로 바람이 솔솔 불어옵니다. 그 길을 따라 걷다보니 길 끝에 '안양천생태운영센터'가 나옵니다.

길 양 옆으로 서 있는 잘 자란 나무가 참으로 고마운 날입니다. 나무 그늘이 유난히 시원하게 느껴지는 것은 폭염경보 때문일 겁니다. 폭염경보가 내려졌다는 걸 몰랐다면 그냥 더운 날이구나, 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무 사이에 분홍빛, 하얀빛 꽃이 줄지어 피어 있습니다. 하와이안 무궁화라고 불리는 꽃입니다. 하와이안 무궁화 꽃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꽃이 상당히 큼지막해서 아기자기한 맛은 없지만 무더기로 피어 있으니, 보기 좋습니다. 큰 꽃잎이 바람에 흔들립니다. 작은 꽃은 꽃송이가 전부 흔들리지만 꽃잎이 크니 따로따로 흔들립니다.

한강변에 철 따라 다른 꽃들이 피어난다는 사실, 새삼스럽게 깨닫습니다. 지난봄에 한강변을 걸으면서 유채꽃을 참 많이 봤지요. 보랏빛과 노란빛으로 맑게 피어나는 꽃창포도 무척 많았습니다. 꽃구경 하러 멀리 갈 것 없습니다. 한달에 한번만 한강변으로 나가면 새로운 꽃들을 실컷 볼 수 있으니까요.

안양천변에는 하와이안 무궁화 꽃길이 있네

a

안양천 ⓒ 유혜준


길을 걷다가 주인과 함께 산책을 나온 개를 보았습니다. 이 개, 혀를 빼어 물고 헥헥거리면서 개줄에 묶인 채 걷고 있었습니다. 더위 탓인지 약간 비틀거리는 것도 같습니다. 어, 내일이 복날인데 괜찮겠니? 이렇게 묻고 싶었지만, 개는 눈길 한번 안주고 그냥 지나갑니다. 나, 덥거든. 말 시키지 마.

길 가에 사각형의 정자가 있습니다. 남자 분이 그 곳에서 책을 읽고 있습니다. 시원한 나무 그늘 아래서 책을 읽을 수 있는 여유, 부럽네요. 책을 읽다가 졸리면 그냥 누워서 자면 되겠지요?

다시 땡볕으로 나갑니다. 안양천입니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길인데, 말라비틀어진 지렁이들이 즐비합니다. 요즘 지렁이들, 너무 굵어 볼 때마다 징그럽다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예전에는 이런 지렁이들이 거의 없었는데, 어느 날부터인가 이런 놈들이 비가 오면 무더기로 길 위로 기어 나오더군요.

길옆에 풀이 잔뜩 우거져 있습니다. 그 옆에 표지판 하나가 서 있습니다. 안양천 생태보전구역으로 야생 조수나 파충류, 양서류, 자생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풀 깎기를 하지 않는 구역이랍니다. 잘 다듬어진 잔디보다 이렇게 웃자란 풀이 더 정감이 있지요.

나무 그늘을 찾아 걷는데 안양천변 자전거도로에는 땡볕임에도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제법 있습니다. 다리 아래에 자전거를 세우고 앉아 쉬는 사람들도 많이 보입니다. 더위가 모든 사람들을 지치게 하지 않는군요.

길 한 쪽에 코스모스들이 철 이르게 피어났습니다. 코스모스를 보니 입추라는 사실이 실감납니다. 가을의 초입이니 코스모스들이 철모르고 피어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네요.

목동의 보리밥집에서 보리밥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다시 한낮의 폭염 아래로 나섰습니다. 용왕산 숲길을 걸어 용왕정에 닿았습니다. 용왕산이라니 제법 높은 산을 연상할지 모르지만 높이는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두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하나는 높이가 78m, 다른 하나는 68m랍니다. 용왕정은 팔각정 모양의 정자인데, 서울 정도(定都) 600년을 기념해서 지었다고 합니다.

용왕산에 왔으니 용왕님이 어디쯤 계실까, 전망대에서 찾아 봤습니다. 저런, 용왕산이 아니라 서해바다 깊은 곳에 계신다네요. 예전에는 용왕산 아래 마포나루에서 용왕님께 가는 배가 떴다나요. 그렇다면 지금은? 뱃길이 끊겼지요. 마포나루가 사라져 버렸으니….

용왕산 어디쯤에 용왕님이 계실까?

a

목동 샛길 ⓒ 유혜준


용왕산을 내려와 목동 아파트 단지로 들어갑니다. 목동 아파트 단지 안에는 걷기 좋은 산책길이 많이 있습니다.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걸을 수 있을 만한 넓이인데 양 옆으로 잘 자란 나무들이 줄 지어 서 있습니다. 주변을 둘러보지 않고 길만 보면, 깊은 산 속의 숲길처럼 느껴집니다.

매미가 극성스럽게 웁니다. 올해, 유난히 매미를 많이 보고, 울음소리도 많이 들었습니다. 이번 여름에만 매미가 많은 건지, 아니면 길 위로 나서 걷다보니 매미 울음소리를 많이 듣게 된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매미가 많이 울다보니 길 위에 죽은 매미가 떨어져 있는 것도 많습니다. 생명이란 무릇 태어나면 소멸하기 마련, 뭐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

폭염경보가 내려졌다는 사실은 까맣게 잊고 걷습니다. 아파트 단지 안을 가로 지르기도 하고, 작은 쉼터에서 쉬기도 하면서 목동의 아파트를 1단지부터 6단지까지 순례를 했습니다. 곳곳에 그늘이 드리워진 걷기 좋은 흙길이 숨어 있었습니다. 걷기 좋은 길은 우리 주변에 있는데 우리가 찾지 못할 뿐이더군요.

그리고 도착한 곳은 목동의 파리공원입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서 1987년에 문을 열었답니다. 한국과 프랑스가 수교를 한 것은 1886년. 120년 전의 일입니다. 그 때와 비교하면 한국, 참 많이 달라졌지요. 프랑스 파리에는 한국과 수교 100주년을 기념하는 서울광장이 있다고 합니다.

a

파리공원 산책로 ⓒ 유혜준


파리공원, 잘 꾸며져 있습니다. 분수는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가동을 안 합니다. 사내 아이 둘이 야외 수영장처럼 생긴 분수대 안으로 들어가 물장난을 치고 있습니다. 시원해 보이기는 하는데 분수의 물, 깨끗하지 않다지요?

목동 아파트 단지 순례를 끝내고, 한강변을 따라 오목교역까지 걸었습니다. 이 길도 양 옆으로 나무가 길게 심겨져 있어 시원한 그늘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신작로처럼 쭉 뻗어 있는 흙길은 오래 걸어도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어 좋습니다.

신도림역에서 시작한 도보여행은 오목교역에 도착하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이 날 걸은 거리는 18km쯤 됩니다.

저는 더위가 한참 기승을 부리는 한낮에 걸었지만, 이 길을 더위가 적당히 누그러지는 저녁시간에 걸으면 더 상쾌하겠지요?
#도보여행 #도림천 #용왕산 #용왕정 #파리공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원룸 '분리수거장' 요청하자 돌아온 집주인의 황당 답변
  2. 2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3. 3 "걷기 싫으니 버스 탑니다, 어차피 무제한이잖아요"
  4. 4 이렇게 어렵게 출제할 거면 영어 절대평가 왜 하나
  5. 5 궁지 몰린 윤 대통령, 개인 위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